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Launches Lifelong Learning
  • Starting next month, Jeju City will launch a lifelong learning initiative called ‘The Tamnaneun School’, offering citizens the flexibility to learn at their preferred time and location. The program will form learning groups of 10 to 15 people, and registrations can be made via email or by visiting the Jeju Lifelong Learning Center from April 14 to 25. Courses will cover various topics, including local specialties, humanities, and health. Participants can choose their preferred course and instructor, with Jeju City covering the instructor’s fees. Last year, 30 learning groups were operated, with 40% of participants coming from rural areas. 제주시, 평생학습 배달강좌 '더 탐나는 학교' 운영 제주시가 다음 달부터 시민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직접 학습할 수 있는 평생학습 배달강좌 '더 탐나는 학교'를 운영합니다. 배달강좌는 10명에서 15명 사이의 학습그룹을 구성해 오는 14일부터 25일까지 이메일 또는 제주시평생학습관에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학습분야는 동네특화와 인문교양, 건강문화 등으로 학습자가 원하는 분야의 강좌와 강사를 직접 선택해 신청하면 제주시가 강사비를 지원합니다. 한편 지난해에는 30개 학습그룹이 운영됐고 읍면지역 참여율은 전체의 40%를 차지했습니다.
  • 2025.04.09(wed)  |  이현
  • Jeju Inspects Flood Gear
  • Jeju City, in coordination with local disaster prevention teams, is carrying out inspections of flood prevention equipment across towns and districts. The inspection is part of a proactive effort to prepare for summer natur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and typhoons. It will focus on ensuring the readiness of key flood response equipment, including water pumps, submersible pumps, and chainsaws. Through this inspection, Jeju City aims to identify and address any equipment shortages, ensuring that all necessary resources are fully stocked before the start of the rainy season. 제주시,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읍면동 수방자재 점검 제주시가 지역자율방재단과 함께 읍면동 수방자재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이번 점검은 집중호우와 태풍 등 여름철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침수 피해 복구 필요 장비인 양수기와 수중펌프, 기계톱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입니다. 제주시는 점검을 통해 부족한 물품에 대해서는 우기가 다가오기 전에 보완할 방침입니다.
  • 2025.04.09(wed)  |  이현
  • Jeju Attracts Incentive Tourists
  • The efforts to attract incentive tourists, especially from Greater China, have shown positive results. Jeju Province recently secured the arrival of around 1,000 employees from China’s state-owned Ansu (안수) Group and more than 2,000 staff members from Taiwan’s leading restaurant chain, Wang Pin Group.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alone, 16 incentive groups?totaling over 5,400 people?were confirmed to visit Jeju, already surpassing half the number of groups supported throughout all of last year.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incentive tourism from Greater China, Jeju is boosting its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subsidies, broadening the scope of support, and rolling out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중화권 기업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 성과 중화권을 중심으로 한 기업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중국 국유기업 인수그룹 약 1천 명, 대만 대표 외식기업인 왕품그룹 임직원 2천여명의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올 1분기에만 16건에 5천 400여명의 인센티브 단체 유치가 확정됐으며 지난해 개최 지원한 단체 인원의 이미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제주도는 중화권 인센티브 관광 수요 증가에 따라 지원금 상향과 지원 대상 확대, 맞춤형 마케팅 등 유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25.04.09(wed)  |  이현
  • Jeju Apartment Outlook Drops
  • The outlook for apartment sales in Jeju has deteriorated, according to local housing developers. The Housing Industry Research Institute's apartment sales outlook index for Jeju fell to 75 this month, down 7.4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The institute attributed the decline to Jeju’s continuing population decrease and the sluggish recovery of the local economy, which have raised concerns over a long-term drop in housing demand, reflected in the weakening sales outlook. An index score below 100 indicates that more housing developers hold a negative outlook on the market than a positive one. 아파트 분양 전망 '침울'…"더딘 경제 회복 영향" 도내 주택사업자들의 아파트 분양 전망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이달 제주지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5로 전월 대비 7.4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연구원은 제주의 경우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고 지역경제 회복이 더뎌 장기적인 주택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분양심리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100 미만이면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주택사업자가 더 많다는 뜻입니다.
