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Adds 4·3 Guides to School Trip Tours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provide Jeju 4·3 guides for school trips to the island. This initiative aims to educate students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eju 4·3 Incident while also revitalizing the tourism industry. To this end, the office signed an agreement with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in January and has since coordinated with nin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nationwide,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arrange school visits to Jeju. 도교육청, 수학여행단에 제주4·3 해설사 지원 제주도교육청이 제주를 찾는 수학여행단에 제주 4.3해설사를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수학여행단에게 4.3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제주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제주도교육청은 지난 1월 제주도관광협회와 업무협약을 맺은데 이어 서울시교육청을 포함한 전국 9개 시도교육청과 수학여행단의 제주 방문을 협의했습니다.
  • 2025.03.24(mon)  |  이현
  • Jeju Tops Nation in Divorce Rate
  • The Province recorded the highest crude divorce rate in the country last year, with the number of divorces also seeing the sharpest increase nationwide.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2024 marriage and divorce report, there were 1,648 divorces in Jeju in 2023, a 10.4%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 the highest growth rate among Korea’s 17 provinces and metropolitan cities. The crude divorce rate, which represents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eople, stood at 2.5% also the highest in the nation. Meanwhile, the number of marriages on the island increased by 5% year-on-year, totaling 2,744 cases. 지난해 제주 조이혼율 2.5%로 '전국 최고' 지난해 제주지역의 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인 조이혼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가운데 이혼건수도 최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혼인 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이혼건수는 1천648건으로 전년보다 10.4% 증가하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인 조이혼율은 2.5%로 이 역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도내 혼인건수는 1년 전과 비교해 5% 늘어난 2천74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 2025.03.24(mon)  |  이현
  • Jeju Expands Interest Support to All Residents
  • This year the Province, which has been offering interest support for policy-based financial products for low-income residents, will significantly expand both recipients and applicable products. Notably, the support, which was previously limited to youth aged 19 to under 39 will be available to all residents. The number of supported products will also increase to four, including loans for workers, youth, and special guarantees for those with low credit ratings. Eligible residents can receive up to 600,000 KRW in support across the four products. Jeju is also working with the Korea Inclusive Finance Agency to build a new system, allowing residents to easily apply through identity verification. 정책서민금융 이자 지원사업 전 도민으로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정책서민금융상품에 따른 이자를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부터 지원대상과 적용 상품을 대폭 늘립니다. 특히 지원대상을 기존 19살 이상 39살 미만의 청년층에서 전 도민으로 확대합니다. 또 적용 상품 또한 근로자햇살론과 햇살론유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4개로 늘립니다. 이에따라 지원금액은 4개 상품을 모두 합산해 최대 6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이와 함께 서민금융진흥원과 협업해 전산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고 복잡한 서류 제출없이 본인 인증만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습니다.
  • 2025.03.24(mon)  |  이현
  • LH to Buy 3,000 Unsold Homes
  •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has announced it will 3,000 unsold newly-built homes across regional areas. The program targets all region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LH will determine whether to purchase properties based on their potential for rental use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conversion to ownership. The purchase price will be set within the maximum allowable price, based on the selling price proposed by each seller. LH will purchase properties starting from those with the lowest asking prices. The acquired homes will be offered as “Convertible and Stable Jeonse,” an annual lease, allowing tenants to live there under a long-term lease at approximately 90% of market value for six years, with an option to purchase the property at a discounted price afterward. LH,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천호 매입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1일부터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천호에 대한 매입공고를 실시합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임대 활용 가능성과 분양전환 가능성 등을 고려해 신청 주택의 매입 여부를 결정합니다. 매입 가격은 매입 상한가 내에서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로 결정되며, 매도 희망가가 낮은 주택부터 순차적으로 매입합니다. 매입한 주택은 시세 대비 90% 수준의 전세로 6년간 거주 후 저렴하게 분양전환 받을 수 있는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합니다.
