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First SFTS patient Reported in Jeju
  • The first Severe Fever with SFTS case of the year has been reported in Jeju. According to the Province, a 72-year-old woman living in Seogwipo City, who had been engaging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fernbrake harvesting since early last month, developed symptoms including fever and general weakness on the 22nd. She tested positive for SFTS and is currently receiving treatment at a hospital in Jeju City. Ticks are highly active from spring to fall, and exposure is more likely in grassy areas at ankle height in mountainous regions, prompting authorities to urge caution. Experts advise wearing long sleeves and long pants during farming or outdoor activities, and checking for ticks while washing after such activ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Jeju has reported 28 cases of SFTS, with 3 resulting in death. 올해 첫 SFTS 환자 발생…고사리 채취 후 오한·발열 제주에서 올해 첫 중중열성혈소판증후군 SFTS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에 사는 72살의 여성이 지난달 초부터 고사리 채취 등 야외활동을 해 오다 지난 22일 발열과 전신쇠약감 등의 증상을 보여 검사한 결과 양성판정을 받았고 현재 제주시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진드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이 왕성하며 야산지역의 발목 높이 초지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작업이나 야외활동에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해야 하며 활동 후에는 몸을 씻으면서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SFTS 환자는 28명이며 이 가운데 3명이 숨진 바 있습니다.
  • 2025.04.28(mon)  |  이현
  • Free Bus Rides for Youth to Begin in August
  • Starting this Augu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ride buses for free, with no limit on the number of rides. Notably, express buses, often used by students commuting from rural areas, will also be covered under the free service. Joseph Kim reports. Free Bus Rides for Youth to Begin in August [Slug] Free bus rides for children under 13 starting this year Since earlier this yea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in Jeju have been riding buses for free. They can use all city buses, including airport limousine buses and express buses, without limit on the number of rides. [Slug] Free bus rides expand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free ride policy will now be expanded to inclu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rovince and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ich have been discussing the plan to provide free bus fares for youth, officially signed an agreement confirming this expansion. [Slug] Free bus rides for youth under 19 starting in August Starting in August, all youth under the age of 19 will be able to ride buses for free, anytime and anywhere. Recording Oh Young-hoon / Governor Not just during commuting hours ? even when meeting friends or going out to hang out, students can use buses for free throughout their daily lives. This is the first policy of its kind nationwide. [녹취 오영훈 / 제주도지사 ] 등하교 시간에만 지원을 받는 게 아니라 만나러 갈 때 또 어디 놀러 갈 때 다양한 일상을 보내는 과정에서도 버스를 이용할 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전국) 최초인 겁니다. The budget needed for this free bus ride initiative for youth will be mostly funded through the transportation subsidies that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d previously provided to students commuting long distances. [Slug] Out-of-school youth and express buses included Importantly, out-of-school youth ?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transportation subsidies ? will also now be eligible. Express buse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free service coverage. Recording Kim Gwang-soo / Superintendent,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eviously, teachers had to go through a lot of administrative work to assess distances and home addresses to allocate transportation subsidies for students. Resolving this burden carries significance. It allows teachers to use that time instead to better prepare for their classes and support students. [녹취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학생들 교통비 지원 문제가 거리라든지 거주지 등을 따져서 담임 선생님들에게 엄청나게 업무가 가중돼 있었거든요. 우선 이것을 해소했다는데 상당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 시간만큼 아이들에게 수업 준비를 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 거죠. [Slug] 250,000 residents eligible for free buses ? 