  • 2025.04.09(wed)  |  이현
  • 19 Acquitted in 4·3 Re-Trial
  • In the second retrial of the Jeju April 3rd military tribunal cases held this year, all 19 victims were acquitted. In its 59th official retrial, the 4·3 retrial division of the Jeju District Court declared all 19 former prisoners of war innocent, accepting the request made by the joint prosecution team. As a result, the individuals have been fully exonerated, restoring their honor after 77 years. Since the start of the official retrials in 2022, 2,166 of the 2,530 individuals sentenced in the original military trials have been acquitted. The remaining 364 individuals were either not officially recognized as victims or were unable to undergo retrial proceedings due to issues such as unresolved identity verification. 4·3 군사재판 수형인 19명 재심 '모두 무죄' 올해 두번 째로 열린 4.3 군사재판 재심에서 희생자 19명이 모두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제주지방법원 4.3 재심 재판부는 검찰 합동수행단이 청구한 제59차 직권 재심 재판에서 수형인 19명에게 모두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로써 이들은 77년 만에 누명을 벗고 명예를 회복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된 직권재심 재판을 통해 군사재판 수형인 2천 530명 중 2천 166명이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나머지 364명은 희생자로 최종 의결되지 않았거나 추가 신원확인 등을 이유로 재심 재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2025.04.09(wed)  |  이현
  • Earth Day event on Mt.Hallasan
  • To mark Earth Day, the Jeju Hallasan National Park Management Office is launching a "No Disposable Items on Hallasan" campaign from April 12 to 22. Participants are encouraged to share photos of themselves using eco-friendly items, such as tumblers, reusable lunch boxes, handkerchiefs, or raincoats, on the park’s official social media channels. A draw will be held at the end of the event, with 22 winners receiving small commemorative gifts. In addition, the Hallasan National Park will roll out a series of environmental initiatives in coming months. These include a plogging event where participants pick up litter while jogging, at Witse Oreum (윗세오름) in May and a quiz event to commemorate the inscription of Hallasa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June. 지구의 날 '일회용품 없는 한라산' 인증 행사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가 지구의 날을 맞아 오는 12일부터 22일까지 일회용품 없는 한라산 인증 행사를 진행합니다. 한라산 공식 사회관계망에 텀블러나 다회용 도시락 이용, 손수건 사용, 다회용 우비 착용 등의 모습을 촬영해 게시하는 방식이며 추첨을 통해 22명에게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합니다. 한라산국립공원은 이 외에도 5월 윗세오름 일대 플로깅과 6월 세계자연유산 등재 기념 퀴즈 풀기 등 다양한 환경보전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2025.04.09(wed)  |  이현
  • Illegal Dumping Tarnishes the Beauty of Gapado
  • Around this time of year, Gapado Island welcomes a growing number of tourists drawn by its beautiful green barley fields. However, the island’s unspoiled beauty is being marred by the illegal dumping of waste. Todd Thacker reports. Illegal Dumping Tarnishes the Beauty of Gapado [Slug] Gapado Island, Daejeong-eup, Seogwipo City Gapado Island draws many visitors with its vast green barley fields, vibrant canola flowers, and scenic coastline. [Slug] Illegal waste dumping near the island’s only recycling center But nearby Gapado’s only recycling center, various types of waste?wooden planks, scrap metal, and even recycling bins?are strewn about. [Slug] Anti-dumping signs ignored Warning signs stating that illegal dumping will result in fines are blatantly disregarded. And that's not all. The nearby undergrowth is in even worse condition. [Slug] Shellfish waste dumped Discarded shrimp, mussel, and conch shells give off a foul smell and attract flies. [Slug] Recycling bins abandoned, resembles a dump site Recycling bins marked for emergency use are left to rust, giving the area an appearance of a garbage dump. [Slug] Dumping sites near walking trails discourage visitors Each of these dumping sites is located right next to walking trails, unsettling visitors and detracting from their experience. INTERVIEW Lee Jae-yeol / Ido-dong, Jeju City It’s disheartening to see trash in such a beautiful and pleasant environment. If it were cleaned up, it would be truly wonderful. Seogwipo City Daejeong-eup Official "We will confirm the situation on-site and dispose of the garbage quickly." "We will crackdown on illegal dumping and monitor recycling bins." An official from Daejeong-eup stated that after inspecting the illegally dumped waste, they will reinforce recycling bin management and regulations and remove the waste promptly. [Slug] 66 cases of illegal dumping caught last year Last year, 66 cases of illegal dumping were reported in Seogwipo City, resulting in fines totaling 5.6 million won.