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취재수첩] 도내 곳곳 대피소 관리 '엉망'
김경임 기자  |  kki@kctvjeju.com
|  2021.08.12 04:29
영상닫기
<오유진 앵커>
이번주 카메라포커스는 재난 상황에 대비해 지정된 대피소들의 부실한 운영실태, 점검했습니다.

관련 내용 취재한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실제 현장은 어땠습니까?

<김경임 기자>
네, 저희 취재진이 도내 곳곳에 지정된 대피소들을 둘러봤는데요.

안내판 등 기본적인 시설이 갖춰지지 않았거나 아예 출입문이 잠겨있는 등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특히 민간 건물의 경우, 창고처럼 사용되기도 했는데요.

실제 대피소는 지하인데 상가 매장으로 지정돼 있는 등 지정 장소와 실제 위치가 다른 곳도 있었습니다.


<오유진 앵커>
정말 엉망이군요. 특히 제주는 태풍의 영향도 많이 받고 최근에는 집중 호우가 자주 내리는데..

재난 상황에 대비한 시설에 대해서는 관리가 소홀한 것 같군요.

지정된 곳들은 대피소로 사용하기 적당했나요?

<김경임 기자>
직접 가보니까 대피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들이 많았습니다.

단순히 시설 관리 측면 뿐 아니라 대피 거리가 너무 먼 곳도 있었는데요.

화면을 좀 보시겠습니다.

자연재해 위험지구로 구분된 월령과 금능에서 대피소까지의 거리인데요.

대피소까지의 거리는 각각 6.5km와 5.5km입니다.

숫자로만 봐도 꽤 거리가 있어보이죠?

이는 보통 성인의 걸음속도로 1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입니다.

특히, 읍면지역에 많이 거주하는 어르신들의 걸음이라면 훨씬 더 많이 걸릴 텐데요.

실제 재난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가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오유진 앵커>
그렇군요. 이런 대피소 지정은 어디서 하는 겁니까?

<김경임 기자>
네, 대피소의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자연재해 대피소의 경우 각 읍면동사무소의 담당자가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기준 없이 담당자의 경험에 의존해 자체적으로 지정하고 있다보니 한계도 있는데요.

화면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입수한 자연재해 고위험 지구의 관리 보고서입니다.

지역마다 대피인원에 재해약자가 따로 구분돼 있습니다.

스스로 대피가 어려운 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분류해 놓은 건데요.

자료를 분석해보니 동한두기 지구의 경우, 대피 인원 15명 전체가 재해 약자 구분되는 것과 달리 대피인원이 5천명이 넘는 한림지구는 재해약자는 단 한 명에 불과합니다.

재난 상황에서 정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실태 파악이 제대로 되는 건지 의아했습니다.


<오유진 앵커>
그렇다면 대피소까지가면 실제로 모두 대피소 안에 들어갈 수는 있습니까?

<김경임 기자>
네, 사실 그것도 문제입니다.

보고서를 보면 대피 인원에 비해 수용 인원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는데요.

공공시설을 우선적으로 지정하다보니 장소가 한정되면서 수용률이 떨어지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공공시설 뿐만 아니라 주변 주택이나 호텔 등과의 협약을 통해 대피시설로 사용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오유진 앵커>
전세계적으로 화재와 홍수 등 많은 자연재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재난 대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겁니다.

지금까지 김경임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기자사진
김경임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