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취재수첩] 대유행 속 제주형 방역 실효성 논란
허은진 기자  |  dean@kctvjeju.com
|  2021.08.26 09:15
영상닫기
<오유진 앵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지 이제 1년 반... 위기가 있었다면 지금이 가장 큰 위기입니다.

그동안 제주도는 국경 수준의 방역을 하겠다고 외쳐왔는데... 지금의 확산세를 보면, 성과가 무색합니다.

이번주 카메라포커스는 제주형 방역의 실체, 짚어봤습니다.

허은진 기자, 우선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며 사실상 셧다운 조치가 내려졌죠?

상인들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허은진 기자>
현장을 둘러봤더니 대부분 방역지침을 잘 지키고 있었습니다.

다만 상인들은 극성수기가 다 지난 상황에서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한 것에 대해서는 뒤늦은 조치라고 지적했고요.

오히려 관광업계만 챙기는거 아니냐, 도내 영세사업자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게 됐다, 이런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오유진 앵커>
그렇군요.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런 지적인 거 같은데, 그러면 제주도 자체적으로 선제적 방역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그러니까 제주형 방역지침들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까?

<허은진 기자>
조금 아쉬운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제주형 방역지침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안심코드의 경우 질병청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한 건데요.

관광객들은 전국 공통 방식을 놔두고 제주에서만 사용하는 안심코드가 익숙하지가 않고 잠시의 여행동안 앱 설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수기 작성으로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올해 700만 명의 관광객이 제주를 찾았는데 안심코드 다운로드 건수는 137만 건이었습니다.


<오유진 앵커>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 만들었는데 오히려 외부 확진자가 유입될 경우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거군요.

제주형 방역의 한계도 많이 있을 것 같은데요.

<허은진 기자>
네,정부의 방침을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인데요.

입도 전 진단검사 의무화나 제주도민 백신 우선접종 등이 대표적입니다.

제주로 관광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선제적으로 도입하려고 했던 지침들이었는데 이동권의 자유나 평등의 문제 등으로 정부가 난색을 표하면서 무산된 겁니다.

지금이라도 자가진단키트라도 활용한 입도 전 검사 의무화는 도입을 해야한다 이런 의견도 있었습니다.


<오유진 앵커>
취재하면서 제주형 방역이 도입되어야 할 부분들도 보였다면서요.

<허은진 기자>
전통시장의 경우가 제주형 방역이 필요해보였습니다.

동문시장과 올레시장은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인데 전통시장이기 때문에 거리두기 고시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특별한 규제 없이 기본 방역수칙만 준수하면 되는데 거리두기나 출입명부 작성은 제대로 되고 있지 않고 이를 지도하거나 단속하는 사람도 없는 실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인 만큼 제주형 방역지침 마련이 필요해보였습니다.

기자사진
허은진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