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Jwa Sang-eun [CG] Park Si-yeon Although more CCTV cameras have helped reduce violations, illegal dumping continues, underscoring the need for greater civic responsibility. Todd Thacker, KCTV 천혜의 자연인데…비양심 투기 '눈살'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도] 드넓은 청보리 밭과 유채꽃, 아름다운 해안선 등이 조화를 이뤄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가파도. [재활용도움센터 인근에 폐기물 등 무단 투기] 가파도의 유일한 재활용도움센터 인근에 나무 판자와 철재 등 각종 폐기물은 물론 재활용품 수거함까지 널브러져 있습니다. [쓰레기 무단 투기 경고문 '무색'] 쓰레기를 무단 투기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경고문이 무색할 정도입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인근에 또 다른 수풀은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홍합·소라 껍데기도 버려져…악취·날파리떼 발생] 홍합과 소라, 새우 껍데기 등이 버려져 악취가 심하고 날파리 떼까지 기승을 부립니다. [재활용 수거함까지 방치…쓰레기장 연상] 또한 폐기물과 함께 비상용이라고 적힌 재활용품 수거함들이 녹슨 상태로 방치돼 그야말로 쓰레기장을 방불케 합니다. [투기 장소 걷기 코스와 인접…방문객 '눈살'] 쓰레기가 무단 투기된 장소들은 하나 같이 걷기 코스와 인접해 있어 방문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인터뷰 : 이재열 / 제주시 이도동> 수려하고 좋은 환경에 쓰레기가 있어서 상당히 마음이 안 좋습니다. 이런 게 정리되고 깨끗하게 되면 더없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정읍 관계자는 현장 확인을 통해 빠른 시일 내 무단 투기된 폐기물과 쓰레기를 처리하고 무단투기 단속과 재활용 수거함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무단 투기 66건 적발…비양심 행위 지속] 지난해 서귀포시 지역에선 66건의 무단 투기가 적발돼 56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습니다. [영상취재 : 좌상은, 그래픽 : 박시연, KCTV : Todd Thacker] CCTV 확충 등의 영향으로 적발 건수는 줄고 있지만 여전히 비양심 행위가 잇따르는 만큼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4.09(wed)  |  이현
  • Seogwipo Expands Feed Subsidy
  • Seogwipo City is expanding its eco-friendly feed subsidy program in an effort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sustain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seafood. This year, the program will support 158 aquaculture farms with a total budget of 5.79 billion KRW. Beginning this year, the subsidy will also extend to farms that use a combination of compound feed and live feed. Each farm will be eligible for an annual subsidy of up to 230 million KRW. Seogwipo City also plans to conduct feed usage inspections at least once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the year for participating farms. 서귀포시, 양식어가 친환경 배합사료 직불제 확대 서귀포시가 친환경 수산물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배합사료 직불제 지원을 확대합니다. 올해 지원 규모는 양식어가 158곳을 선정해 57억9천만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부터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용해 사용하는 어가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됩니다. 어가당 연간 지원 한도는 최대 2억3천만원으로 서귀포시는 선정된 양식어가를 대상으로 상.하반기 1회 이상 사용실태를 점검할 계획입니다.
  • 2025.04.07(mon)  |  이현
  • Jeju Public Subsidy Deadline
  • The deadline for this year’s Basic Public Subsidy is approaching on April 30, and Jeju City is encouraging eligible residents to apply promptly. According to Jeju City, around 14,900 applications had been received as of last month, about 84% of the number submitted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To avoid any disadvantages from missing out, the city is urging residents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before the deadline. Eligible applicants for the public subsidy include farmer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owning rice fields, crop fields, and disadvantaged farmland.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in person at the local district community centers. 제주시,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30일 마감 올해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이 오는 30일 마감되는 가운데 제주시가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공익직불금 접수 현황은 1만 4천 900여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4%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신청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기한 내에 신청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공익직불금 지급 대상은 쌀과 밭, 조건불리 직불금 대상 농지를 소유하고 있는 농업인과 농업법인으로 농지소재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 2025.04.0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