[카메라포커스] 넘쳐서 버려지는 신재생에너지
변미루 기자  |  bmr@kctvjeju.com
|  2020.09.09 09:20
영상닫기
<변미루 기자>
"제 뒤로 풍력발전단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바람을 따라 만들어지는 신재생에너지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전력으로 공급되는데요. 그런데 한창 돌아가는 발전기를 강제로 멈추는 일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무슨 일인지, 카메라포커스에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제주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14%를 차지하는 신재생에너지.

2030년까지 제주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제주도의 정책에 힘입어 풍력과 태양광 발전시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수요와 설비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신재생에너지가 과잉 공급되기 시작한 겁니다.

<변미루 기자>
"여기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합 관제하는 전력거래소인데요. 이렇게 실시간 관측을 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면 풍력발전기 운영을 제한하게 됩니다."

원리는 이렇습니다.

올해 도내 신재생에너지 수요 예측 량은 시간당 최소 177에서 498메가와트.

이 수요와 공급량이 항상 일정해야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가능한데, 바람이 많이 불거나 햇볕이 강한 날 공급이 수요를 넘어 치솟게 되면 시스템이 과부하에 걸립니다.

<김형철 / 전력거래소 제주본부 차장>
"주파수 상승으로 인해서 계통에서 불안정 요소가 증가합니다.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이런 부하로 인해 정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겁니다."

그러다보니 출력 제어가 가능한 풍력발전기를 강제로 멈춰 일시적으로 공급을 줄이고 있는 상황.

이 횟수가 5년 전 3차례에서 올해 현재까지 45차례로 급증했습니다.

그렇게 버려진 전력은 전체 풍력에너지 발전량의 3.3%.

쉽게 말해 4인 가족 기준 3천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입니다.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사업자들에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변미루 기자>
"사업자들은 전력을 한국전력공사에 팔아서 수익을 내는데요. 그런데 수시로 생산을 멈추다 보니, 수익도 줄고 있다고 합니다. 직접 만나서 속사정을 들어보겠습니다."

이 업체는 하루에 길게는 6시간까지 올해만 모두 36차례 발전기를 멈춘 채 손해를 감수해야 했습니다.

<강창훈 / 제주○○풍력발전 과장>
"손실을 사업자만 가져가기에 너무 크지 않은가. 이 정도가 아니라 점점 많아진다는 게 문제죠. 제약 운전에 대한 보상 기준도 마련되지 않았고."

앞으로 같은 제한을 받게 될 태양광 사업자들도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방엽 / 태양광 발전소 운영>
"발전소를 짓고 운영하기 위해 수많은 돈이 들어갔거든요.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아서 운영하고 있는데, 출력 제한이 들어갔을 때 매출이 줄어들어서 대출을 갚기가 힘들어지는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금으로서 유일한 대책은 남아도는 전력을 섬 밖으로 내보내는 겁니다.

현재 제주와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초고압직류송전, 그러니까 전력을 보낼 수 있는 해저케이블은 2개.

하지만 모두 제주에서 전류를 받는 것만 가능하고, 섬 밖으로 내보내는 건 불가능합니다.

역송전이 가능한 제3연계선도 추진되곤 있지만, 아무리 빨라도 2022년 말에야 준공될 예정입니다.

남는 전력을 저장해 놓기에도 저장 장치인 ESS가 턱없이 부족하고, 판매를 하려해도 현행법상 불가능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당장은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

제주도는 이렇게 과잉 공급이 심화될 것을 예측하진 못했다고 털어놓습니다.

<김미영 / 제주도 저탄소정책과장>
"관광객이 많이 올 때는 전력 사용량이 연 5%에서 7%까지 늘어날 거다. 그런데 현재 전력 사용량이 그만큼 늘어나지는 않는 실정이고... 그러다 보니 당연히 사용량이 줄면 발전량도 줄어야 되기 때문에, 앞으로 연도별로 속도 조절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에너지 정책에 대한 현실적인 수정 보완과 함께, 당장 피해를 겪는 사업자들에 대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고경남 / 제주대학교 대학원 풍력공학부 교수>
"유렵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것처럼, 셧다운(출력 제한) 시간에 발전할 수 있는 양만큼의 보상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내실을 기하면서 조금 속도가 줄더라도 보다 현실에 맞게 수정해서 정책을 추진해야 되지 않나."

<변미루 기자>
“오늘도 신재생에너지 시설은 우후죽순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공급 과잉도 심화될 수밖에 없는데요. 면밀한 예측 없이 확대에만 급급한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 그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커져만 갑니다. 카메라포커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