  • 2025.03.24(mon)  |  이현
  • Korea Eases Visas for China
  •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ll temporarily allow visa-free entry for Chinese group tourists during the third quarter of this year. The plan was announced as part of the “Global Growth Strategy for Inbound Tourism” during an economic review meeting. Currently, Chinese tourists are only allowed to stay visa-free for up to 30 days in Jeju. This will be the first time such visa-free access is extended nationwide. As Chinese tourists make up approximately 70% of all foreign visitors to Jeju, the measure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sland. 중국 관광객 무비자 한시적 확대…제주 영향 촉각 정부가 올 3분기 중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관광 분야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이 같은 방안을 담은 방한 관광시장 글로벌 성장전략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중국인 관광객은 제주도에 한해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한데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에 따라 중국인 관광객 비중이 전체 외국인 여행객의 70%를 차지하는 제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25.03.24(mon)  |  이현
  • Underwater Drones Target Drug Smuggling
  • Maritime drug smuggling is on the rise across Korea. To counter the growing threat of drugs being hidden on ships, the Jeju Coast Guard is ramping up detection efforts?introducing underwater drones for the first time. Joseph Kim has more. Underwater Drones Target Drug Smuggling [Slug] Foreign crew arrested on suspicion of drug use This past January, the Coast Guard arrested an Indonesian crew member on suspicion of using methamphetamine. The number of offenders arrested last year was 16, more than five times higher than two years ago. [Slug] Growing concerns over maritime drug distribution and smuggling As the number of drug offenders increases, concerns over drug distribution and smuggling are also growing. Recently, there have been multiple attempts to smuggle drugs through airports, and risks of maritime smuggling ? which are more difficult to monitor and crack down on ? are also increasing. [Slug] Drugs Hidden in Ships: Smuggling Arrests Surge Nationwide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series of arrests across the country for maritime smuggling offenders who concealed drugs on ships or container vessels and brought them into the country. The amount of drugs smuggled via maritime routes nationwide increased more than sixfold from 100 kg in 2019 to 612 kg last year. ## [Slug] Drugs Hidden Under Hulls: Underwater Drones Deployed In response, the Coast Guard has decided to expand its ship drug detection equipment. To prevent crimes in which drugs are hidden under ships or in engine rooms, underwater drones capable of filming will b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Recording Kim Young-beom / Head of Narcotics Investigation Division, Jeju Coast Guard We are seeing cases of drug smuggling using ships, so we will do our best to eradicate drug crimes by strengthening ship inspections through the use of the underwater drones we plan to introduce. [씽크:김영범/제주지방해양경찰청 마약수사대장] 선박을 이용한 마약 밀반입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서 도입 예정인 수중 드론을 활용해 선박 검사를 강화하는 등 마약 범죄 근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n [CG] Yu Jae-gwang [Video Courtesy] Korea Coast Guard Start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Jeju Coast Guard plans to deploy new equipment, such as underwater drones, in actual operations and strengthen crackdowns, particularly on foreign crew members who are considered high-risk for drug-related crimes. Joseph Kim, KCTV 해상 마약 밀수 차단…수중드론 첫 도입 [외국인 선원 마약 투약 혐의 구속…검거 사범 급증] 지난 1월, 해경이 인도네시아 국적 선원을 필로폰 투약 혐의로 구속했습니다. 