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Boosts Oreum, Wetland Restoration
  • Seogwipo City will invest 2 billion KRW this year to restore Oreums (parasitic cones) and Wetlands. A total of 27 sites, including Gasi (가시) Oreum and Nansan-ri (난산리) Wetland, are set for maintenance work, with efforts focused on repairing damaged safety facilities and dredging wetlands. Seogwipo City is prioritizing the preservation of its natural landscape as it moves forward with restoration efforts.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officials will carry out surveys to identify additional areas requiring maintenance, ensuring ongoing conservation work. 서귀포시, 오름·습지 27곳 정비‥20억원 투입 서귀포시가 올해 20억 원을 투입해 오름과 습지를 정비합니다. 정비 대상지는 가시오름과 난산리 습지 등 27곳으로 훼손된 안전시설 보강과 습지 준설 등을 중점점으로 실시합니다. 서귀포시는 정비 시 원형훼손을 최소화하고 하반기에는 읍면동 수요조사와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 추가 정비 필요 대상지를 검토 후 지속적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 2025.03.05(wed)  |  이현
  • Seogwipo Gives Trash Bags for Plogging
  • Seogwipo City is encouraging eco-friendly initiatives by providing dedicated trash bags to residents and tourists taking part in plogging?an activity that combines jogging with litter collection. As part of efforts to encourage activities that promote both health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each participant can receive one bag per day. The plogging bags can be requested by visiting Seogwipo City Hall or local town and district offices. Participants can dispose of the filled bags at nearby Clean Houses or Recycling Help Centers. Over the past two years, Seogwipo City has distributed approximately 14,000 plogging bags, with an estimated total of over 21 tons of waste collected through the initiative. 서귀포시, 플로깅 활동 전용봉투 지원 서귀포시가 플로깅에 참여하는 주민과 여행객들에게 플로깅 전용봉투를 지원합니다. 건강과 환경보전을 함께 실천할 수 있는 활동 독려의 일환으로 봉투는 1인당 1일 1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플로깅 전용봉투는 서귀포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하면 수령할 수 있고 플로깅 활동 후 쓰레기가 담긴 봉투는 가까운 클린하우스와 재활용도움센터에 배출하면 됩니다. 한편 서귀포시가 지난 2년간 지급한 플로깅 봉투는 1만4천여 매로 이를 통해 수거된 쓰레기는 21톤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 2025.03.05(wed)  |  이현
  • Jeju Police Crack Down on Voice Phishing
  • A voice phishing gang posing as official institutions and offering fraudulent loans has been repeatedly targeted by Jeju police. The Jeju Police arrested two cash collectors last December who impersonated institutions, met victims in person, and stole approximately 3.95 billion KRW. In September last year, police arrested nine suspects linked to money laundering. Acting on orders from a voice phishing network, they recruited bank accounts to receive stolen funds and handled money transfers. Two of them were remanded in custody. More than 1,100 cases of voice phishing have been reported in Jeju over the past three years. While the number of incidents has fallen from 409 in 2022 to 326 last year, financial losses remain in the billions of won. Over the past three years, more than 1,100 cases of voice phishing crimes have occurred in Jeju.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has been declining, from 409 cases in 2022 to 326 cases last year, the total financial damage still amounts to billions of won. 제주서 보이스피싱 일당 잇따라 검거 기관을 사칭하거나 대출 등을 빙자해 돈을 가로채려던 보이스피싱 일당이 제주 경찰에 잇따라 검거됐습니다. 제주경찰은 지난해 12월 기관을 사칭해 피해자들을 직접 만난 뒤 3억 9천 5백여만 원 상당을 가로챈 현금 수거책 2명을 검거했습니다. 또 지난해 9월에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지시를 받고 피해금을 이체받을 대포통장을 모집하고 돈을 보내는 역할을 담당한 자금세탁 피의자 일당 9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2명을 구속했습니다. 이처럼 최근 3년 사이 제주에서 보이스피싱 범죄 1천 1백여 건이 발생했으며, 발생건수는 지난 2022년 409건에서 지난해 326건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피해 금액은 수억 원대에 달하고 있습니다.
