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t.Hallasan Hiking System Update
  • The Hallasan hiking reservation system, now in its fifth year, will undergo improvements to enhance user convenience. To achieve this, Jeju will conduct a survey of local residents this month to assess public perception, analyze the system's effectiveness and its necessity, areas for improvement, and its impact on Jeju's economy. Additionally, a policy forum will be held to share the survey results and gather expert opinions for further improvements to the reservation system. Starting next month, Jeju will allow students to hike Hallasan without a reservation, but only for educational activities. Currently, the Hallasan reservation system limits the number of daily visitors to 1,000 for Seongpanak (성판악) Trail and 500 for Gwanuemsa (관음사) Trail. 한라산 탐방예약제 '이용 편의' 제도개선 착수 한라산 탐방 예약제가 시행 5년 차를 맞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이용 편의를 위한 제도개선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이달 중에 탐방예약제 운영에 따른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해 운영효과와 필요성, 개선사항, 제주경제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아울러 인식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위해 탐방예약제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제주도는 이에 앞서 다음달부터 학생 체험활동에 한해 탐방 예약 없이도 한라산 출입을 허용할 예정입니다. 현재 한라산 탐방예약제에 따라 성판악 탐방객수는 1일 1천명, 관음사는 500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 2025.03.19(wed)  |  이현
  • Jeju Launches Travel Promotion Week
  • Jeju Island will run a special travel week from March 28th to April 6th, to recover from the ongoing decline in domestic tourists. During this ten day period, Jeju will distribute local currency ‘Tamnaneunjeon’ (탐나는전) to 5,000 tourists who participate in the "Jeju Promise" pledge at Jeju Airport. Additionally, 500 tourists who visit designated stores or businesses will receive souvenirs worth 20,000 KRW each. Benefits include the distribution of airline tickets in collaboration with airlines and a stamp tour utilizing famous drama filming locations, all aimed at attracting more domestic tourists. '관광객 유치' 특별 여행주간 운영…다양한 혜택 제공 제주도가 장기화되고 있는 내국인 관광객 감소세 회복을 위해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열흘동안 특별 여행주간을 운영합니다. 제주도는 이 기간 제주공항에서 제주와의 약속 서약에 참여한 관광객 5천 명을 대상으로 탐나는전을 지급합니다. 또 착한가격업소나 백년소상공인 업소 방문을 인증한 관광객 500명에게는 1인 2만원 가량의 기념품을 제공합니다. 이 밖에 항공사와 연계한 항공권 지급과 유명 드라마 촬영지를 활용한 스탬프 투어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혜택으로 내국인 관광객 유치에 나설 계획입니다.
  • 2025.03.19(wed)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Surge
  • The averag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private apartments in Jeju has increased by nearly 400,000 KRW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orea Housing & Urban Guarantee Corporation, as of the end of last month, the averag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private apartments in Jeju was 7.904 million KRW, which is a 399,000 KRW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Compared to last month, the sale price has risen by 200,000 KRW Jeju's apartment sale prices remain the second highest in the country, following Seoul, which recorded 13.396 million KRW per square meter. 제주 아파트 분양가 ㎡당 790만원…40만원 '껑충 제주지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가 1년 사이 40만원 가까이 뛰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제주지역 민간 아파트의 최근 1년간 평균 분양가격은 ㎡당 790만 4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9만원 7천원 올랐습니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20만원 오른 분양가입니다. 제주지역 아파트 분양가는 ㎡당 1,339만 6천원을 기록한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2025.03.19(wed)  |  이현
  • Jeju to Cultivate Carbon Forest Sink
  • Mangroves are plants that primarily grow in tidal flats or estuaries of subtropical regions and are known for their exceptional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capabilities. A plan is underway to create a forest using Jeju’s native plants, similar to mangroves, which have outstanding carbon absorption abilities. Todd Thacker reports. Jeju to Cultivate Carbon Forest Sink [Slu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Tropical and Subtropical Forestry Research Institute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is conducting an experiment on these mangroves imported from Vietnam. [Slug] 'Mangrove' Jeju climate adaptation test cultivation Coastal plants called mangroves are natural breakwaters due to their exceptional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capabilities, which a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rdinary trees. Tests are being conducted to evaluate their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island. [Slug] Native plants 'seaside hawthorn'·'yellow root' in the spotlight Along with