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Two Weeks In, New Bus System Draws Complaints
  • It’s been two weeks since the bus-only median lane system was introduced on Seogwang-ro (서광로) road. While the province has pushed several supplements and improvements to address the initial confusion, many issues remain unresolved. Todd Thacker reports. (서광로) Seogwang-ro’s central bus lane section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sland-style bus stops and dual-door buses. [Slug] Seogwang-ro BRT opened 2 weeks ago It’s been over two weeks since the opening, but the initial confusion has not yet completely resolved. Complaints continue, especially from the elderly, about confusion over boarding locations and lack of bus seating. INTERVIEW Lee Soon-ok / Ido-dong, Jeju City There are barely any seats on the dual-door buses. We all have to stand. Everyone. And I don’t even know where to board to go to Yongdam. [인터뷰 : 이순옥 / 제주시 이도동] (양문형 버스에) 좌석도 몇개 없어요. 다 서서 가야돼요. 전부다. 용담 가려고 하니까 어디서 타야 할지도 모르고" INTERVIEW Park Jong-sik / Ido-dong, Jeju City Since all the stops are clustered together, older people often can’t tell which side is east or west once they’re inside. [인터뷰 : 박종식 / 제주시 이도동] (정류장이) 한꺼번에 되다보니까 나이먹은 분들은 안에 들어가서 동쪽인지 서쪽인지 구분 못할 때가 상당히 많은 거죠. In response to various complaints, the province has proposed some improvements for the Seogwang-ro route. [Slug] Direction labels changed to ‘Shin-Jeju Bound’ and ‘City Hall Bound’ Boarding direction signs now use clearer labels like “Shin-Jeju Bound” and “City Hall Bound,” replacing the former street name system. [Slug] Additional boarding maps attached; painted road lines improved Additional boarding maps have been posted and painted road surface lines have been improved. They’re also augmenting bus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and on-site inspections. However, officials haven’t been able to find a realistic solution for the split-station issue. [Slug] Route 100 and 200 now use central lane near Jeju Terminal toward City Hall As part of the new improvement plan, Routes 100 and 200, which previously used roadside stops, now run on the newly built central lane between Jeju Terminal and City Hall. The aim is to reduce congestion on side lanes?but this only applies to that specific section. [Slug] 30% of buses on Seogwang-ro still use roadside stops More than 30% of all bus routes on Seogwang-ro still have to use roadside bus stops. [Slug] Unified stop system expected by 2028 The province projects that all buses will be able to use the island-style platforms by 2028?three years from now. Recording Kim Tae-wan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For intercity routes like the 200-series, we plan to speed up the introduction of high-platform dual-door buses, and by 2028, all buses will use island-style bus stops for boarding and alighting. [싱크 : 김태완 제주특별자치도 교통항공국장] 시외로 주행하는 200번대 버스는 고상형 양문형 버스 도입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고 2028년까지는 모든 버스를 섬식 정류장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Park Byeong-june Later this year, the province intends to build more central lanes and island-style bus stops on Donggwang-ro, spanning from Gwangyang Intersection to Jeju National Museum. However, there are growing concerns that this project is being rushed. Todd Thacker, KCTV "보완은 했다지만"…불편은 그대로 '한계' 본문 국내 최초로 섬식 정류장과 양문형 버스가 도입된 서광로 버스 중앙 차로 구간. [서광로 BRT 개통 2주 넘어…안정화 아직] 개통된 지 2주가 지났지만 도입 초기 혼란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로 어르신들을 중심으로 탑승 위치 혼선과 버스 좌석 부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순옥 / 제주시 이도동] (양문형 버스에) 좌석도 몇개 없어요. 다 서서 가야돼요. 전부다. 