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목)  |  이정훈
제주의 가을, 걷기 여행자들의 축제가 돌아왔습니다. 올해 제주올레걷기축제는 10년 만에 제주시에서 개막식을 열며 특별한 의미를 더했는데요. 형형색색의 참가자들과 세계 각국에서 모인 올레꾼들이 함께한 축제 현장을 이정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운동장이 축제의 열기로 들썩였습니다. 제주올레걷기축제 개막식이 10년 만에 제주시 올레코스에서 열리며 형형색색 복장을 갖춘 참가자들이 속속 모여들었습니다. 누군가는 제주올레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누군가는 얼굴에 파란 물결 모양 페이스페인팅을, 또 다른 이들은 제주 올레를 형상화한 머리띠를 쓰고 유쾌한 표정으로 사진을 찍습니다. 올레길 지도와 스탬프북을 손에 든 참가자들은 설렘 가득한 눈빛으로 출발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현희 / 참가자 (경기도) ] "처음에는 축제를 통해서 3년 전에 걷기 시작했는데 걸으면서 제주풍경도 보고 또 걸으면서 오는 힐링하는 걸로 매년 오게 돼요. " 개막식에는 각 기관장 뿐만 아니라 제주올레 홍보대사인 배우 류승룡 씨도 참석해 축제의 시작을 함께했습니다. [녹취 류승룡 / 제주올레 홍보대사 ] " 길은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고 또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또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것이 길이라고 생각하고 그 역할을 올레가 아주 톡톡히 충분히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걷다 보면 지치기도 합니다. 그럴 땐 길가의 큰 나무 아래에서 잠시 쉬어가는 것이 제주올레의 묘미. 몸이 가는 곳에 앉아 바람을 느끼거나, 준비해온 간식을 나눠 먹습니다. 빠르게 걷는 것보다 길 위에서 만나는 풍경과 사람, 그리고 자신을 느끼려는 제주올레길의 철학이 참가자들의 여유로운 발걸음에 담겨 있습니다. [인터뷰 박수빈 / 참가자 ] "작년에 한 달 걸기 했는데 너무 좋았어요. 그리고 오늘도 그 기운을 느끼고 싶어서 왔습니다." [인터뷰 페트리샤 / 참가자 ] "프랑스에 한국인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이 이 올레축제에 대해 이야기해줘서 예약했고 서울, 부산을 거쳐 제주에 왔고 일주일 머물면서 축제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 이번 축제는 8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첫날 올레 17코스를, 마지막 날엔 18코스를 걷게 됩니다. 길을 따라 펼쳐지는 지역 아티스트들의 공연과 마을 부녀회가 준비한 따뜻한 먹거리, 그리고 8일 화북포구에서 열리는 해신사 투어와 제주목사 행렬 재현 퍼레이드까지,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간이 이어집니다. 사전 신청은 마감됐지만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제주를 찾은 여행자들에게도 뜻밖의 선물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의 길을 따라 걷는 사람들, 그리고 다시 시작된 올레의 여정, 그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3:16
  • "10년 만의 제주시 개막… 세계가 걷는 제주올레"
  • 제주의 가을, 걷기 여행자들의 축제가 돌아왔습니다. 올해 제주올레걷기축제는 10년 만에 제주시에서 개막식을 열며 특별한 의미를 더했는데요. 형형색색의 참가자들과 세계 각국에서 모인 올레꾼들이 함께한 축제 현장을 이정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운동장이 축제의 열기로 들썩였습니다. 제주올레걷기축제 개막식이 10년 만에 제주시 올레코스에서 열리며 형형색색 복장을 갖춘 참가자들이 속속 모여들었습니다. 누군가는 제주올레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누군가는 얼굴에 파란 물결 모양 페이스페인팅을, 또 다른 이들은 제주 올레를 형상화한 머리띠를 쓰고 유쾌한 표정으로 사진을 찍습니다. 올레길 지도와 스탬프북을 손에 든 참가자들은 설렘 가득한 눈빛으로 출발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현희 / 참가자 (경기도) ] "처음에는 축제를 통해서 3년 전에 걷기 시작했는데 걸으면서 제주풍경도 보고 또 걸으면서 오는 힐링하는 걸로 매년 오게 돼요. " 개막식에는 각 기관장 뿐만 아니라 제주올레 홍보대사인 배우 류승룡 씨도 참석해 축제의 시작을 함께했습니다. [녹취 류승룡 / 제주올레 홍보대사 ] " 길은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고 또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또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것이 길이라고 생각하고 그 역할을 올레가 아주 톡톡히 충분히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걷다 보면 지치기도 합니다. 