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사귀를 서걱서걱' 멸강나방 유충 출현 '비상'
김경임 기자  |  kki@kctvjeju.com
|  2025.05.12 15:23
영상닫기
옥수수나 기장 등에
피해를 주는 멸강나방 유충이
최근 제주 서부 지역에서 발견됐습니다.

나방류 특성상 번식속도가 빨라
피해가 급격히 확산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예찰과 조기 방제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김경임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시 한경면의 한 옥수수밭입니다.

초록빛 잎사귀 위로
애벌레가 기어다니며 잎을 갉아먹습니다.

바로 멸강나방 유충입니다.

주위 곳곳에 벌레들이
잎을 먹은 흔적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멸강나방은 4월에서 7월 사이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아오는데

올해는 지난 7일,
이 곳에서 처음으로 유충이 발견됐습니다.

알을 낳고 부화하기까지
보름 가량이 걸리는 만큼
4월 하순쯤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농가는 걱정이 앞섭니다.

잎이나 열매를 갉아먹어
농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면서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옥수수 농가>
"걱정이 안 되긴 농사꾼이 다 걱정되지. 끝난거지 뭐. 이게 다 그 영양분이 있는 건데 잎에 식물은. 잎이 없으면 살 수가 없지."

<스탠드업 : 김경임>
"최근 멸강나방이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농작물 피해 확산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예년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나면서
멸강나방 발견 시기도 보름 가량 늦어졌지만,

한 마리가
수백 개의 알을 낳는 나방류 특성상
번식 속도가 빨라
피해가 급격히 확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강풍을 동반한 기류가 형성돼
유입 가능성이 높아졌고,

고온 건조한 날씨에
해충이 활동하기 좋은 만큼
철저한 예찰과 초기 방제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인터뷰 : 현대양 / 제주도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주로 잎에 가해하면서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유충 피해 상황이 확인되는 즉시 방제 약제가 잘 나와있으니 적용약제를 살포하시면 충분히 방제가 가능하겠습니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피해 예방을 위해
과거 해충이 발생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정밀 예찰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의심 해충을 발견하면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CTV뉴스 김경임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기자사진
김경임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