용담 가려고 하니까 어디서 타야 할지도 모르고" [인터뷰 : 박종식 / 제주시 이도동] (정류장이) 한꺼번에 되다보니까 나이먹은 분들은 안에 들어가서 동쪽인지 서쪽인지 구분 못할 때가 상당히 많은 거죠. 서광로 구간이 개통에 관한 여러 민원에 제주도가 일부 개선책을 내놨습니다. [탑승 방향 표기 방식 '신제주 방면' '시청 방면' 등으로 교체] 우선 탑승 방향 표기 방식을 기존 도로 명칭에서 시청 방면, 신제주 방면 등으로 바꿨습니다. [탑승 위치도 추가 부착·노면 유도선 정비] 또 탑승 위치도를 추가로 부착하고 도로 노면 유도선도 정비했습니다. 버스정보시스템 모니터링과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류장 이원화 문제는 현실적으로 대안을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주터미널에서 시청 방면 운행 100·200번 버스 중앙차로 주행] 이번에 개선방안으로 가로변 정류장을 이용하고 있는 100번, 200번 버스의 경우 새롭게 조성된 중앙 차로를 주행하며 가로변 차로를 비워주기로 했지만 문제는 제주터미널과 시청 구간으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서광로 구간 운행 버스 30% 가로변 정류장 이용] 서광로 구간에서 운행되는 전체 노선 가운데 30% 이상은 여전히 가로변 정류장을 이용해야 하는 실정입니다. [정류장 일원화 시기 2028년 예상] 제주도는 모든 버스가 섬식 정류장에서 승하차할 수 있는 시기를 2028년, 앞으로 3년 후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싱크 : 김태완 제주특별자치도 교통항공국장] 시외로 주행하는 200번대 버스는 고상형 양문형 버스 도입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고 2028년까지는 모든 버스를 섬식 정류장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KCTV : Todd Thacker] 이런 가운데 제주도는 올 하반기에 동광로, 즉 광양사거리에서 국립제주박물관까지 지금의 서광로와 같은 중앙차로변과 섬식 정류장을 추가 조성할 예정이어서 밀어붙이기식은 아닌지 논란과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5.28(wed)  |  이현
  • Tamna QR Hits 2.4B KRW
  • Since its launch in March this year, the Tamna QR payment platform has seen widespread use by various consumer groups, including foreign tourists.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platform recorded payment transactions totaling 2.4 billion KRW over the past two months. Payment data shows that 900 million KRW came through the Tamna app, 1.3 billion KRW via overseas payment apps such as Alipay, and 200 million KRW through domestic payment apps. The platform is linked with 50 different apps, including 28 domestic payment companies and 21 international ones. In Jeju, around 14,000 merchants are registered to accept payments via the platform. 탐나는전 QR 결제, 두 달 만에 24억 원 기록 올해 3월부터 선보인 탐나는전 QR결제 플랫폼이 외국인 관광객을 비롯한 다양한 소비층의 이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두 달간 탐나는전 QR 결제 플랫폼 실적은 24억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결제 내역을 보면 탐나는전 앱 9억 원을 비롯해 알리페이 등 해외 결제사 앱 13억, 국내 결제사 앱 2억 원 등입니다. 탐나는전 QR결제 플랫폼은 탐나는전을 포함한 국내 결제사 28개, 해외결제 21개 등 50개사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있으며 도내의 경우 1만 4천개소가 가맹점으로 등록돼 있습니다.
  • 2025.05.26(mon)  |  이현
  • COVID-19 Surge Alert in Asia Regions
  • With a recent resurgence of COVID-19 in key Asian regions such as Hong Kong and China, health authorities in Jeju are on high alert.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in China has more than doubled this month compared to March. In Hong Kong, the current spread has reached levels even higher than the peak during last summer's wave. Although South Korea has not yet seen a notable increase in COVID-19 cases, Jeju's visa-free entry policy requires heightened vigilance. Jeju health officials are urging residents and visitors to follow personal hygiene protocols. They also recommend vaccinations for high-risk groups, including those over 65 and individuals in vulnerable facilities, to prevent potential outbreaks.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제주 방역 당국 긴장 최근 홍콩과 중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면서 제주 방역 당국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이달 코로나19 확진자 비율이 3월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고 홍콩은 지난해 여름 유행 정점 시기보다 높은 수준으로 확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 환자가 증가하고 있진 않지만 제주의 경우 무비자 지역인 만큼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도 방역 당국은 개인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65살 이상 어르신이나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등 고위험군의 경우 예방접종을 당부했습니다.
