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화)  |  김지우
침체된 제주경기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역시 내수 부진은 계속됐고 건설경기는 최악으로 치달았습니다. 경제 성장의 밑바탕이 되는 인구까지 유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제주시내 한 옷 가게입니다. 최근 몇 년간 손님 발길이 줄면서 매출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직원 근무 시간까지 줄여봤지만 경영난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 옷가게 주인> "제가 자영업을 25년 정도 했는데 올해가 최악인 것 같아요. 작년 매출의 3분의 1 밖에 안돼서 가게가 안 나가니깐 어쩔 수 없이 운영하는 것 같아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올해 1분기 소매 판매는 7% 줄었는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돈이 돌지 않자 고용률은 0.3%포인트 감소하며 뒷걸음질 쳤습니다. 반면 전국 평균 고용률은 0.2%포인트 상승하며 제주와 대조를 보였습니다. 산업 생산도 부진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 0.3%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며 전국 평균 오름폭을 밑돌았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평균이 회복세를 보인 반면 제주는 0.4% 감소했습니다. 지역경제를 지탱해야 할 건설업은 출구가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1분기 도내 건설수주액은 99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9% 급감했습니다. 분기 기준 건설수주액이 천억원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 2012년 2분기 이후 13년 만입니다. <인터뷰 : 박혜림 / 통계청 제주사무소 주무관> “국내 항공기 운항 편수 감소 등 내국인 관광객 감소와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면세점과 전문소매점의 판매 감소로 소매판매는 8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관광객 감소는 음식점업과 호텔업 등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서비스생산지수는 4분기 만에 감소로 (전환됐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를 앞지르면서 올해 1분기 2천명이 넘는 인구가 순유출됐습니다. 분기 기준 인구 순유출 규모가 2천명을 넘어선 건 1979년 이후 46년 만입니다. 그나마 1분기 수출이 45% 증가했지만 지역경제의 전방위 침체로 인해 가뭄 속 단비가 되진 못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그래픽 이아민)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0:32
  • 제주 특화 의료관광상품 개발 팸투어 실시
  • 코로나19로 침체됐던 외국인 의료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오늘(21일)부터 오는 23일까지 중국과 러시아, 미국 등의 의료관광 여행업계를 대상으로 제주특화 의료관광상품 개발 팸투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제주에서 2박3일간 머무르며 주요 선도의료기관과 협력 기반을 다지고 웰니스 등 상품 개발을 위한 지역자원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 2023.09.21(목)  |  김지우
KCTV News7
00:39
  • 제주 중소기업 68% "추석 자금사정 곤란"
  • 제주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추석을 앞두고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도내 중소기업 56개 업체를 대상으로 추석자금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67.8%가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같은 비율은 지난해 추석과 비교해 2.4%포인트 증가한 수치입니다. 자금 사정이 좋지 못한 이유로는 판매부진이 71.1%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원부자재 가격상승, 판매대금 회수지연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 2023.09.21(목)  |  김지우
KCTV News7
00:28
  • 제주농협, 추석 비상품 감귤 유통 근절 대책 실시
  • 추석 성수기를 노린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면서 제주농협이 특별 지도에 나섭니다. 제주농협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감귤 유통대책 종합상황실 운영을 통한 홍보와 현장 지도로 비상품 감귤 유통을 근절할 계획입니다. 또 제주도 등 관련 기관과 연계해 선제적으로 가공용 감귤을 수매하는 등 격리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2023.09.21(목)  |  김지우
KCTV News7
00:36
  • 경유 리터당 1,766원 '최고가'…휘발유도 고공행진
  • 제주도내 경유가격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나는 등 기름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오늘 제주지역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경유 평균가격은 리터당 1천766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이와 함께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천838원으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비쌌습니다.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휘발유와 경유 가격 강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2023.09.20(수)  |  김지우
  • 제주관광공사 중문면세점, 추석맞이 할인 행사
  • 제주관광공사 중문면세점이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추석맞이 특별 행사를 실시합니다. 일부 품목을 대상으로 최대 30에서 40% 할인 판매하고 일정 금액 이상 구매할 경우 추가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또 일부 품목을 20만원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는 100% 선물을 증정하는 윷놀이 이벤트 참여 기회가 제공됩니다. 제주관광공사 중문면세점은 연간 6차례 이용할 수 있으며 구매 한도액은 1회당 800달러 입니다.