그럴 땐 길가의 큰 나무 아래에서 잠시 쉬어가는 것이 제주올레의 묘미. 몸이 가는 곳에 앉아 바람을 느끼거나, 준비해온 간식을 나눠 먹습니다. 빠르게 걷는 것보다 길 위에서 만나는 풍경과 사람, 그리고 자신을 느끼려는 제주올레길의 철학이 참가자들의 여유로운 발걸음에 담겨 있습니다. [인터뷰 박수빈 / 참가자 ] "작년에 한 달 걸기 했는데 너무 좋았어요. 그리고 오늘도 그 기운을 느끼고 싶어서 왔습니다." [인터뷰 페트리샤 / 참가자 ] "프랑스에 한국인 선생님이 계신데 그 분이 이 올레축제에 대해 이야기해줘서 예약했고 서울, 부산을 거쳐 제주에 왔고 일주일 머물면서 축제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 이번 축제는 8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첫날 올레 17코스를, 마지막 날엔 18코스를 걷게 됩니다. 길을 따라 펼쳐지는 지역 아티스트들의 공연과 마을 부녀회가 준비한 따뜻한 먹거리, 그리고 8일 화북포구에서 열리는 해신사 투어와 제주목사 행렬 재현 퍼레이드까지,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간이 이어집니다. 사전 신청은 마감됐지만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제주를 찾은 여행자들에게도 뜻밖의 선물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의 길을 따라 걷는 사람들, 그리고 다시 시작된 올레의 여정, 그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 2025.11.06(목)  |  이정훈
  • 전국장애인체전 폐막…제주, 금 45개 등 108개 메달
  •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6일간의 열전을 마치고 폐막한 가운데, 제주선수단은 금메달 45개를 포함한 10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 중 하나를 기록했습니다. 배드민턴 남자 단식 SH6에 출전한 이대성 선수는 탄탄한 경기력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여자 단식과 복식에서도 박민경과 김향·박민경 조가 금메달을 추가했습니다. 이 밖에도 대회 마지막 날 수영과 사이클 여자트랙 스프린트 등에서 13개의 메달을 보태면서 이번 대회 금메달 45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31개 등 모두 108개의 메달을 기록했습니다 제주도장애인체육회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 제주체전에서 종합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준비에 나설 계획입니다.
  • 2025.11.05(수)  |  이정훈
  • 이달 제주서 스포츠 대회 61개…254억 경제효과
  • 이 달 한달 동안 제주에서 모두 61개의 스포츠 대회가 열려 250억원의 경제 파급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11월 한달 동안 바둑과 승마 승마, 골프 대회 등 국제대회를 비롯해 배구와 유도, 사격선수권 등 도내 대회가 잇따라 열립니다. 이들 61개 대회에 3만3천 명의 선수가 참가할 예정을로 모두 254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예상됩니다.
  • 2025.11.05(수)  |  문수희
  • 돌문화공원 어린이 신화 교육프로그램 '호응'
  • 지난 9월과 10월 두 달동안 진행된 돌문화공원 어린이 신화 교육프로그램이 호응 속에 마무리됐습니다. 돌문화공원관리소가 설문대할망전시관 개관에 맞춰 8회에 걸쳐 진행한 이 프로그램에는 도내 10개 어린이집 164명의 어린이가 참여했습니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참여 교사들의 90% 이상이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습니다. 돌문화공원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프로그램 운영 횟수와 참여 인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2025.11.05(수)  |  최형석
KCTV News7
00:25
  • 제주도체육회, 학생선수 16명 체력왕 선발
  • 제주도체육회가 주최한 학생선수 체력왕 선발대회가 제주복합체육관에서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이번 대회에는 도내 28개교에서 213명의 학생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5개 수행과제를 통해 체력을 겨뤄 초·중·고 학년별 남녀 총 16명의 체력왕이 선발됐습니다. 선발된 학생들은 오는 18일부터 1박 2일동안 진천국가대표선수촌과 한국체육대학교 등 선진 체육시설을 견학하며 체육 현장을 직접 체험할 예정입니다.