mangroves, Jeju's native plants, seaside hawthorn and yellow root, are also gaining attention. [Slug] Resistant to salinity·submersion, with a high photosynthesis rate These plants are considered prime blue carbon species. They’re comparable to mangroves, due to their resilience to salinity and high efficiency in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Monitoring results show that their photosynthesis rate is almost double that of other shrubs. INTERVIEW Lee Bora / Research Fores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photosynthesis rate of yellow root and seaside hawthorn was observed to be 1.3 to 2 times higher than that of well-known species in Jeju, such as camellias and zelkova trees, according to literature. [인터뷰 이보라 / 국림산림과학원 임업연구사] 제주에 사는 동백나무나 느티나무 가시오가피 등 문헌에 알려진 광합성률보다는 황근과 갯대추나무가 1.3에서 2배 정도 높은 광합성률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Slug] Utilizing native plants similar to mangroves to create 'Carbon Forests' The province intends to create carbon forests using yellow root and seaside hawthorn, which possess carbon absorption capabilities comparable to mangroves. Jeju plans to invest 4.5 billion KRW by 2029 to establish 140 hectares of carbon forests using native mangrove-like species. [Slug] Expanding yellow root habitats starting with Seongsan-eup coastal areas The establishment of carbon forests will begin in Seongsan-eup, home to Korea's largest natural habitat of yellow root. The initiative will then expand primarily to the island’s eastern coast. PHONE INTERVIEW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In areas like Seongsan, such as Taehung-ri and Wimi-ri, yellow root grows naturally, so we plan to create forests focused on these colony areas along the coast of Jeju. [전화녹취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성산 같은 경우에는 태흥리, 위미리 쪽이 황근 자생지라고 해서 제주도 전역 해안지역에 군락지 위주로 숲을 조성하겠다는 겁니다. [Slug] Expected annual carbon dioxide absorption of 296 tons Once the carbon forests are fully developed, Jeju expects an annual absorption of 296 tons of carbon dioxide. [Slug] Classified as the only semi-mangrove species in Korea Yellow root and seaside hawthorn, Korea’s only semi-mangrove species, flourish in coastal areas. They are excellent carbon sinks that protect the coastline from erosion and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like typhoons and tsunamis.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Seung-cheol Native plant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potential protectors of Jeju’s natural ecosystem thanks to their scenic beauty and carbon absorption capabilities. Todd Thacker, KCTV 국내 최초 자생식물 '맹그로브 숲' 조성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국립산림과학원이 베트남에서 들여와 시험재배 중인 맹그로브입니다. ['맹그로브' 제주 기후 적응 시험재배] 일반 나무보다 탄소 흡수율이 높고 저장성도 뛰어나 바닷가 해안의 천연 방파제라 불리는 식물입니다. 제주 기후 변화에 적응력 등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자생식물 '갯대추나무'·'황근' 주목] 이 맹그로브와 함께 제주 자생 식물인 갯대추나무와 황근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염분·침수 등에 강하고 광합성률 높아] 염분 등에 강하면서도 탄소 흡수와 저장 능력이 뛰어난 블루카본의 대표수종으로 맹그로브 못지 않습니다. 특히 모니터링 결과 광합성률이 다른 관목과 비교해 최대 갑절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이보라 / 국림산림과학원 임업연구사 ] 제주에 사는 동백나무나 느티나무 가시오가피 등 문헌에 알려진 광합성률보다는 황근과 갯대추나무가 1.3에서 2배 정도 높은 광합성률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맹그로브 유사 자생식물 활용 '탄소 숲' 조성] 제주도는 이처럼 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난 맹그로브와 유사한 황근과 갯대추나무를 활용해 탄소 숲 조성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45억원을 투입해 제주 자생 맹그로브 식물로 탄소 숲 140헥타르를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황근 자생지 성산읍 등 해안지역 중심으로 확대] 탄소 숲은 국내 최대 황근 자생지인 성산읍을 시작으로 제주 동쪽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전화녹취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 성산 같은 경우에는 태흥리, 위미리 쪽이 황근 자생지라고 해서 제주도 전역 해안지역에 군락지 위주로 숲을 조성하겠다는 겁니다. [연 296톤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 '기대'] 제주도는 예정대로 탄소 숲이 조성되면 연간 296톤의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 세미 맹그로브 수종으로 분류] 황근과 갯대추나무나무는 해안가에서도 잘 자라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미맹그로브 수종이라 분류됩니다. 더욱이 뛰어난 탄소 흡수원 역할 뿐만 아니라 태풍과 쓰나미 등 자연재해로부터 해안 침식이나 피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영상취재 : 김승철, KCTV : Todd Thacker] 제주 해안가를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며 경관적 가치를 지닌 자생식물들이 탄소 흡수라는 순기능까지 더해지면서 제주 자연 생태계 수호자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3.19(wed)  |  이현
  • Jeju Airport Debuts AI Translation