  • 2023.09.20(수)  |  김지우
KCTV News7
02:38
  • 월동무·감귤 '직격탄'…"27일까지 피해 접수"
  • 최근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는 농작물에 적지 않은 피해를 남겼습니다. 월동무는 파종 시기에 침수 피해를 입었고 감귤은 열과 피해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지난 13일, 파종을 마친 월동무 밭입니다. 주말 내린 폭우로 잠겼던 3천여 제곱미터 농경지가 다시 모습을 드러냈지만 나와야 할 싹이 보이지 않습니다. 밭이 침수되면서 파종 피해가 발생한 겁니다. 일찍 파종했던 월동무 밭도 지난 주말, 폭우가 휩쓸고 가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뽑힌 월동무 싹들이 한둘이 아닙니다. <김용원 기자> "성산읍에 내린 기록적인 폭우로 파종한 월동무 싹이 제대로 자라지 않으면서 다시 파종해야하는 상황까지 놓였습니다." 지난 17일 성산 지역에 9월 역대 2위인 시간당 74.7mm의 강한 비가 내렸습니다. 이로 인해 월동무 약 200ha가 침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음 달 초까지가 재파종을 하면 큰 문제는 없지만 다시 많은 비가 내릴 경우 파종 시기를 놓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더욱이 한번 침수 피해를 입은 월동무는 각종 병해충에 더 취약할 수 밖에 없어 농가 걱정이 큽니다. <고종필 / 월동무 재배농가> "지금 시기에 파종을 해야 하는데 비 날씨로 재파종 시기가 안 맞을 수 있다는 거죠. 뿌리 작물이어서 뿌리 피해도 클 것이고 지금은 눈에 잘 안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무가 하나둘씩 죽어가는 현상들이 보일 것 같습니다. " 추석을 앞두고 출하를 시작한 감귤도 품질 관리에 비상입니다. 많은 비로 인해 감귤이 썩어들어가는 역병 발생 위험이 어느때보다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수일 내로 처방을 안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양창희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장> "역병에 걸리게 되면 증상이 나온 다음에는 약재 방제 효과가 없습니다. 증상이 나오기 이전에 역병에 걸릴 수 있는 조건이 된다고 하면 그전에 역병에 걸렸던 과수원이나 물 빠짐이 나쁜 곳은 필수적으로 예방 위주로 약재 살포를 하셔야 합니다." 이번 비로 월동무를 포함해 메밀과 당근 등 주요 작물 피해도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오는 27일까지 피해 신고를 받은 뒤 복구계획을 수립해 정부에 재난지원금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현광훈)
  • 2023.09.20(수)  |  김용원
KCTV News7
00:31
  • 기습적 폭우에 감귤 역병 발생 우려 '특별관리'
  •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최근 기습적인 폭우에 따른 감귤 역병 발생이 우려된다며 특별관리를 당부했습니다. 피해 예방을 위해 배수로를 정비하고 짚이나 억새 등을 깔아 빗물이 직접 튀지 않도록 조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 침수 우려가 있거나 발병한 적이 있는 과원에는 예방 차원에서 약제를 살포하고 병에 걸린 과일은 2차 전염원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2023.09.19(화)  |  양상현
KCTV News7
00:51
  • 올해 제주도 지방교부세 감소액 3천억 넘을 듯
  • 올해 우리나라의 국세 수입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주도의 지방교부세 감소액이 3천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의 올해 세수 재추계 결과와 재정 대응방향에 따르면 올해 국세 수입은 기존 400조 5천억원에서 341조 4천억원으로 59조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에따라 전체 지방교부세는 11조 6천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제주도에 배분되는 지방교부세 감소액은 3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불요불급한 예산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중이며 상황에 따라서는 재정안정화 기금이나 지방채를 발행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2023.09.19(화)  |  양상현
KCTV News7
00:34
  • 추석 이전 농어촌진흥기금 2,500억 신속 지원
  • 제주특별자치도가 하반기 지역농어촌진흥기금 2천 500억원을 추석 이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신속 지원에 나섭니다. 최근 농어촌진흥기금 운용심의회를 통해 융자 추천액을 최종 확정했으며 내일(20일)부터 주소지 읍면동주민센터를 통해 융자 추천서를 발급받고 금융기관에 방문하면 됩니다. 수요자 금리는 0.7%를 적용하고 제주도에서는 금융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최고 5%의 이자 차액분을 보전합니다.
  • 2023.09.19(화)  |  양상현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