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4.3 Memorial Ceremony Held
  • The 4.3 Liberation Memorial Ceremony was held at Shinsan (신산) Park on April 1st, marking the 77th anniversary of the Jeju 4.3 incident. The event served as a moment of remembrance and a call for the incident’s full resolution. At the ceremony, the Jeju 4.3 Truth and Honor Restoration Citizens' Alliance reflected on the progress made toward resolving the 4.3 issues and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tackling challenges that remain. The group also expressed hopes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commemorative events taking place in Jeju, across South Korea, and in Japan. The 4.3 Liberation Memorial Ceremony has been held annually on April 1st since 2000,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on the Jeju Uprising. 2. 4.3해원방사탑제 봉행…"남은 과제 해결 기원" 제주4.3의 완전한 해결과 4.3 77주년 기념사업 성공을 기원하는 4.3해원방사탑제가 지난 1일 신산공원에서 봉행됐습니다. 이 자리에서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는 4.3해결의 성과를 되돌아 보고 남은 4.3과제의 해결을 위한 결의와 실천을 다짐했습니다. 또 제주와 전국, 일본에서 열리는 4.3 기념행사의 성공적 진행을 기원했습니다. 4.3해원방사탑제는 지난 2000년, 4.3특별법 제정 이후 매년 4월 1일 봉행되고 있습니다.
  • 2025.04.02(wed)  |  이현
  • Consumer Sales Drop 18.3%
  • Despite a province-wide consumer promotion drive, sentiment around a consumer recession in the region shows little sign of improvement. According to an analysis by Jeju Province, based on February 2025 industrial activit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large retail store sales index fell to 76.6 marking a sharp year-on-year decline of 18.3 percentage point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ongoing political and economic uncertainties, both at home and abroad, have continued to erode consumer confidence. Jeju Province has acknowledged that a recovery in the local economy will take time. In response, officials say the province will extend its consumer promotion campaign and increase fiscal spending in a bid to boost consumption. 1. 소비촉진 운동에도 '위축'…소비판매 18.3%p ↓ 범도민적인 소비 촉진 운동에도 도내 체감 소비 위축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2월 산업활동 동향을 분석한 결과 대형 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76.6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3% 포인트나 감소했습니다. 대내외 정치와 경제 불확실성에 따라 소비 심리 위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제주도는 지역 경제 회복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소비 촉진 운동과 함께 적극적인 재정 투입 확대를 통해 소비 촉진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5.04.02(wed)  |  이현
  • Bridging Language Gaps in Jeju Schools
  • Children born abroad who come to Korea?commonly referred to as mid-immigration youth?are not few in number, and most struggle to adapt due to language barriers. Various forms of support are being implemented to help these dual-background students reduce learning difficulties in the classroom. Todd Thacker reports. Bridging Language Gaps in Jeju Schools 이주학생 한국어 지원 강화…"통역도우미 배치" [Slug] Jeju Buk Elementary School This language program began last year at an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gather to learn Korean using flash cards. [Slug] Up to 10 hours of Korean lessons per week It’s a curriculum designed to improve the language skills of immigrant students who are not yet fluent in Korean. They can participate for up to 10 hours a week in subjects such as Korean and Social Studies. INTERVIEW Yang Soo-ah / Korean Language Class Teacher at Jeju Buk Elementary School The kids can speak fairly well, but if the words or sentences get even slightly more difficult, they tend to struggle with comprehension. That’s why they face many challenges in learning during class time. [인터뷰 양수아 / 제주북초 한국어학급 교사 ] 아이들이 말은 되게 잘 하는데 조금만 낱말이 어려워지거나 문장이 어려워지면 이해를 잘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수업시간에 학습적인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거든요. Additional support for these students is available to help them adjust to Korean school life. [Slug] 2025: Korean language classes expand to 3 elementary, 2 middle schools Last year,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piloted at two schools. Due to their success, the program will be expanded this year to include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Six regional hub schools will provide support to students in smaller schools or schools with fewer migrant-background students. [Slug] Learning interpreters deployed, AI Interpreters also supported To facilitate Korean language learning at any time and in any location, learning interpreters and digital education programs in multiple languages will be provided. Recording Kim Yi-sun / Director of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Policy, Jeju