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Expands Tamnanunjeon QR Pay
  • The Province is expanding the Tamnanunjeon QR payment service to enhance convenience for younger generations accustomed to mobile payments and for foreign tourists. The newly introduced QR payment system will allow users to make payments using Tamnanunjeon, Zero Pay, and foreign tourist payment methods through a single QR kit. Starting this month, the system will be gradually implemented, beginning with 13,000 Tamnanunjeon affiliated Zero Pay merchants, and expand to over 44,000 locations. There will also be special promotions target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users. 탐나는전 QR결제 전면 확대 제주도가 모바일 결제에 익숙한 젊은층과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편의를 위해 탐나는전 QR결제 서비스를 전면 확대합니다. 새롭게 도입되는 탐나는전 QR 결제시스템은 하나의 QR키트에서 탐라는전과 제로페이, 외국인 관광객 결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달부터 제로페이 가맹점 가운데 탐나는전 가맹점 1만 3천개소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전체 4만 4천개소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상인연합회를 통해 설명회를 개최하고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특별 프로모션도 준비중입니다.
  • 2025.02.28(fri)  |  이현
  • Delivery Subsidy Resume…Up to 400,000 KRW
  • This year, Jeju Province has launched a subsidy program for additional delivery charges. As part of the initiative, Jeju has revamped the official website and distributed informational booklets to local community centers in each town, township, and district. The subsidy provides up to 400,000 KRW per person, with a maximum of 400,000 KRW for incoming and 200,000 KRW for outgoing parcels. If the additional delivery charge is explicitly stated, it will be fully covered. However, for cases where it is not specified, a fixed amount of 3,000 KRW per parcel will be provided. The subsidy is retroactively applied to delivery costs paid from January 1 of this year. Applicants must submit a copy of the invoice listing themselves as the sender, proof of completed transactions, or records of delivery fee payments. Manually recorded Excel lists from courier agencies will no longer be accepted.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until November, but the program may close early if funds are exhausted. '최대 40만원' 추가배송비 접수 시작 올해 제주지역 택배 추가 배송비 지원 사업이 시작됩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위한 홈페이지를 개편하고 각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인을 위한 안내책자를 배포했습니다. 지원금은 1인당 최대 40만 원이며 수신 택배는 40만 원, 발신 택배는 2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추가배송비가 명시된 경우 전액 지원하지만 미표시건은 1건에 3천원이며 올해 1월 1일 결제한 비용부터 소급 적용됩니다. 신청인 본인이 '발송인'으로 기재된 택배 운송장 사본이나 이용완료 내역, 택배비 지불 내역을 제출해야 하며 기존에 인정되던 택배 대리점의 엑셀 수기 내역은 접수하지 않습니다. 접수는 11월까지이며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에 마감될 수 있습니다.
  • 2025.02.28(fri)  |  이현
  • Steller Sea Lion Appears in Jeju Waters
  • A Steller sea lion, a Grade 2 endangered marine mammal, has been spotted in the waters off Jeju. This species is rarely seen in Korea and is usually found along the east coast, making its appearance in Jeju highly unusual. Experts speculate that it may have traveled south in search of food. Joseph Kim reports. Endangered Steller Sea Lion Appears in Jeju Waters [Slug] September 25th, Near Chujado Waters The waters near (추자도) Chujado Island. A strange animal catches the eye on a coastal rock. [Slug] Steller sea lion spotted by a fishing team With its smooth, streamlined body, grayish-brown fur, and rounded forehead, the animal is identified as a Steller sea lion. It raises its thick neck high, looking around, and then gracefully swims in the sea. Recording Yang Seung-hyeok / Steller Sea Lion Observer I initially thought it was a turtle surfacing, but as it got closer, I realized it was a Steller sea lion. I was fishing at the time, and I was both surprised and fascinated, so I kept filming it. <싱크 : 양승혁 / 큰바다사자 발견자> 거북이가 수면 위로 몸을 내민 모습인 줄 알았는데 점점 가까이 오더니 그게 큰바다사자더라고요. 