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취재수첩] 강제로 신재생에너지 생산 금지, 왜?
변미루 기자  |  bmr@kctvjeju.com
|  2020.09.10 09:07
영상닫기
<김연송 앵커>
이번 주 카메라포커스는 신재생에너지의 과잉 공급 문제를 짚어봤습니다. 취재기자와 더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변미루 기자, 지금 전력이 넘쳐서 풍력발전기를 강제로 멈추고 있다고요?

<변미루 기자>
네. 그동안 제주도의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그만큼 생산하는 전력도 늘었는데, 실제 사용량이나 기본 설비들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게 어떤 문제가 되는지 설명해드리면요. 전력 수급의 기본은 바로 수요=공급량입니다. 최근 데이터를 보면, 올해 도내 신재생에너지 수요 예측량은 시간당 최소 177에서 최대 498메가와트.

그러니까 공급도 이 수준을 벗어나면 안 됩니다.

그런데 바람이 많이 불거나 햇빛이 강한 날, 공급이 수요를 넘어 치솟게 되면 시스템이 과부하에 걸려 대규모 정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풍력발전기를 멈춰서, 일시적으로 공급량을 떨어뜨리는 겁니다.


<김연송 앵커>
이런 현상이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 겁니까?

<변미루 기자>
네. 통계를 보시면요. 이 횟수가 5년 전에는 3차례에 불과했는데, 올 들어 현재까지만 해도 45차례로 급증했습니다.

제어된 전력 규모로 보면 무려 90배가 넘고요. 전체 풍력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04%로 미미하다가 지금은 3.3%까지 늘었습니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봤을 때, 모두 3천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입니다.


<김연송 앵커>
사업자들의 금전적 피해도 만만찮을 것 같은데요.

<변미루 기자>
네. 당장 제어가 이뤄지는 풍력발전 사업자들이 막대한 영업 손실을 호소하고 있고요. 앞으로 태양광까지 확대되면 피해 범위도 넓어질 전망입니다.

그런데 말씀하신 보상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미리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논의도 제대로 안 됐고, 사업 손실을 세금으로 충당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주도는 보상 체계를 마련하도록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입장을 전해왔는데요. 전문가들은 유럽이나 선진국에선 보상이 당연하게 이뤄진다며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김연송 앵커>
피해 보상도 보상이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변미루 기자>
네. 먼저 남는 전력을 섬 밖으로 내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 제주와 다른 지역을 잇는 해저케이블은 2개가 있는데요. 제주에서 받는 것만 가능하고 보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추진하고 있는 제3연계선은 빨라도 2022년 말에야 준공될 예정입니다. 그러니까 최소 2년은 기다려야 밖으로 보낼 수 있을 것 같고요.

남는 전력을 ESS라는 장치에 저장해서 유동적으로 쓰거나, 판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행법상 전력 판매가 불가능한데다 ESS 장치도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당장 뾰족한 대책이 없는 건데요. 제주도의 에너지 정책이 확대에만 급급한 나머지 얼마나 허술한 예측을 기반으로 이뤄졌는지, 또 부작용에 대한 대비가 얼마나 부족했는지 여실히 보여줍니다.


<김연송 앵커>
네. 지금까지 변미루 기자였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