Office of Education When the teacher is teaching, subtitles in Korean will appear on the side, and for students from the Philippines or Cambodia, subtitles can be shown in their respective languages so they can understand as well. [녹취 김이선 / 제주도교육청 다문화국제정책과장 ] 앞에서 선생님이 수업할 때 옆에서 자막으로 한국어로 나온다든가 또 필리핀이면 필리핀, 캄보디아는 캄보디아인들이 알 수 있게 자막으로 이렇게 보여줄 수 있는 겁니다. In addition, support will be provided for programs such as integration camps, which bring together students from migrant and local backgrounds, and motherland visit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lug] Over 3,000 multicultural students last year, 4% of all student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Jeju region exceeded 3,000 for the first time in 2023 and continues to grow steadily, now accounting for 4% of all students in the region.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Yong-min With Korean language classes continuing to expand,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help migrant-background students better adapt to their new school life. Todd Thacker, KCTV [제주북초등학교] 제주시내 한 초등학교 학년이 다른 학생들이 한 교실에서 낱말 카드를 이용해 우리말을 배웁니다. 지난해부터 운영에 들어간 한국어 교실입니다. [주당 최대 10시간 한국어 수업 참여] 우리말이 서툰 중도 입국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국어와 사회 과목 등 일주일에 최대 10시간 씩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양수아 / 제주북초 한국어학급 교사 ] 아이들이 말은 되게 잘 하는데 조금만 낱말이 어려워지거나 문장이 어려워지면 이해를 잘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수업시간에 학습적인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거든요. 이들 이주배경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지원이 한층 강화됩니다. [올해 한국어학급 초 3, 중 2 확대 운영] 지난해 2개교에 신설한 한국어학급이 올해는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2개교로 확대 운영됩니다. 학생 수가 적거나 작은 학교 이주배경 학생들을 위해서 6군데 지역 거점 형태로 이뤄집니다. [학습 통역 도우미 배치…AI통역도우미 지원] 시간과 장소에 관계 없이 한국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통역 도우미를 배치하고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 디지털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녹취 김이선 / 제주도교육청 다문화국제정책과장 ] 앞에서 선생님이 수업할 때 옆에서 자막으로 한국어로 나온다든가 또 필리핀이면 필리핀, 캄보디아는 캄보디아인들이 알 수 있게 자막으로 이렇게 보여줄 수 있는 겁니다. 또 이주배경 학생과 지역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어울림 캠프과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모국 방문 프로그램도 지원합니다. [다문화학생 작년 3천 명 넘어…전체 학생 수의 4% 차지] 제주지역 다문화 학생은 지난 2023년 처음으로 3천 명을 넘어 해마다 꾸준히 늘면서 제주지역 전체 학생 비율의 4%를 차지합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Todd Thacker] 이런 가운데 지난해부터 신설된 한국어 교실을 중심으로 이주배경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 확대 운영될 예정이어서 낯선 학교 생활 적응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4.02(wed)  |  이현
  • Jeju Museum Spring Concert
  • The Jeju Folk and Natural History Museum will host a Spring Music Concert at 4 p.m. on April 5 in its outdoor garden. Celebrating the arrival of spring, the concert will feature local artists performing a seasonal program in a relaxed outdoor setting. The lineup includes performances by "Band E-Gang" (이강), Jeju’s leading fusion traditional music group, "Sori Pungkyung (소리풍경) Children's Choir," known for their heartfelt performances, and “BuBu Cheonje” (meaning Couple Genius), a duo loved for their soothing songs. The museum will offer free admission on the day of the event, and various activities will also be available, such as a tree planting event for Arbor Day and a folk game experience zone. 민속자연사박물관, 봄봄 음악회 5일 개최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이 오는 5일 오후 4시부터 박물관 야외 정원에서 봄봄 음악회를 개최합니다. 새봄을 맞아 마련된 이번 음악회는 지역 예술인들이 참여해 봄 분위기에 어울리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제주 대표 퓨전국악밴드인 '밴드이강'과 소리로 감동을 전하는 '소리풍경 어린이합창단', 위로송으로 사랑받는 부부천재가 출연해 감독적인 무대를 선사합니다. 당일 박물관은 무료 입장 가능하며 식목일 맞이 묘목 나눠주기와 민속놀이 체험존 운영 등 다양한 체험행사도 마련됩니다.
  • 2025.03.31(mon)  |  이현
  • Jeju Samdasoo Wins 10th Award
  • Jeju Samdasu has been named the top bottled water in the "Luxury Brand" category at the 2025 Korea Luxury Brand Awards, marking its 10th consecutive win. The Korea Luxury Brand Award is based on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ncludes market share data from Hankook Research, customer feedback, and input from experts in academia and industry. Since its launch in 1998, Jeju Samdasu has remained Korea’s best-selling bottled water for 27 consecutive years. 제주삼다수, 10년 연속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제주삼다수가 올해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생수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해 10년 연속 수상이라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은 한국리서치 시장점유율을 근거로 고객 평가와 함께 학계,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상 브랜드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제주삼다수는 1998년 출시 이후 27년 간 국내 생수 시장 1위를 지켜오고 있습니다.