  • 2025.11.05(수)  |  이정훈
  • 제주돌문화공원 돌담쌓기 체험프로그램 '호응'
  • 제주돌문화공원이 운영 중인 돌담쌓기 체험프로그램이 가족단위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제주돌문화공원은 지난달 10일 첫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50여 명이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가족 단위 관광객과 어린이 참가자가 많아 제주의 돌문화를 배워보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비영리민간단체 '돌빛나예술학교' 전문 돌챙이들이 맡아 이달 말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제주돌문화공원에서 진행됩니다
  • 2025.11.04(화)  |  최형석
  • 한라도서관, 9일 '빛나는 100책' 연계 행사
  • 한라도서관이 제주도민 추천도서 '빛나는 100책' 연계 행사로 오는 9일 야외마당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대중음악 밴드 '다섯손가락' 리더이자 '키체인지'의 저자 이두헌 작가 북콘서트와 과학저술가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초청 강연회가 마련됩니다. 또 빛나는 100책 가운데 주제와 연령별로 선정한 10권을 주제로 원탁토의와 어린이 마술쇼, 도서관 음악공연 등 다양한 전시와 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 2025.11.04(화)  |  최형석
KCTV News7
02:37
  • <스포츠> 전국장애인체전 제주선수단 활약
  •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막바지를 향해가는 가운데 제주 선수단이 연일 메달 소식을 전하며 활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혼성 게이트볼 결승전에서는 부산을 상대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육상과 수영,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도 값진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혼성 게이트볼 결승전에서 제주 대표팀이 부산을 13대 7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습니다. 중증 장애인 2명과 경증장애인 3명으로 구성된 양 팀은 초반부터 팽팽한 접전을 펼쳤고 제주팀은 3대 4로 뒤지는 상황에서 9번 플레이어의 활약으로 흐름을 바꿨습니다. 상대 선수의 공 3개를 연달아 밀어내는 정교한 플레이로 분위기를 반전시킨 제주팀은 이후 시종일관 우세한 경기를 이어갔고 결국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대회 폐막을 하루 앞두고 제주 선수단은 연일 메달 소식을 전하며 목표 달성에 한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철희 / 제주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 "지금 예상했던 대로 선수들이 성적을 내주고 있는데요. 현재 저희들이 67개 메달을 획득하고 있고 오늘하고 내일까지 지금 결승에 진출해 있는 종목들이 많아가지고요. 무난하게 예상했던 100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육상에서는 강현중 선수가 남자 1500m T37 결승에서 6분24초57의 기록으로 우승하며 800m, 400m에 이어 2년 연속 3관왕에 올랐고 국가대표 강별은 여자 포환던지기 F37에서 은메달, 이동규는 남자 멀리뛰기 T37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수영에서는 고정선 선수가 자유형 400m S7에서 9분37초23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고 태권도에서는 오현우가 겨루기 -68kg DB에서 금메달, 조민수가 80kg DB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제주 선수단은 현재까지 금메달 33개, 은메달 16개, 동메달 14개 등 63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3년 연속 100개 이상 메달 달성에 성큼 다가서고 있습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
  • 2025.11.04(화)  |  이정훈
KCTV News7
00:39
  • <스포츠> 한라중·삼성초, 교육감배 육상경기대회 종합우승
  • 한라중과 삼성초가 지난 1일 제주종합경기장에서 열린 교육감배와 회장배 학교간 육상경기대회에서 각각 중등부와 초등부 종합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한라중은 남중부 112점, 여중부 91점으로 각각 첫 우승과 2연패를 달성했고 한라초는 남초부에서 81점으로 첫 우승을 기록했습니다. 여자초등부에서는 삼성초가 82점으로 2년 연속 정상에 올랐습니다. 대회에서는 공던지기와 포환던지기에서 총 3개의 신기록이 수립됐습니다.
  • 2025.11.04(화)  |  이정훈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