지난해 검거 사범은 16명으로 2년 전보다 5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투약 사범 증가세…마약 해상 유통·밀수 '우려'] 투약 사범이 늘면서 마약 유통과 밀수 우려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공항을 통한 마약 밀수 시도가 연달아 있었고, 단속이나 감시가 더 어려운 해상 밀반입 위험도 커지는 상황입니다. [선박·컨테이너선에 마약 숨겨 반입…밀수사범 전국 검거] 특히 선박이나 컨테이너선에 마약을 숨겨 국내로 들여오는 해상 밀수 사범이 전국에서 잇따라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해양을 통해 들여온 마약은 지난 2019년 100kg에서 지난해 612kg으로 6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선체 아래·엔진실 등에 마약 숨겨 반입"…수중 드론 첫 도입] 이에 따라 해경이 선박 마약 탐지 장비를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선박 아래나 엔진실 등에 숨겨 들여오는 범죄를 막기 위해 수중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올해 처음으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씽크:김영범/제주지방해양경찰청 마약수사대장] 선박을 이용한 마약 밀반입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서 도입 예정인 수중 드론을 활용해 선박 검사를 강화하는 등 마약 범죄 근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그래픽 : 유재광, KCTV : Joseph Kim] [화면제공 : 해양경찰청] 제주해경은 하반기부터 수중드론 등 신종 장비를 실전 투입하고, 마약 범죄 위험도가 높은 외국인 국적 선원들을 중심으로 단속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KCTV 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3.24(mon)  |  이현
  • Hallasan Ritual on 23rd
  • This year's Hallasan Ritual will take place on the morning of the 23rd at the Hallasan Shrine in Ara-dong (아라동), Jeju City. The Hallasan Ritual is a traditional ceremony that has been held since the Tamna (탐라) Kingdom era, wishing for the well-being and prosperity of the local residents. The chief ritual leader will be Governor Oh Young-hun (오영훈), supported by Jeju Provincial Council Chairman Lee Sang-bong (이상봉) joining as vice leader, and directed by Jeon Byeong-cheol (전병철), the head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Jeju Branch. In addition, the event will feature traditional performances, including the Shaman Dance, and various interactive programs including writing family mottos and hanging of wish papers. '도민 안녕·풍요 기원' 한라산신제 23일 봉행 올해 제주도 한라산신제가 오는 23일 오전 제주시 아라동 산천단 한라산신제단에서 봉행됩니다. 한라산신제는 도민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례로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제주의 대표적인 전통 제례입니다. 제례 초헌관은 오영훈 지사, 아헌관은 이상봉 도의회 의장, 종헌관은 전병철 한국농어촌공사 제주본부장이 맡게 됩니다. 행사장에서는 제례와 함께 한라산신놀이 등 전통문화 공연과 가훈 써주기, 소원지 달기 등 체험프로그램도 마련됩니다.
  • 2025.03.19(wed)  |  이현
  • Jeju Boosts Airport Noise Aid
  • Jeju Island is strengthening support for residents affected by airport noise. Key measures include increasing the subsidy for hearing aids for those with hearing loss from the previous 340,000 to 1 million KRW. The subsidy for Jeju Airport usage fees will also be expanded, from 4 times per year to 6. Currently, Jeju is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residents in aircraft noise-affected areas, including scholarships, soundproof libraries, and school bus services. 제주도, 공항소음 피해지역 주민 지원 강화 제주도가 공항소음 피해지역에 대한 주민 지원을 강화합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난청대상을 위한 보청기 지원금을 기존 34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제주공항 이용료 지원은 연간 4회에서 6회로 확대합니다. 제주도는 현재 공항소음 피해지역 주민에 대해 장학금과 함께 방음도서관과 통학버스 운영 등의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2025.03.19(wed)  |  이현
  • Oreum Management Policy Update
  • Jeju's Social Agreement Committee has adopted a recommendation for a management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oreum (오름) and plans to submit it to Jeju Island. The recommendation was prompted by concerns from residents, particularly regarding some Oreums, or volcanic cones, such as Abu Oreum (아부오름), which, in the past, were used as pastures and exposed their original ridges and craters. However, due to the proliferation of trees such as cypress and pine brought by the wind, these Oreums have lost their original appearance. The committee's recommendation includes a shift in policie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oreum, as well as efforts to create public consensus through a process of public discussion. In particular, to restore the landscape of Oreums with unique volcanic features, such as Abu Oreum, the committee has recommended reviewing institutional changes to allow for projects to remove brushwood. "개별 오름 특성 감안한 오름 관리정책 권고" 제주도 사회협약위원회가 개별 오름의 특성을 감안한 관리정책 권고안을 채택해 제주도에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권고안은 아부오름 등 일부 오름이 과거 목초지로 고유의 능선과 분화구를 드러내는 형태였지만 바람 등에 유입된 삼나무와 소나무 등의 증식으로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는 주민들의 문제 제기에 따라 시작됐습니다. 위원회가 마련한 권고안은 개별 오름의 특성을 감안한 관리 정책 전환과 공론화 과정을 통한 관리 정책의 도민 공감대 형성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아부오름과 같이 독특한 화산지형을 간직한 오름들의 경관 회복을 위해 잡목제거 사업이 가능하도록 제도개선의 검토 추진을 권고했습니다.
  • 2025.03.19(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