  • 2025.03.31(mon)  |  이현
  • Foreign Students Need Work Visas
  • Education leaders from across the country are calling on the government to issue work visas to foreign students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llowing them to remain in Korea for a set period. The National Council of Governors of Education noted current work visa eligibility is limited to those with an associate degree or higher, making it difficult for foreign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o settle in local communities. They called for policy reforms to address the issue. The council also expressed concern over the ongoing electricity rate hikes, saying they are hindering educational activities. They proposed six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including lowering electricity rates for schools. "직업계고 졸업 외국인 유학생 취업비자 필요"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에게 일정 기간 국내 거주할 수 있도록 취업비자 부여를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현재 국내 취업이 가능한 비자는 전문학사 이상으로 제한돼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지역 정주에 어려움이 있다며 정책 개선을 요청했습니다. 이 밖에도 지속적인 전기요금 인상으로 교육활동에 위축을 가져오고 있다며 교육용 전기요금 단가 인하 등 6가지 요구을 건의했습니다.
  • 2025.03.31(mon)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Fall
  • Apartment prices in Jeju have continued to show a slight downward trend.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Agency, apartment sale prices in Jeju fell by 0.05% in the fourth week of March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By region, Seogwipo saw a 0.09% drop, mainly in Donghong-dong (동홍동) and Seohong-dong (서홍동), while prices in Jeju City declined by 0.05%, particularly in Nohyeong-dong and Ildo 2-dong (일도2동), due to a rise in unsold apartment inventory. Additionally, the rental prices also dropped by 0.06%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제주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하락세 지속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이 소폭의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넷째주 제주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5% 하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귀포시는 동홍동과 서홍동을 위주로 0.09% 내렸고 제주시는 노형동과 일도2동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늘면서 0.05% 하락했습니다. 이와 함께 전세가격은 전주와 비교해 0.06%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5.03.31(mon)  |  이현
  • UAM to Boost Jeju Economy
  • A recent study suggests that introducing urban air mobility (UAM) in Jeju could generate 530 billion KRW in economic impact and create 1,800 jobs by 2040. The Jeju Research Institute shared these finding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arket outlook and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UAM in the region. The study focused on three main routes including Jeju International Airport to Jungmun route, Jeju airport to Seongsan (성산), and Jungmun (중문) to Seongsan (성산). It assessed potential UAM operations, projected demand for tourism and transportation, and analyzed the long-term economic impact. The Jeju Research Institute emphasized the need for new transportation methods, considering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tourism demand, and traffic congestion. "도심항공교통 도입, 2040년까지 5,300억 효과" 도심항공교통이 제주지역에 도입될 경우 2040년까지 5천 300억 원대의 생산유발효과와 함께 1천 8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제주연구원은 제주 도심항공교통 시장 전망과 경제효과 분석 연구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제주국제공항과 중문, 공항과 성산, 중문과 성산 등 3개 구간을 중심으로 UAM 운행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관광과 교통 목적별 수요 예측과 함께 시기별 변화에 따른 경제효과를 분석해 이뤄졌습니다. 제주연구원은 미래발전 전략과 관광수요, 교통 혼잡을 고려할 때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2025.03.31(mon)  |  이현
  • Jeju Flights to Hit 1,558 Weekly This Summer
  • From March 30 to October 25, during this year’s summer travel season, Jeju will operate 1,558 domestic flights each week.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confirmed the flight schedules for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flights during the summer season. There will be a total of 11 domestic routes from Jeju, with weekly flights increasing by 24 compared to last year's summer and 113 more than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Ministry explained that the increased frequency of flights on the Jeju routes is in response to high summer demand while also ensuring stable operations for regional routes. As for international flights from Jeju, 21 routes will operate, including destinations to and from Tokyo, Osaka, Beijing, Shanghai, and Singapore. 올해 하계 제주 기점 국내선 운항 주 1,558회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인 오는 3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7개월간 제주기점 국내선 항공편이 일주일에 1천 558회 운항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하계기간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발표했습니다. 국내선 제주노선은 모두 11개로 주 운항횟수는 지난해 하계보다 24회 동계 기간에 비해서는 113회 늘었습니다. 국토부는 제주노선의 높은 하계 수요에 대응하면서도 소규모 지방노선의 안정적인 운영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 기점 국제선은 일본 도쿄와 오사카, 중국 베이징, 상하이, 싱가포르 등 모두 21개 노선이 운항됩니다.
  • 2025.03.31(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