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ay Holiday Flight Crisis
  • With domestic flight capacity reduced and travel demand on the rise, airline tickets for the upcoming May Golden Holiday are already selling out fast. According to the travel industry, for the holiday weekend in May, there is currently only one available flight from Gimpo to Jeju on the 3rd, and all flights on the 5th and 6th to Jeju are already sold out. Amid the airline ticket shortage, the price of a one-way standard seat is currently between 120,000 and 130,000 KRW. The ticket crisis during the holiday period is worsening as airlines cut domestic flights and increase more profitable international routes. 공급석 감소에…5월 연휴 제주 항공권 '대란' 국내선 공급석 감소와 여행 수요 증가가 맞물리면서 오는 5월 황금연휴 항공권이 벌써부터 품귀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행업계 등에 따르면 5월 황금연휴 주말인 3일 예약 가능한 김포발 제주행 항공권은 현재 1편에 불과하고 5일과 6일 제주에서 김포로 향하는 항공권은 전량 매진됐습니다. 항공권 예약난 속에 편도 기준 일반석 가격은 12만원에서 13만원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항공사들이 국내선을 축소하고 수익성이 높은 국제선을 확대하면서 연휴 기간 항공권 대란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 2025.03.17(mon)  |  이현
  • Jeju Expanding Rewards of Local Currency
  • Starting next month, the accumulation rate for Jeju’s regional currency Tamnaneunjeon (탐나는전), will be increased to 15%, the highest rate since its introduction. The monthly accumulation cap per person will also be adjusted from 700,000 KRW to 2,000,000 won. The Province says the move aims to boost local consumption. Joseph Kim reports. Jeju Expanding Rewards of Local Currency To boost consumption in Jeju, the discount benefits of (탐나는전) Tamnaneunjeon are being significantly expanded. [Slug] Tamnaneunjeon accumulation rate increased to 15% from April to June For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ne, if payments are made at franchise stores with annual sales of 1 billion won or less, the accumulation rate will increase from the current 10% to 15%. For every 10,000 won spent, users will receive 1,500 won in points. Additionally, the monthly accumulation limit per person will be raised from 700,000 KRW to 2,000,000 won. As a result, users can receive up to 300,000 won in points each month, which can be used like cash at Tamnaneunjeon affiliate stores. [Slug] 11 Billion KRW needed for expansion, “Budget to be secured through a supplementary budget” Expanding the Tamnaneunjeon accumulation benefits to 15% will require approximately 3.8 billion won per month. Jeju plans to secure around 11 billion won in necessary funds for the three-month period through a supplementary budget next month. [Slug] "A preemptive measure to prevent economic slowdown amid weak consumer sentiment" The province explains that this is a preemptive measure to prevent economic slowdown and weak consumer sentiment, as the domestic economy has not yet fully recovered. [Slug] Tamnaneunjeon accumulation rate increase during last year's Chuseok boosted spending ? High consumption stimulation expected During last year's Chuseok holiday, when the Tamnaneunjeon accumulation rate was temporarily increased to 14%, the average monthly spending surged. Given this, the province expect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nsumption compared to the budget invested. Kim Mi-young / Representative, Province This time, we are raising the accumulation rate from 10% to 15% and increasing the accumulation limit from 700,000 KRW to an all-time high of 2,000,000 KRW. Through these unprecedented benefits, we aim to ensure that individual residents receive benefits while also helping small businesses increase sales, thereby supporting the rapid recovery of the regional economy. <김미영 / 제주도 경제활력국장> 이번에 10%에서 15%로 적립률을 상향하고 적립 한도가 7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역대 최대로 늘리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역대급 혜택을 통해서 도민 개개인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고 소상공인들에게도 아무쪼록 매출이 증대돼서 지역 경제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n [CG] Lee A-min With this expansion of Tamnaneunjeon benefits,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it will lead to increased consumer spending among residents and higher sales for small businesses, ultimately re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Joseph Kim, KCTV 적립률 15% 확대…"월 최대 30만 원 혜택" 제주지역의 소비 진작을 위해 탐나는전의 할인 혜택이 대폭 확대됩니다. [탐나는전 4~6월 적립률 15%로 확대] 제주도는 다음 달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연 매출액 10억 원 이하 가맹점에서 탐나는전으로 결제하면 포인트 적립률을 현재 10%에서 15%로 높입니다. 1만 원을 사용하면 1천500원을 포인트로 돌려받게 되는 겁니다. 1인당 월 적립한도 역시 7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월 최대 30만 원의 포인트를 돌려받아 탐나는전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탐나는전 적립 확대 예산 110억 원 필요…"추경 통해 확보"] 탐나는전 적립 혜택을 15%로 확대하며 필요한 예산은 매달 38억여 원. 