36% of Jeju’s population With the expansion to include children, seniors aged 65 and older, and now youth, the number of people eligible for free bus rides will increase to 250,000 ? about 36% of Jeju's total population. The province and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re working quickly to issue transportation welfare cards and revise related ordinances so that youth can access the free service. [Reporter] Joseph Kim [Camera] Park Byeong-june The youth free bus fare policy, originally proposed by the Jeju Provincial Council, is expected to mark a turning point for youth public transportation usage in Jeju, as it expands transportation welfare to students without requiring a large additional budget. Joseph Kim, KCTV 8월부터 청소년도 버스 '무료'…급행버스도 포함 [올해부터 13살 미만 어린이 버스 무료 이용] 올해부터 제주지역 13살 미만의 어린이들은 버스를 무료로 이용중입니다. 이용 횟수에 상관없이 공항 리무진 버스와 급행버스 등을 모든 시내버스를 탈 수 있습니다. [버스 무료 탑승 중-고등학생까지 확대] 이같은 무료 정책이 중,고등학생들로 확대됩니다. 청소년 버스 요금 무료화 방안을 논의해 온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협약에 최종 합의하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8월부터 만19살 미만 청소년 버스 무료 탑승] 이에 따라 8월부터 만 19살 이하 모든 청소년은 시관과 장소에 관계없이 무료로 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녹취 오영훈 / 제주도지사 ] 등하교 시간에만 지원을 받는 게 아니라 만나러 갈 때 또 어디 놀러 갈 때 다양한 일상을 보내는 과정에서도 버스를 이용할 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전국) 최초인 겁니다. 청소년 버스 이용 무료화에 필요한 예산은 대부분 제주도교육청이 먼거리 통학 학생들에게 지원하던 교통비로 충당하게 됩니다. ["학교 밖 청소년 무료 이용…급행버스도 무료 탑승"] 무엇보다 종전에는 교통비 지원 대상에서 배제됐던 학교 밖 청소년들도 혜택을 받게 됩니다. 급행버스도 이번 무료 대상에 포함됩니다. [녹취 김광수 / 제주도교육감 ] 학생들 교통비 지원 문제가 거리라든지 거주지 등을 따져서 담임 선생님들에게 엄청나게 업무가 가중돼 있었거든요. 우선 이것을 해소했다는데 상당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 시간만큼 아이들에게 수업 준비를 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 거죠. [버스 무료 대상자 25만 명…제주 도민 36%] 어린이와 65세 이상 제주도민, 그리고 청소년까지 확대되면서 버스 무료 대상자는 25만명, 제주도민의 36%까지 늘어납니다.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은 청소년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복지카드 발급과 조례 개정 작업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KCTV : Joseph Kim] 제주도의회의 제안으로 시작된 청소년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 대규모 추가 예산 투입없이도 청소년들까지 교통 복지 대상에 포함하면서 제주지역 청소년 대중 교통 이용에도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입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4.28(mon)  |  이현
  • 20th Jeju Forum to Be Held Next Month
  • The 20th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will take place over three days, from May 28 to 30, at the Jeju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This year’s forum, held under the theme “Innovation for Peace and Shared Prosperity,” will feature a total of 53 sessions. In celebration of its 20th anniversary, the forum will launch a special program inviting youth from both Korea and the Asia-Pacific region, offering them a chance to participate in global discussions and promote exchange. Key sessions will also focus on the province’s core agendas, including carbon-centered policies and enhancing understanding of Jeju’s 2040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제20회 제주포럼 내달 28일부터 개최 제20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다음달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올해 포럼은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한 혁신'을 주제로 모두 53개 세션이 운영됩니다. 특히 올해는 20회 기념 특별사업으로 국내는 물론 아시아 태평양 지역 청년들을 초청해 글로벌 논의의 장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교류를 강화합니다. 또 도정 핵심 아젠다인 탄소 중심 세션과 2040 지속 가능 발전 기본전략 수립에 따른 이해 증진을 위한 세션도 열릴 예정입니다.
  • 2025.04.25(fri)  |  이현
  • Jeju’s Foreigner-Only Casino Revenue Surges by 80%
  • Revenue from foreigner-only casinos in Jeju saw a significant increase last year. According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total revenue from eight foreigner-only casinos on the island reached 458.9 billion KRW in 2023,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8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s a result, casino-related tax contributions also rose by 85%, reaching 43.2 billion KRW. The growth is attributed to the resumption of international flights and the expansion of direct routes to Jeju. 지난해 도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매출액 80% 증가 지난해 제주지역 외국인 전용 카지노 매출액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8곳의 매출액은 4천 589억 원으로 전년보다 80% 가량 늘었습니다. 이에 따른 카지노 납부금도 432억 원으로 전년보다 85% 증가했습니다. 카지노 이용 증가세는 국제선 운항 재개와 제주 직항 노선의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2025.04.25(fri)  |  이현
  • Jeju Aids Platform Worker Safety
  • The province has announced plans to support industrial workplace injury insurance premiums for platform delivery and mobile workers, and is now accepting applications. Eligible occupations include eight job categories such as parcel delivery workers, quick service drivers, substitute drivers, door-to-door instructors, and door-to-door salespersons. The subsidy will cover 90% of the individual’s share of the 2024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emium, with a maximum support amount of 150,000 KRW. The province will review the submitted documents to verify eligibility and insurance billing details, and plans to issue the first round of payments in June. 플랫폼 배달·이동노동자 산재보험료 90% 지원 제주도가 플랫폼 배달과 이동노동자에 대한 산재보험료를 지원하기로 하고 대상을 모집합니다. 지원 대상은 택배기사와 퀵서비스, 대리운전, 방문강사, 방문판매원 등 8개 직종으로 금액은 올해분 산재보험료 본인부담금의 90%를 합산해 최대 15만원입니다. 제주도는 접수된 서류의 자격조건 충족 여부와 산재보험료 부과내역 등을 확인한 후 6월 중 1차분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 2025.04.25(fri)  |  이현