  • 2025.05.26(mon)  |  이현
  • Couriers Demand Vote Day
  •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Courier Workers' Union has issued a statement demanding that the voting rights of delivery workers be protected. They criticized the harsh reality of year-round deliveries, stating it forces delivery workers into constant sacrifice and effectively excludes them from exercising their right to vote. Emphasizing their role as citizens of the nation, the union member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cast their votes at polling stations. They called for June 3, the day of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to be designated as a "No Delivery Day" to ensure all delivery workers can participate in the democratic process. 택배노조 제주지부 "대선 참정권 보장해야" 전국택배노동조합 제주지부가 성명을 내고 택배노동자의 참정권을 보장하라고 요구했습니다. 365일 배송이라는 참혹한 현실이 택배 노동자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며 참정권의 사각지대로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나라의 주권자로 투표소에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싶다며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하라고 요청했습니다.
  • 2025.05.26(mon)  |  이현
  • Jeju Grows Cruise Workforce
  •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in partnership with Jeju National University launched an initiative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 for the growing marine tourism industry as Jeju moves into its new role as a semi-home port for cruise ship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a course titled ‘Marine Cruise Tourism Business’ last year, the program now includes expert lectures by cruise professionals and international cruise ship tours. Looking ahead,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plans to expand the training program through continued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cruise line operators to foster mor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크루즈 준모항 시대 관광 전문인력 양성 제주관광공사가 제주대학교와 함께 크루즈 준모항 시대에 맞춰 해양 관광산업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에 '해양 크루즈 관광 사업론'이라는 관련 교과목을 처음 개설한 데 이어 크루즈 전문가 특강, 국제 크루즈선 투어 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제주관광공사는 앞으로도 대학, 선사 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2025.05.26(mon)  |  이현
  • New Bus Links Port & Town
  • A new bus route, No. 680, connecting Seogwipo’s (서귀포) old town area to Gangjeong (강정) Cruise Terminal, will begin operation on the 28th of this month. The new route aims to improve public transportation convenience for cruise tourists visiting Gangjeong (강정) Port and to revitalize local businesses in the old town. The bus will depart directly from the front of Gangjeong Cruise Terminal and travel through major tourist attractions in the old town, such as Maeil Olle (매일올레) Market and Lee Jung-seop (이중섭) Street. In line with the launch of this route, Seogwipo City has also established three new shuttle bus pick-up and drop-off zones. 서귀포시 원도심~강정항 노선버스 신설 서귀포시 원도심과 강정크루즈를 연결하는 680번 노선버스가 오는 28일부터 운행됩니다. 강정항을 방문하는 크루즈 관광객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 개선과 원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한 노선 신설입니다. 해당 노선은 강정크루즈터미널 바로 앞에서 출발해 매일올레시장과 이중섭거리 등 원도심 주요 관광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서귀포시는 이번 노선버스 운행에 맞춰 셔틀버스 승하차 구역 3곳을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 2025.05.26(mon)  |  이현
  • APEC Meetings Boosts Local Economy