  • 2025.03.05(wed)  |  이현
  • Fire-Setting Ruled Illegal for Jeju Fire Fest
  • The fire-setting event at the Jeju Fire Festival has been ruled illegal. The Jeju Provincial Audit Committee announced that, after an investigation requested by the Jeju Provincial Council, the Jeju branch of the Justice Party, and the Jeju Green Party, three administrative measures have been recommended regarding the Fire Festival. The audit revealed that between 2013 and 2023, the fire-setting event was conducted a total of eight times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where such activities are prohibited by law. Initially, the issue was to be resolved through a roundtable discussion. However, it was later handled through a public opinion survey, which is also a violation to local ordinances. 제주들불축제 '오름 불놓기' 행사 위법성 확인 제주들불축제 '불놓기'에 대한 위법성이 확인됐습니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제주도의회와 정의당제주도당, 제주녹색당에서 청구한 들불축제 관련 조사 결과 모두 3건의 행정상 조치 처분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감사 결과 지난 2013년부터 2023년 사이 모두 8차례에 걸쳐 관련법상 불놓기를 할 수 없는 산림인접지역에서 오름불놓기 행사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밖에 들불축제 존폐 관련 숙의형 정책 개발 과정에서는 당초 원탁회의 방법으로 결정하기로 해놓고 공론조사 방식으로 추진된 것이 조례 위반으로 드러났습니다.
  • 2025.03.05(wed)  |  이현
  • Jeju's Apartment Market Frozen
  • Jeju's Apartment Market Frozen This is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오등봉 park) Odeungbong Park apartment complex, being developed as part of a private-public urban park project. After opening a model house and starting sales last August, construction is underway for a scheduled 2027 move-in. With 1,400 units, this large-scale apartment complex in Jeju City attracted interest even before the sales phase. However, the high pricing controversy and downturn in the real estate market have resulted in unsold units. Due to Jeju’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island does not have a large apartment supply. But a range from a few hundred to a few thousand units have been steadily introduced each year. In particular, over the past three years, annual apartment sales have exceeded 1,000 units. With the real estate market experiencing a downturn, no new apartment units have been supplied in Jeju so far in 2025, and no sales are expected until much later this year. The competition rate for first-priority general sales has been falling, in 2023: 0.18-to-1, and in 2024: 2.88-to-1. Back in 2016, when Jeju’s real estate market was booming, the rate was as high as 55.89-to-1. TELEPHONE INTERVIEW Gu Ja-min / RealToday Researcher With the end of COVID-19, more people are traveling overseas instead of visiting Jeju. As tourism demand drops, the domestic economy weakens, and apartment prices decline,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uctant to launch new apartment projects. As of the end of January, Jeju had 2,670 unsold housing units, of which 1,700 were classified as “high-risk”, meaning they remained unsold even after completion?a record-high figure. With ongoing loan regulations and difficulties in selling existing homes, the real estate market is expected to remain frozen for the time being. 지어도 안 팔려…올해 아파트 분양 '전멸'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오등봉공원 아파트 공사 현장. 지난해 8월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을 시작한 뒤 오는 2027년 입주를 목표로 공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1천400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제주시권에 조성돼 청약 전부터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분양가 논란 속에 미분양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제주는 지역 특성상 아파트 공급 규모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매년 적게는 수백가구에서 많게는 수천가구까지 꾸준히 공급됐습니다. 특히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은 분양 물량이 1천가구를 웃돌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올들어 제주에서 공급된 아파트는 없을뿐더러 연말까지도 분양 계획이 전무한 상황입니다. 아파트 분양 경쟁률도 하락하고 있습니다. 일반공급 1순위 경쟁률은 2023년 0.18대 1, 지난해에는 2.88대 1에 그쳤습니다. 제주는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던 2016년엔 1순위 경쟁률이 55.89대 1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전화 인터뷰 : 구자민 / 리얼투데이 연구원> 코로나19가 끝나고 해외여행 비율이 늘면서 제주도를 찾는 이들이 비교적 감소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광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내수 경기가 침체되고 아파트 가격까지 하락세를 보이면서 건설사들이 아파트 공급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워 보입니다. 지난 1월말 기준 도내 미분양 주택은 2천670가구로 이 가운데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은 역대 최고 수준인 1천700가구에 달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그래픽 : 유재광, KCTV : Todd Thacker]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고 대출 규제 등도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분양시장 한파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2025.03.05(wed)  |  이현
