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중국 칭다오를 잇는
신규 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의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 여러차례 전해 드렸는데요.
항로 개설 허가가 늦어지면서
이미 설치된 각종 장비와
시설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업 시작도 전에
한달에 1억 안팎의 손실 보전금이 나가고 있는 겁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항에 세워져 있는 대형 크레인.
국제 화물 컨테이너 전용 크레인입니다.
중국 칭다오에서 들어올 화물선에 대비해
제주도와 협약을 맺은 하역 업체가 지난해 12월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화물선이 취항하지 못하면서
사용되지 못하고 자리만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탠드업 : 문수희>
"항로 개설이 차일피일 늦어지면서
하역 장비가 이처럼 방치되고 있는데요.
제주도가 지불해야 할 손실 보전금만 쌓이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해양수산부에 항로 개설 허가를 신청한 뒤
화물선 취항을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제주항에 전용 크레인을 비롯한
장비를 모두 갖췄고
통관 시설과 보세구역도 마련했습니다.
그런데 정작 항로 개설 허가가 나지 않으면서
쓰이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겁니다.
크레인 임대료와 인건비 등
시설 운영에만 한 달에 1억 원 가량이 쓰이고 있습니다.
조만간 업체에서
제주도에 운영비를 청구하면
협약에 따라 손실을 보전해줘야 하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 신용만 / 제주특별자치도 해운항만과장>
“육지에 있는 하역장비를 제주도에 도입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시간을 감안해서 사전에 하역 장비를 우선 도입했습니다."
현재 해수부는
제주 - 칭다오 항로 개설 허가 여부에 대해
수개월째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영향 평가 분석을
아직 마치지 않았다는 입장으로
결정 여부나 기간을 장담할 수 없다는 설명입니다.
반대로 중국측 정부는
이미 칭다오 - 제주 항로를 허가한 상황으로
우리측 정부의 늦어지는 결정에
제주도만 혈세 낭비에 난처한 입장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 그래픽 : 유재광)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