낚시를 하다가 놀라기도 하고 신기해서 계속 촬영했습니다. [Slug] Steller sea lion classified as Grade 2 endangered wild species The Steller sea lion, a marine mammal, is classified as a Grade 2 endangered wild species. [Slug] Occasionally spotted in Korea’s East Sea, Rare appearance in Jeju This species mainly inhabits coastal areas from Siberia to the Bering Sea, Sakhalin, and the Kuril Islands. In winter, they sometimes appear in Japan’s Hokkaido and along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Over the past decade, fewer than ten Steller sea lion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making this sighting in Jeju particularly rare. [Slug] Second sighting since 2012, Likely came in search of food This is only the second recorded sighting in Jeju, following one in 2012 near (비양도) Biyangdo Island. Experts believe that the animal traveled south to Jeju in search of food. INTERVIEW Kim Byung-yeop / Professor at Jeju National University, Whale & Marine Life Conservation Research Center The individual spotted near Gwantaldo Island, Chujado, appears to be in good health based on its activity and movement. This is the first documented case of a live, active Steller sea lion in this region. <인터뷰 : 김병엽 제주대학교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교수> 추자도 관탈섬 인근에서 나타난 개체의 경우 활동하고 움직이는 상태를 봐서 건강해 보이고요. 이렇게 살아서 활동하는 자료는 처음입니다.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Seung-cheol [Video Courtesy] Viewer, Yang Seung-hyeok Experts suggest that the sighting may be linked to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marine ecosystems, emphasizing the need for institutional monitoring and further research. Joseph Kim, KCTV 멸종위기 큰바다사자 제주서 포착…"이례적" [지난25일, 추자도·대관탈도 인근 해상] 추자도 인근 해상. 갯바위 위에 낯선 동물이 눈에 띕니다. [민간 낚시팀 활동 중 '큰바다사자' 포착] 매끈한 유선형 몸에 회갈색 털, 둥글게 솟아오른 이마가 특징인 큰바다사자입니다. 두꺼운 목을 높게 빼며 이리저리 둘러보는가 하면 바다에 들어가 유유히 헤엄도 칩니다. <싱크 : 양승혁 / 큰바다사자 발견자> 거북이가 수면 위로 몸을 내민 모습인 줄 알았는데 점점 가까이 오더니 그게 큰바다사자더라고요. 낚시를 하다가 놀라기도 하고 신기해서 계속 촬영했습니다. [큰바다사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분류] 해양 포유류인 큰바다사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 동해에서 가끔 발견…제주 출몰 이례적] 시베리아 연안으로부터 베링 해, 사할린, 쿠린 열도에 주로 서식하는데 겨울에는 일본 홋카이도와 우리나라 동해안에 간혹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지난 10년 동안 큰바다사자가 발견된 건 10마리 내외로 제주에서 모습을 보인 건 매우 이례적입니다. [지난 2012년 발견 이후 두번 째…"먹이 찾아 온 것으로 추정"] 지난 2012년 비양도 해상에서 첫 발견 이후 두 번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먹이를 찾아 제주까지 내려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병엽 제주대학교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교수> 추자도 관탈섬 인근에서 나타난 개체의 경우 활동하고 움직이는 상태를 봐서 건강해 보이고요. 이렇게 살아서 활동하는 자료는 처음입니다. [영상취재 : 김승철, KCTV : Joseph Kim] [영상제공 : 시청자 양승혁] 전문가들은 큰바다사자 발견이 기후변화로 인한 어장 환경 변화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기관 차원의 모니터링과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KCTV 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2.28(fri)  |  이현
  • Seogwipo Opens Walking Fest Signup
  • Seogwipo City is accepting pre-registrations for the 27th Seogwipo Canola Flower International Walking Festival until the 17th of next month. The festival will take place from March 22 to 23, featuring three course options: 5km, 10km, and 20km. Pre-registration is limited to 2,000 participants, and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through the Seogwipo City Tourism Association website. Participation is free, and those who complete their chosen course will receive an official completion certificate from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제27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사전 접수 서귀포시가 다음달 17일까지 제27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사전 접수를 받습니다. 이번 걷기대회는 다음달 22일부터 23일까지 5km, 10km, 20km 3개 코스로 운영됩니다. 사전 모집 인원은 2천명으로 서귀포시관광협의회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참가비는 무료로 당일 코스를 완주하면 한국체육진흥회 인증 완보증이 수여됩니다.
  • 2025.02.26(wed)  |  이현
  • Jeju Recruiting Dolphin Supporters
  • Jeju Island is recruiting additional supporters for the nation’s first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Ecological Corporation initiative. Supporters will participate in campaigns and plogging events to promote the designation of the ecological corporation. They will also share and promote various activities through social media. Last year, Jeju Island recruited 117 supporters from a wide range of age groups, from students to middle-aged and older participants, during the first round of recruitment. 제주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서포터즈 추가 모집 제주도가 국내 최초로 추진중인 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서포터즈를 추가 모집합니다. 서포터즈는 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지정을 위한 캠페인과 플로깅 행사에 참여하고 다양한 활동 내용을 사회관계망을 통해 공유하며 홍보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차 모집을 통해 도내 학생부터 중장년층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의 서포터즈 117명을 모집한 바 있습니다.