제주도는 3개월의 기간에 필요한 110억 원 가량의 예산을 다음달 추경을 통해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소비심리 위축·지역경제 둔화 방지 차원 선제적 조치"] 내수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 소비 심리 위축과 지역 경제 둔화를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게 제주도의 설명입니다. [지난해 추석 적립률 확대로 사용액 급증…소비 촉진 효과 기대] 실제 지난해 추석 기간 탐나는전 적립률을 14%까지 늘리자 월 평균 사용액이 급증했던 만큼 투입 예산 대비 높은 소비 촉진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미영 / 제주도 경제활력국장> 이번에 10%에서 15%로 적립률을 상향하고 적립 한도가 7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역대 최대로 늘리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역대급 혜택을 통해서 도민 개개인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고 소상공인들에게도 아무쪼록 매출이 증대돼서 지역 경제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그래픽 : 이아민, KCTV : Joseph Kim] 이번 탐나는전 혜택 확대가 도민들의 소비 확산과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로 이어지며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3.17(mon)  |  이현
  • Seogwipo Walking Festival - March 22-23
  • The 27th Seogwipo Canola Flower International Walking Festival will be held from the 22nd to the 23rd, with the main venue at Jeju World Cup Stadium and various locations across Seogwipo City. The event will offer three walking courses: 5km, 10km, and 20km. On the day of the event, participants can also register on-site. Participants will receive souvenirs, such as bottled water and backpacks, and those who complete the course will be awarded a completion certificate recognized by the Korea Athletic Promotion Association. 제27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22~23일 개최 제27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가 오는 22일부터 23일까지 제주월드컵경기장을 주 행사장으로 서귀포시 일원에서 열립니다. 이번 걷기 대회는 5km, 10km, 20km 3개 코스로 운영되며 행사당일 현장에서 참가 신청도 가능합니다. 참가자에게는 생수와 백팩 등 기념품이 지급되며 코스를 완주하면 한국체육진흥회에서 인증하는 완보증이 수여됩니다.
  • 2025.03.12(wed)  |  이현
  • 80% of Pedestrian Deaths Are Seniors
  • Last year, 80% of pedestrian fatalities were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According to the Jeju Municipal Police Commission, over the past four years, 76 pedestrians have died in traffic accidents, and 60% of them were seniors aged 65 and above. By year, the percentage of senior pedestrians involved in fatal accidents increased sharply from 43.7% in 2021 to 79% last year. To address this, the Municipal Police plan to strengthen pedestrian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and distribute fluorescent safety belts. 보행자 교통 사망사고 80%, 65세 이상 고령자 지난해 보행자 사망사고의 80%는 65살 이상 고령자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자치경찰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4년 동안 교통사고로 숨진 보행자는 76명 으로 이 가운데 60%는 65세 이상 고령자였습니다. 연도별로는 지난 2021년 43.7%에서 지난해에는 79%까지 고령자 비율이 급증했습니다. 자치경찰은 보행자 사고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형광 안전띠 등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 2025.03.12(wed)  |  이현
  • Jeju Expands Donor Benefits
  • Jeju Province is expanding benefits for individuals who contribute more than 100,000 KRW annually to the Jeju Hometown Love Donation program. Starting from the 15th, the newly added benefits include a 20% discount on passenger fares for the Sea World High-Speed Ferry between Jeju and the Mokpo / Jindo route, offering the same fare rates to residents for both the shared bed and economy class cabins. Additionally, the Greenfield Country Club in Jeju's Jocheon-eup (조천읍) will offer the same discount on golf course green fees as for Jeju residents. Furthermore, the Arte Museum Jeju, the largest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venue in Korea, will provide a 20% discount on entry fees for Jeju Hometown Love donors. 주 고향사랑기부자 민간시설 혜택 확대 제주도가 연간 10만 원 이상을 기부한 제주고향사랑기부자를 위한 혜택을 확대합니다. 추가된 혜택을 보면 오는 15일부터 제주를 기점으로 목포와 진도 구간의 씨월드고속훼리의 다인침대와 이코노미 객실 여객 운임을 제주도민과 동일하게 20%를 할인합니다. 또 조천읍 그린필드컨트리클럽도 제주도민과 동일하게 골프장 그린피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국내 최대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인 아르떼뮤지엄 제주 역시 제주고향사랑기부자에게 전시관 입장료의 20%를 할인합니다.
