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ate Over ‘No Kids Zones’ Continues
이현   |  
|  2025.03.12 10:02
The spread of "No Kids Zones" in South Korea remains a heated debate. These restrictions, which bar children from certain places, are especially common in Jeju’s cafes. As tensions rise over the issue, calls are growing for policies that balance the needs of both children and adults.
Todd Thacker Report.
Debate Over ‘No Kids Zones’ Continues


[Slug] Cafe in Jocheon-eup

This cafe operates as a No Kids Zone.
Inside, there are expensive antique decorations, including lighting fixtures and tableware.
The cafe, which has been open for six years, did not initially have a No Kids Zone.

[Slug] Transition to 'No Kids Zone' after property damage and accidents

However, after repeated incidents of children causing damage to decorations and even sustaining injuries, the cafe ultimately decided to implement a policy prohibiting preschoolers.

INTERVIEW
No Kids Zone Cafe Owner
A child cut their hand on broken glass, and I had to pay for the medical treatment. I always ask parents to be careful, but it's difficult for them to control their kids. I figured it would be better to just not allow young children.
<인터뷰 : 노키즈존 도입 매장>
(깨진 유리 조각에) 손이 베어가지고 치료비를 다 물어줬어요. 항상 주의해 달라고 말씀을 드리는데 부모님들도 아이들 컨트롤이 쉽지 않습니다. 제가 (아이들을) 안 받는게 낫겠다..

[Slug] 150+ no kids zone establishments in Jeju as of last year (Jeju Childcare Support Center Survey)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a childcare-related institution in Jeju, there were over 150 No Kids Zone establishments as of last year.
Since businesses are not required to register as No Kids Zones, the actual number is likely even higher.


A study conducted in 2024 found that business owners introduced No Kids Zones primarily to maintain a quiet atmosphere and to avoid liability for accidents.




On the other hand, parents argue that restricting entry to commercial facilities based on age is a violation of basic rights.
Some also expressed frustration that certain establishments impose entry bans on children even though these places are not inherently unsafe.

[Slug] Diverging views on no kids zones, need for policy support

Due to the on-going and significant divide in opinions, experts suggest that policy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mitigate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No Kids Zones.

INTERVIEW
Son Tae-joo / Senior Researcher,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There needs to be public-private cooperation to create spaces where children and adults can coexist, as well as efforts to raise awareness on this issue.
<인터뷰 : 손태주 / 제주도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원>
아동과 어른이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에 대한 민관 협력 방안이나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Seung-cheol
[CG] Park Si-yeon


Despite a 2023 Jeju ordinance, No Kids Zones remain problematic. Supporters cite public convenience while opponents decry discrimination, and regulations are proving largely ineffective.
Todd Thacker, KCTV


‘노키즈존’ 갈등 여전…정책적 대안 필요


[조천읍 00카페]
노키즈존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 카페입니다.

내부에는 조명과 그릇 등 고가의 엔틱 소품이 있습니다.

운영을 시작한 지 올해로 6년째인데
처음부터 노키즈존을 도입했던 건 아닙니다.

[소품 파손에 인명 사고까지 발생하자 '노키즈존' 전환]
하지만 어린아이들로 인해 소품이 파손되는 일이 잇따르고
다치는 사고까지 발생하자
결국 미취학 아동을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 노키즈존 도입 매장>
(깨진 유리 조각에) 손이 베어가지고 치료비를 다 물어줬어요. 항상 주의해 달라고 말씀을 드리는데 부모님들도 아이들 컨트롤이 쉽지 않습니다. 제가 (아이들을) 안 받는게 낫겠다..

[제주도육아종합지원센터 자체 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도내 노키즈존 매장 150여 곳]
도내 아동 관련 기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제주에서는 모두 150여 곳의 노키즈 매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노키즈존은
등록 의무가 없는 만큼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진행된 관련 연구 조사에 따르면
업주들은
조용한 분위기 유지와
안전사고 책임 우려를 이유로
노키즈존을 도입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부모들은
"아이라는 이유로
상업 시설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기본 권리를 침해한다”는 입장과
"아동에게 위해한 곳이 아님에도
출입을 제한하는 곳이 있어 안타깝다"는
의견 등을 제시했습니다.


["노키즈존 입장 차이 뚜렷…정책적 지원 필요"]
전문가들은
노키즈존에 대한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는 만큼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인터뷰 : 손태주 / 제주도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원>
아동과 어른이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에 대한 민관 협력 방안이나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철 , 그래픽 : 박시연, KCTV : Todd Thacker]
편리냐, 차별이냐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 노키즈존.

제주에서는 지난 2023년
노키즈존 확산 방지와 인식 개선을 위한
조례까지 제정됐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화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