  • Seogwipo Sues Navy Over Leak
  • In connection with a pipe damage incident at the Jeju Naval Base, Seogwipo City has filed a complaint against the Navy with the Autonomous Police. The city stated that it reported the Navy base unit earlier this month, citing a potential violation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s the leak and contamination incident was reported to authorities only after 40 days had passed. The incident occurred in January when a steel pipe about 10 centimeters in diameter was damaged, resulting in odor and leakage. Sample analysis revealed contamination levels more than four times higher than safety standards. However, the Navy did not notify Seogwipo City until mid-February, sparking criticism over the delayed reporting. 서귀포시, 오염 누출사고 '지연 신고' 해군 고발 제주해군기지에서 발생한 배관 파손 사고와 관련해 서귀포시가 해군을 자치경찰에 고발했습니다. 서귀포시는 "배관 파손과 오염물 누출 사고 발생 40일이 지나서야 당국에 신고한 것은 토양환경관리법 위반 소지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달 초 자치경찰에 해군 기지전대를 고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 해군기지에서 지름 약 10cm의 철제 배관 일부가 파손돼 악취와 누수가 발생했고 시료 분석 결과 안전 기준에 네 배가 넘는 오염 수치가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40일이 지난 2월 중순이 돼서야 서귀포시에 알리면서 지연 신고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 2025.04.25(fri)  |  이현
  • Majority of Teachers Oppose AI Digital Textbooks
  • A large number of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have expressed negative views on the government's push to introduce AI-powered digital textbooks. According to an online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Assembly Education Committee member Baek Seung-ah (백승아) from March 10 to April 6, over 6,300 educators from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ed that 86% of respondents criticized the AI digital textbook initiative, saying it is being hastily implemented without proper input from schools or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Additionally, 77% of teachers responded negatively to the “Neulbom(늘봄) School” policy, and 69.4% expressed disapproval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egration policy. 전국 교사 상당수 "AI디지털교과서 도입 부정적" 전국의 상당수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현 정부에서 추진중인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의원이 지난달 10일부터 4월 6일까지 전국 초중고와 특수학교 교직원 6천3백여 명을 대상으로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가 제대로 된 현장 의견수렴과 효과 검증 없이 졸속으로 추진해 학교 현장에 혼란을 주고 있다며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부정적으로 응답했습니다. 또 늘봄학교 정책도 교직원의 77% 가 부정적으로 답했고 유보통합도 69.4% 의 교직원이 부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2025.04.25(fri)  |  이현
  • Residential Height Limits Eased to 160m
  • The Province is significantly easing height restrictions that have been in place for the past 30 years, as part of efforts to develop a compact city. The current height-regulated zones will be maintained only in essential areas such a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s and flight safety zones, while most other areas are expected to be deregulated. Under the new proposal, a “standard height” will be applied, and a new concept of “maximum height” will be introduced. Buildings within the standard height can be constructed freely, while those exceeding it will require review by the Urban Architecture Joint Committee. The proposed maximum building heights are: 75 meters in residential areas, 90 meters in semi-residential areas, 160 meters in commercial areas. The province will collect public opinion until May 19, and finalize the plan through expert forums and public briefings in June. 고도 완화 추진…주거 75m, 준주거 90m, 상업 160m 제주특별자치도가 압축도시 조성을 위해 30년간 유지해 온 고도지구 규제를 대폭 완화합니다. 기존 고도지구는 문화유산보호구역과 비행안전구역 등 필수지역만 유지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해제하는 방향으로 추진됩니다. 현재 고도를 '기준높이'로 적용하고 별도의 '최고높이' 개념을 도입해 기준높이 내에 포함되면 자율건축을, 기준높이를 초과하면 도시건축공동위원회의 심의를 받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검토되고 있는 최고높이는 주거지역 75미터, 준주거지역 90미터, 상업지역 160미터입니다. 제주도는 다음달 19일까지 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6월 중에 전문가 토론회와 도민 설명회를 통해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2025.04.25(fri)  |  이현
  • Golden Holidays May Revive Jeju Economy