  • 2025.03.12(wed)  |  이현
  • Jeju Ambulance Times Rise
  • In Jeju, the time it takes for 119 paramedics to transport critical patients has been found to be longer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the average transport time for critical patients in 2023 was 35 minutes, which is 8 minutes longer than the 27 minutes recorded in 2016, the first year of the survey. Notably, the transport time was even longer in 2021, reaching 42 minutes, and in 2022, it was 38 minutes. To reduce transport times, Jeju Province is operating a priority signal system that allows fire trucks and ambulances to pass through intersections without stopping. 중증환자 119 이송 시간 35분…과거보다 길어 제주에서 119구급대의 중증환자 이송 시간이 예전보다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으로 중증환자 병원 이송시간은 35분으로 조사 첫 해인 2016년 27분보다 8분 늘었습니다. 특히 지난 2021년에는 42분, 2022년은 38분까지 걸리기도 했습니다. 제주도는 이송 시간을 줄이기 위해 소방과 구급차량이 교차로를 무정차 통과할 수 있는 우선신호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2025.03.12(wed)  |  이현
  • Jeju Cracks Down on Illegal Rent-A-Cars
  • Jeju Province is intensifying its crackdown on illegally operated rental cars registered in other regions as part of efforts to establish a fair and regulated rental car market. Ahead of the peak spring tourist season,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measures to prevent the illegal operation of rental cars registered outside Jeju. In particular, when a rental car's primary registration is transferred to another region, companies will be required to submit documents, such as a certificate of vehicle export, to verify the transfer. This measure aims to strengthen efforts to identify and prevent illegal operations. Jeju Province plans to impose administrative penalties, including partial business suspensions, on companies found violating the regulations. Additionally,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notify the relevant authorities in the region where the vehicle is registered and, if necessary, refer the case to the police for further investigation. 타 시도 등록 렌터카 불법 영업 단속 강화 제주도가 렌터카 시장의 건전한 영업질서 확립을 위해 다른 지역 등록 렌터카의 불법 영업 단속을 강화합니다. 봄철 본격적인 관광성수기를 앞두고 다른 지방 등록 렌터카를 도내로 반입해 불법 영업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렌터카 차량 사용 본거지를 도외로 이관 변경하는 경우 선적확인서 등 차량의 도외 반출 증명 서류를 제출하도록 해 불법 영업행위를 중점 확인합니다. 제주도는 적발된 업체에 사업 일부 정지 등 행정조치를 취하고 다른 시도 등록업체의 관할관청에 통보해 필요할 경우 경찰 수사를 의뢰할 방침입니다.
  • 2025.03.12(wed)  |  이현
  • China Students Join Jeju 4.3 Memorial
  • A delegation of students from Nanjing, China?a city that endured the Nanjing Massacre?is set to attend next month's 4.3 Memorial Ceremony.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8 participants?including 20 students and accompanying teachers from Nanjing?will attend the ceremony as part of a student exchange agreement signed with the Jiangsu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in September last year. The initiative seeks to raise global awareness of the Jeju 4.3 Incident while promoting the values of peace and human rights. Nanjing endured the Nanjing Massacre in 1937, when more than 300,000 Chinese civilians and soldiers were killed in a large-scale atrocity by the Japanese army. 4.3추념식에 대학살 피해 中 난징 학생단 참석 다음달 봉행되는 4.3추념식에 대학살 피해를 경험한 중국 난징시 학생대표단이 참석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지난해 9월 중국 강소성교육청과 체결한 학생 교류 협약에 따라 중국 난징시 소속 학생 20명과 인솔교사 등 28명이 4.3추념식에 참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제주 4.3의 의미를 세계에 확산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 난징시는 지난 1937년 30만명 넘는 중국인이 일본군에 의해 대규모로 희생되는 이른바 난징대학살을 경험했습니다.