  • Jeju Launches Public E-Bike Service
  • Jeju City is introducing a public electric bicycle service. The service will initially deploy 180 e-bikes in urban areas, with 22 stations and 280 bike rack hubs available for users. Operating hours are from 7 AM to midnight daily. The rental fee is set at 100 KRW base fare with an additional 90 KRW per minute. Users can access the service by registering through a mobile app. 제주시 공공 전기자전거 서비스 시작 제주시가 공공 전기자전거 서비스 운영사업을 시작합니다. 이번 서비스는 동지역을 중심으로 전기자전거 180대가 투입되고 22곳의 스테이션과 280곳의 모드락허브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시간은 매일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이며 이용 요금은 기본요금 100원에 분당 90원으로 책정됐습니다. 공공 전기자전거는 모바일 앱을 통해 회원 가입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5.02.28(fri)  |  이현
  • Jeju Expands Student Commute Safety
  • As part of efforts to strengthen school commute safety measures, a Safety Alert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be expanded.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announced a comprehensive safety plan for school commutes in the new semester. A 14 billion KRW budget has been allocated this year to provide Safe Notification Devices for first-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special education students from first to fifth grade, upon request. Additionally, to enhance safety for students in after-school care programs, parents will be required to pick up their children in person. In addition CCTV installations around schools will be increased for improved security. 등·하교 안전대책 강화…"안심알리미서비스 확대" 등.하교 안전대책 강화 방안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안심알리미서비스가 확대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신학기 등하굣길 종합 안전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14억원을 투입해 초등학교 1학년과 특수교육대상자 1학년부터 5학년 학생 가운데 신청하는 경우 안심알리미 단말기를 지원합니다. 이 밖에도 돌봄 참여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학부모에게 아동 대면 인계를 원칙으로 하고 학교 주변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CCTV를 추가 설치할 방침입니다.
  • 2025.02.28(fri)  |  이현
  • Scholarships for Airport Noise-Affected Students
  • Jeju Province, in collaboration with Korea Airports Corporation, is offering scholarships f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airport noise-affected and nearby areas. Eligible students must have been registered residents in these areas for at least two years. The program will provide 500,000 KRW to 220 high school students and 2 million KRW to 230 university students, with a total scholarship fund of 5.7 billion KRW.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at the local community center or the Jeju Airport Noise Complaint Center until April 3. Scholarship selection will be based on regional scores and length of residence, with an additional 10 points awarded to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support. 공항소음지역 고교·대학생 장학금 지원 접수 제주특별자치도가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공항소음대책지역과 인근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한 장학금을 지원합니다. 해당 지역에 2년 이상 주민등록을 둔 고등학생 220명에게 50만원, 대학생 230명에게 200만원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전체 장학금 규모는 5억 7천만원입니다. 지원 신청은 4월 3일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제주공항소음민원센터에서 이뤄집니다. 장학생 선발은 지역점수와 거주기간을 기준으로 이뤄지며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10점의 가점이 주어집니다.
  • 2025.02.28(fri)  |  이현
  • Jeju Loan Delinquency Hits Record High
  • The household loan delinquency rate at deposit banks in Jeju continues to soar, reaching a new record high within just a month.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Jeju Branch, as of the end of December last year, the delinquency rate for household loans at deposit banks in Jeju stood at 1.07%, up 0.04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month. This marks the highest level since the Bank of Korea began tracking regional delinquency rates in December 2019. The prolonged period of high interest rates and economic downturn has significantly weakened borrowers' repayment capacity. Meanwhile, the corporate loan delinquency rate dropped 0.03 percentage points to 1%. 가계대출 연체율 1.07%…한달 만에 최고치 제주지역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한 달 만에 또다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제주도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1.07%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한은이 지역별 연체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로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차주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반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03%포인트 하락한 1%를 기록했습니다.
  • 2025.02.28(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