  • 2025.02.26(wed)  |  이현
  • Recruiting Participants for Car CO2 Cut Plan
  • Jeju City and Seogwipo City will begin accepting applications for the Carbon Neutrality Point Program in the automotive sector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starting April 4. This program provides incentives ranging from 20,000 KRW to a maximum of 100,000 KRW based on reduced driving distances. Owners of non-commercial vehicles with up to 12 seats are eligible to apply through the official website. Vehicle owners may register one car under their name, and electric, hybrid, and hydrogen vehicles are excluded. Both city governments will distribute incentives at the end of the year based on the reduction performance during the participation period. 행정시, 자동차 분야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자 모집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다음 달 4일부터 자동차 분야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자를 선착순으로 모집합니다. 운전자가 주행거리를 감축한 경우 실적에 따라 2만 원에서 최대 10만 원까지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로 12인승 이하 비사업용 차량이면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소유주 명의로 1인당 1대만 참여 가능하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수소차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양 행정시는 참여기간 감축실적에 따라 연말에 인센티브를 지급할 예정입니다.
  • 2025.02.26(wed)  |  이현
  • Seogwipo Warns of Disease Spread
  • Seogwipo Public Health Center has issued a health advisory ahead of the new school term in March, urging caution agains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hickenpox and whooping cough. Chickenpox is most prevalent between April and July each year, primarily affecting young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7 to 9. Whooping cough, in particular, requires extra caution as it is highly contagious, with a secondary infection rate of up to 80% within households. To prevent infections, the health cent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accinations and practicing personal hygiene measures. 서귀포보건소, 신학기 수두·백일해 등 감염병 주의 당부 서귀포보건소가 오는 3월 학교 개학을 맞아 단체 생활로 확산될 수 있는 수두와 백일해 등 감염병 예방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수두는 매해 4월에서 7월 사이 유행하며 주로 7살에서 9살까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백일해는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할 만큼 전염력이 매우 강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건소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과 개인 위생 수칙 실천 등을 당부했습니다.
  • 2025.02.26(wed)  |  이현
  • Bank of Korea Cuts Key Rate
  • The benchmark interest rate, which had been on hold last month, has been lowered by 0.25 percentage points. On the 25th, the Bank of Korea’s Monetary Policy Board held its second annual policy meeting and decided to cut the benchmark interest rate from 3.0% to 2.75%. The rate had been frozen at 3.5% for a record 13 consecutive meetings before being lowered twice in a row last October and November, then held steady again last month. Despite concerns over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 decision to cut the interest rate is attributed to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amid domestic and global risks. 한은, 기준금리 연 2.75%로 인하…0.25%P 낮춰 지난달 동결로 숨고르기에 들어갔던 기준금리가 다시 0.25%포인트 인하됐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5일 올해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3%에서 연 2.75%로 0.25%포인트 낮췄습니다. 기준금리는 연 3.5%에서 역대 최장인 13차례 연속 동결되다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연속 인하됐고 지난달엔 다시 동결됐습니다. 원달러 환율 부담에도 국내외 악재 속에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기준금리가 인하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 2025.02.26(wed)  |  이현
  • Jeju Expands Haenyeo Safety Program
  • Jeju is expanding its support program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mong Haenyeo female divers. This year, the province will distribute 300 smartwatches capable of monitoring heart rate and detecting falls. Additionally, it will expand on-site safety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improving CPR skills. Furthermore, Jeju Island plan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occupational disease treatment, distribute safety equipment including colored Haenyeo wetsuits and protective nets for diving buoys, expand coverage for safety insurance premiums, and implement allowances for elderly Haenyeo. '스마트 워치 보급' 해녀 안전사고 예방 지원 확대 제주도가 해녀들의 안전사고 예방 지원 사업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올해 심박도와 낙상감지 확인 등이 가능한 스마트워치로 300대를 보급합니다. 또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확대하고 특히 심폐소생술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춥니다. 제주도는 이와 함께 직업성 질환 진료비 지원과 함께 유색 해녀복과 태왁 보호망 등 안전장비 보급, 안전보험 가입비 확대, 고령해녀 수당 지급 등을 추진합니다.
  • 2025.02.26(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