  •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visiting Jeju has dropped significantly, raising concerns within the tourism industry. Amid this downturn, the back-to-back golden holidays in May and June are drawing attention as potential relief in the drought. Joseph Kim reports. Golden Holidays May Revive Jeju Economy [Slug]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is is the domestic arrivals hall at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Despite the perfect spring weather for traveling, the terminal is quieter than in previous years. Both group and individual tourists appear to be fewer in number. [Slug] 14% drop in domestic tourists compared to last year So far this year,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visiting Jeju has decreased by about 14% compared to last year. With the drop in travelers, the tourism industry is pinning its hopes on the golden holidays in May and June. Sun Mon Tue Wed Thu Fri Sat May golden holiday Labor Day Buddha's Birthday Children's Day Substitute holiday Starting from May 1, Labor Day, and extending to the substitute holiday on the 6th, travelers can take up to six days off depending on their use of annual leave. As a result, airline tickets for the May holiday have quickly become scarce. In fact, on May 3, during the golden holiday weekend, only one evening flight remains available from Gimpo to Jeju. Finding return flights is even more difficult. [Slug] Jeju-to-Gimpo flights sold out for May 5?6 Flights from Jeju to Gimpo on May 5 and 6 have already sold out completely. [Slug] Premium hotel bookings at 90%, Rental cars and resorts also on the rise During this period, demand for airline tickets has pushed some premium hotels to reach a 90% booking rate, and reservations for resorts and rental cars are also on the rise. Sun Mon Tue Wed Thu Fri Sat Presidential Election Memorial Day Furthermore, with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set for June 3, travel demand is also surging for the newly formed golden holiday in June. PHONE INTERVIEW Representative from tourism industry in the Seoul metro area In April, inquiries about package tour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May holidays, we expect a big rise in demand for cost-effective domestic travel. Since June includes a holiday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we’re seeing a trend of early bookings during that time. [전화 인터뷰 : 수도권 관광업계 관계자] 4월 들어서 패키지 상품 문의가 굉장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5월 연휴 기간에는 가성비 높은 국내 여행 수요가 굉장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6월은) 연휴가 껴있고 대선이 있다 보니깐 초에 예약이 많이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Slug] Travel demand slumps due to reduced flights and economic slowdown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travel demand fell short of expectations due to a reduction in domestic flight seats, economic slowdown, and unstable geopolitical conditions.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Seung-cheol, Park Byeong-june [CG] Song Sang-yun As a result, the tourism industry is moving quickly to seize the potential boom of the May and June golden holidays. Joseph Kim, KCTV 가뭄 속 단비되나…더블 황금연휴 '기대감' [제주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국내선 도착 대합실입니다. 여행하기 좋은 완연한 봄 날씨에도 대합실은 예년보다 한산합니다. 단체는 물론 개별 관광객도 뜸해진 모습입니다. [올해 내국인 관광객 전년 대비 14% 감소] 올들어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14% 가량 줄었기 때문입니다. 여행객 감소로 시름에 빠진 관광업계는 5월과 6월에 이어지는 황금연휴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우선 다음 달 1일 근로자의날부터 대체휴일인 6일까지 연차 사용 여부에 따라 최장 6일간 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5월 연휴 항공권은 일찌감치 품귀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5월 황금연휴 주말인 3일에 예약 가능한 김포발 제주행 항공권은 저녁 시간대 1편에 불과합니다. 돌아가는 항공편 구하기는 더 어렵습니다. [5·6일 제주발 김포행 항공권 매진 행렬] 5일과 6일 제주에서 김포로 향하는 항공권은 일찌감치 전량 매진됐습니다. [일부 특급호텔 예약률 90%…렌터카 등도 상승세] 이 기간 항공권 수요와 맞물려 일부 특급호텔은 90%의 예약률을 기록하고 있고 리조트, 렌터카 등의 예약률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형성된 황금연휴에도 여행 수요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화 인터뷰 : 수도권 관광업계 관계자] 4월 들어서 패키지 상품 문의가 굉장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5월 연휴 기간에는 가성비 높은 국내 여행 수요가 굉장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6월은) 연휴가 껴있고 대선이 있다 보니깐 초에 예약이 많이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급석 감소·경기 침체 등에 여행 수요 '뚝'] 올해 1분기 여행 수요는 국내선 공급석 감소와 경기 침체, 불안정한 정세 등의 여파로 기대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영상촬영 : 김승철,박병준, 그래픽 : 송상윤, KCTV : Joseph Kim] 이로 인해 5월과 6월 황금연휴 특수를 잡기 위한 관련 업계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4.25(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