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폐원 위기 유치원…"공동교육으로 돌파구"
이정훈 기자   |  
|  2025.05.07 15:03
영상닫기
         

         저출생과 학령인구 감소 속에
학교 뿐만 아니라
원아수가 10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병설 유치원도 늘고 있습니다.



원아수가 적다보니 또래 유아시기에 맞는 관계 형성이나
다양한 놀이 활동에도 큰 지장을 받고 있는데요.


제주교육당국이 서너곳의 작은 유치원을 묶어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이른바 공동 교육을 통해 해법 찾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주시내 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어버이날을 앞두고 선생님과 카네이션 만들기가 한창입니다.



하지만 한 교실에서 수업을 듣는 원아들의 복장이 제각각입니다.



인근의 원아수가 작은 병설유치원 3곳에서 수업을 위해 모인 것입니다.


작은 유치원들이 함께 수업하는
이른바 공동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많게는 2번 진행됩니다.



모두 4군데 유치원이 참여하면서
30여명이던 유치원생 수는 50여명으로 늘어납니다.


[인터뷰 : 고은비 / 유치원생 ]
"친구들이 많이 와서 다 같이 신나게 놀 수 있어서 재밌어요."



덕분에 원아 수가 적어 미뤄왔던 체육활동도 마음껏 펼쳐보고
자연스레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도 형성합니다.


[인터뷰 : 강진주 / 수원초 병설유치원 교사 ]

"저희 유치원에서는 아이들이 너무 기다려서 아이들과 같이
놀이 달력도 만들어서 몇 밤을 자면 여기에 올 수 있는지 아이들이 달력을 보면서 기다리면서 활동을 하고... 굉장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저출생과 학령 인구 감소 속에 원아 수 부족으로
정상적인 유아교육과정이 이뤄지기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현재 도내 4군데 유치원이 원아가 없어 휴원에 들어가는 등
원아 수가 10명이 채 안되는 유치원은
읍,면 지역으로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그동안 작은유치원끼리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기도 했지만
거점 유치원에 정례적으로 모여
공동수업을 진행하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제주교육당국은
이 같은 공동교육 운영에 따른
예산 절감이나 교육 효과 등을
면밀히 살펴본 후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인터뷰 :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일주일에 많은면 한 번 또는 두 번 이렇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함께 놀이도 하고 식사도 하고 선생님들은 그런 과정에서 놓친 부분을 찾아내서 아이들의 인생을 위해서 애쓰고 하는 이런 과정을 통해
보다 나은 유아교육과정을 완성해 보고자 하는 의도가 있습니다."







지역 소멸 위기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작은 유치원들의 단점을
공동 교육과정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