  • Korea Airports Corporation's ‘Jeju Airport’ has become the first of 14 airports nationwide to introduce a multilingual AI translation service. The AI translation service, available through kiosks, provides support in 13 different languages. When foreign-language speech is input, it is automatically translated in real-time and conveyed in Korean to the staff at the information desk. The staff then respond in Korean, which is automatically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and displayed on the kiosk. 제주공항 AI 다국어 통역서비스 첫 도입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이 공사에서 운영 중인 전국 14개 공항 가운데 최초로 다국어 AI 통역 안내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다국어 AI 통역 안내 서비스는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13개의 다양한 언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외국어로 입력된 음성은 실시간으로 자동 통역돼 안내데스크 직원에게 한국어로 전달되며 이후 직원이 한국어로 답변하면 다시 외국어로 자동 변환 후 키오스크에 표출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 2025.03.17(mon)  |  이현
  • Jeju Launches Multilingual Delivery
  • Jeju will introduce a foreign language delivery service for accommodation facilities on the public delivery app, called Mokkaebi (먹깨비). Guests can now scan a QR code in their rooms to automatically fill in accommodation details, including addresses and room information. The service will be available in 14 languages, including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Jeju plans to gradually expand the service to approximately 150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he province through a trial operation. 공공배달앱 숙박시설 외국어 배달서비스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공공배달앱인 '먹깨비'에 외국어를 지원하는 숙박시설 배달서비스를 도입합니다. 숙박시설 객실에 비치된 QR코드를 스캔하면 숙박업소 주소와 객실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시스템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14개 언어를 지원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도내 150여 개 숙박시설에서 시범 운영을 통해 서비스 대상을 점차 확대할 계획입니다.
  • 2025.03.17(mon)  |  이현
  • 34.7% of Spring Wildfires, Mostly Negligence
  • Due to the dry weather in spring, the higher likelihood of wildfires is calling for speci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there have been 101 wildfires in Jeju over the past five years, with 34.7% of them occurring between March and May during the spring season. In terms of causes, 73.3% of the fires were caused by negligence, such as garbage burning or cigarette butts. Fire authorities have urged the public to be particularly cautious with fire management during the dry, windy spring season, as it poses a greater risk. 들불화재 34.7% 봄철에 발생…대부분 '부주의'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해 들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 사이 제주에서 발생한 들불 화재는 101건으로, 봄철인 3월에서 5월 사이 전체의 34.7%가 발생했습니다. 원인별로는 쓰레기 소각이나 담배꽁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73.3%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기후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봄에는 위험한 만큼 불씨 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소방당국은 당부했습니다.
  • 2025.03.17(mon)  |  이현
  • Green Hydrogen Expansion Delayed
  • The expansion of green hydrogen charging facilities in Jeju is fac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Jeju Province, although the government secured a budget last year to expand three charging stations, not a single one has yet been developed. The delay is attributed to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preventing the acquisition of land, and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the private company handling the project is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making further progress challenging. Currently, the only green hydrogen charging station in the province is in Hamdeok (함덕). 그린수소 충전 시설 확충 '난항'…활성화 '한계' 도내 그린수소 충전 시설 확충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충전시설 3곳을 확충하기 위한 정부 예산이 확보됐지만 아직 한 곳도 추진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주민 반대에 부딪혀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최근 사업을 맡은 민간사업자가 자금난을 호소하며 당분간 정상 추진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도내 그린수소 충전시설은 함덕 충전소 1곳이 유일합니다.
  • 2025.03.17(mon)  |  이현
  • Jeju Housing Price Drops 1.23%
  • The official price of apartments, used as a basis for various tax calculations, has fallen for a second consecutive year.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official apartment price for January 1st this year shows a 1.23% decrease in Jeju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drop in price has narrowed by 0.85 percentage points from last year's 2.08% decline. There are approximately 154,500 apartments in the region, and the median price, when ranked by size, is 141 million KRW.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 1.23% 내려…하락폭 축소 각종 세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올해 1월 1일 기준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제주지역은 전년보다 1.23% 내렸습니다. 하락폭은 지난해 2.08%에 비해 0.85%포인트 축소됐습니다. 도내 공동주택 수는 15만 4500여호로 공시가격을 크기 순서대로 놓았을 때 가운데 있는 가격인 중위값은 1억 4천100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 2025.03.1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