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사건 당시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유해발굴과
신원확인 사업이
20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많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 지역에서의 대규모 발굴이 거의 마무리된 상황에서
이제는 전국으로
그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된
4.3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은 20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선 제주 도내에서는
학살터로 알려진 주요 지역의 발굴이
대부분 완료되면서
추가 발굴 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지난 2006년 화북천에서 11구,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공항에서 388구의 유해가 발굴된 이후
대규모 발굴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소규모 발굴만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행방불명 희생자 3천여 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제주가 아닌 다른 지역 형무소에서 복역하다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제는 4.3 희생자 신원 확인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
"지금 도내에서는 더이상 유해발굴을 하기 힘들고 할 수 있는 최대치가 됐는데 도외를 하지 않으면 이제 가능하지 않다...
(행방불명) 희생자들의 절반 가까운 숫자가 도외에서 희생된 분들이기 때문에 도외를 시작하자고 됐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2022년부터
대전과 목표, 광주 등
다른 지역에서 발굴된 유해와
4.3 유가족 채혈 정보를 맞춰보는 작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성과로
지난 2023년 대전 골령골에서
4.3 희생자 故김한홍 씨의 신원을,
지난해에는 광주 형무소 옛터에서
故양천종 씨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적 같은 소식에 높아진 기대감도 잠시.
제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 유해발굴 사업을 관장하는
진실화해를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기가
활동 종료를 앞두며
다시 사업에 먹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이번 달 실질적인 사업을 마무리하고
오는 11월 공식 활동을 종료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 임나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법무·화해팀>
"작년에 처음으로 도외지역에서 4·3 희생자 신원 확인이 그쪽(대전 골령골)에서 된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럼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이야기 거든요. (진화위 활동 종료 후에는) 도외지역에서 유해를 발굴하고 신원확인하는 것이 아무래도 불편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되겠죠. '
사업이 기관별로 제각각 추진되고
유가족들의 채혈 정보를 공유하는 데에도 법적 제한이 있어
4.3 행방불명 희생자의
신원확인 작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입니다.
이에 따라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기구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양동윤 제주4·3도민연대 대표>
”주어진 사업을 제대로 체계적으로 과학적으로 시급하게 진행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문도 모르게 이유도 없이 무고하게 잡혀가서 행방조차 몰랐던 분들 그것을 국가가 정부가 찾아내서 가족의 품으로 돌려주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게 국가라면 나라라면 해야 되는 것이고 그래야만 4.3은 정리될 겁니다."
학살의 그날 이후 70여 년 세월 동안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혼백들.
이들의 행방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은 그리 오래 남지 않았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