  • 2025.03.12(wed)  |  이현
  • Debate Over ‘No Kids Zones’ Continues
  • The spread of "No Kids Zones" in South Korea remains a heated debate. These restrictions, which bar children from certain places, are especially common in Jeju’s cafes. As tensions rise over the issue, calls are growing for policies that balance the needs of both children and adults. Todd Thacker Report. Debate Over ‘No Kids Zones’ Continues [Slug] Cafe in Jocheon-eup This cafe operates as a No Kids Zone. Inside, there are expensive antique decorations, including lighting fixtures and tableware. The cafe, which has been open for six years, did not initially have a No Kids Zone. [Slug] Transition to 'No Kids Zone' after property damage and accidents However, after repeated incidents of children causing damage to decorations and even sustaining injuries, the cafe ultimately decided to implement a policy prohibiting preschoolers. INTERVIEW No Kids Zone Cafe Owner A child cut their hand on broken glass, and I had to pay for the medical treatment. I always ask parents to be careful, but it's difficult for them to control their kids. I figured it would be better to just not allow young children. <인터뷰 : 노키즈존 도입 매장> (깨진 유리 조각에) 손이 베어가지고 치료비를 다 물어줬어요. 항상 주의해 달라고 말씀을 드리는데 부모님들도 아이들 컨트롤이 쉽지 않습니다. 제가 (아이들을) 안 받는게 낫겠다.. [Slug] 150+ no kids zone establishments in Jeju as of last year (Jeju Childcare Support Center Survey)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a childcare-related institution in Jeju, there were over 150 No Kids Zone establishments as of last year. Since businesses are not required to register as No Kids Zones, the actual number is likely even higher. A study conducted in 2024 found that business owners introduced No Kids Zones primarily to maintain a quiet atmosphere and to avoid liability for accidents. On the other hand, parents argue that restricting entry to commercial facilities based on age is a violation of basic rights. Some also expressed frustration that certain establishments impose entry bans on children even though these places are not inherently unsafe. [Slug] Diverging views on no kids zones, need for policy support Due to the on-going and significant divide in opinions, experts suggest that policy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mitigate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No Kids Zones. INTERVIEW Son Tae-joo / Senior Researcher,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There needs to be public-private cooperation to create spaces where children and adults can coexist, as well as efforts to raise awareness on this issue. <인터뷰 : 손태주 / 제주도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원> 아동과 어른이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에 대한 민관 협력 방안이나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Seung-cheol [CG] Park Si-yeon Despite a 2023 Jeju ordinance, No Kids Zones remain problematic. Supporters cite public convenience while opponents decry discrimination, and regulations are proving largely ineffective. Todd Thacker, KCTV ‘노키즈존’ 갈등 여전…정책적 대안 필요 [조천읍 00카페] 노키즈존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 카페입니다. 내부에는 조명과 그릇 등 고가의 엔틱 소품이 있습니다. 운영을 시작한 지 올해로 6년째인데 처음부터 노키즈존을 도입했던 건 아닙니다. [소품 파손에 인명 사고까지 발생하자 '노키즈존' 전환] 하지만 어린아이들로 인해 소품이 파손되는 일이 잇따르고 다치는 사고까지 발생하자 결국 미취학 아동을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 노키즈존 도입 매장> (깨진 유리 조각에) 손이 베어가지고 치료비를 다 물어줬어요. 항상 주의해 달라고 말씀을 드리는데 부모님들도 아이들 컨트롤이 쉽지 않습니다. 제가 (아이들을) 안 받는게 낫겠다.. [제주도육아종합지원센터 자체 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도내 노키즈존 매장 150여 곳] 도내 아동 관련 기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제주에서는 모두 150여 곳의 노키즈 매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노키즈존은 등록 의무가 없는 만큼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진행된 관련 연구 조사에 따르면 업주들은 조용한 분위기 유지와 안전사고 책임 우려를 이유로 노키즈존을 도입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부모들은 "아이라는 이유로 상업 시설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기본 권리를 침해한다”는 입장과 "아동에게 위해한 곳이 아님에도 출입을 제한하는 곳이 있어 안타깝다"는 의견 등을 제시했습니다. ["노키즈존 입장 차이 뚜렷…정책적 지원 필요"] 전문가들은 노키즈존에 대한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는 만큼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인터뷰 : 손태주 / 제주도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원> 아동과 어른이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에 대한 민관 협력 방안이나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철 , 그래픽 : 박시연, KCTV : Todd Thacker] 편리냐, 차별이냐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 노키즈존. 제주에서는 지난 2023년 노키즈존 확산 방지와 인식 개선을 위한 조례까지 제정됐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화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3.12(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