  • The APEC decentralized meetings held in Jeju from the 3rd to the 16th in May have generated an estimated economic impact of approximately 47.2 billion KRW for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Jeju Research Institute at the request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APEC meetings led to a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47.2 billion KRW, a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of 25.8 billion KRW, and created approximately 695 job opportunities. Additionally, major international media outlets including Reuters US, CNBC, CNA, and China Global Television Network covered the APEC Jeju meetings, contributing to a positive boost in South Korea's global profile. The recent APEC meetings held in Jeju were attended by approximately 3,900 participants, including over 70 high-ranking VIPs at the ministerial level from the 21 member economies. APEC 제주회의로 472억 지역경제 파급 효과 지난 3일부터 16일까지 개최된 APEC 제주 분산회의로 472억 상당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APEC 회의의 지역 경제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47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58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695명의 취업 유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미국의 로이터통신이나 CNBC, 싱가포르 공영방송, 중국 국제티비 등 해외 주요 언론에서 APEC 제주 회의를 다루며 국제적 위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본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난 APEC 제주회의에는 21개 회원경제체의 장관급 VIP 70여 명을 포함한 3천 900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 2025.05.26(mon)  |  이현
  • Remembering War Hero Dean Hess
  • A memorial service marking the 10th anniversary of the U.S. Air Force Colonel Dean Hess, who saved over 1,000 war orphans during the Korean War, was held on the 22nd at the Jeju Aerospace Museum. More than 70 years on, his legacy continues to resonate. Joseph Kim reports. The Black Eagles, the Air Force’s special aerobatic team, roar across the skies of Jeju. [Slug] Andeok-myeon, Seogwipo City ? Jeju Aerospace Museum A ceremony is held to commemorate the 10th anniversary of the passing of Colonel Dean Hess, a Korean War hero and the so-called “father of war orphans.” [Slug] 10th Memorial Service for ‘Father of War Orphans’ Colonel Dean Hess Held The memorial was attended by Colonel Hess’s three sons and war orphans whose lives were saved through his efforts during the Korean War, adding meaning to the event. INTERVIEW Lawrence Hess (82), Eldest son of the late Colonel Dean Hess I'm just overwhelmed by the dedication that the people of Korea have shown to my father in his memory. It is really remarkable, I find it really remarkable… [Slug] December 1950 ? Evacuated Over 1,000 War Orphans to Jeju In December 1950, just before the January 4th Retreat, Colonel Hess played a decisive role in evacuating more than 1,000 war orphans from Seoul to Jeju using transport planes. [Slug] War orphan evacuation operation later made into a Hollywood Film This humanitarian rescue mission, known as "Operation Kiddy Car," moved and inspired many, to the extent that it was later adapted into a Hollywood film. Even after the war, he frequently returned to Korea to care for the orphans and took the lead in fundraising efforts for war orphans for over 20 years. INTERVIEW Kim Shin-in (82), Rescued Orphan at the Time The Chinese forces were about to seize Seoul. It was the end of December. If that plane hadn't rescued us, we wouldn't be alive today. About a thousand children were saved. [인터뷰 : 김신인 82세 (당시 구조된 고아)] 중공군들이 막 서울을 점령하기 일보 직전이에요. 12월 말이니까요. 그때 그 비행기로 우리를 구출을 안 했으면 우린 이 세상에 없습니다. 그 구출한 애들이 1천여 명 입니다. [Slug] Called ‘Godfather of the Korean Air Force’ ? Flew Over 250 Combat Missions Notably, while training Korean Air Force pilots, he earned the title “Godfather of the Korean Air Force.”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war, he flew more than 250 combat missions in one year,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feat of enemy ground forces. Recording Lee Young-soo, Chief of Staff of the Korean Air Force Without his firm trust and affection, it might not have been possible for today’s Korea to operate state-of-the-art stealth aircraft. [녹취 :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그의 굳은 신뢰와 애정이 없었더라면 오늘날 최신예 스텔스기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발전된 모습은 불가능 했을지도 모릅니다. Colonel Hess’s memorial monument was erected in 2017 at the Jeju Aerospace Museum, in recognition of his ties to Jeju where many war orphans were evacuated. [Reporter] Joseph Kim [Camera] Hyeon Gwang-hoon Since then, the Korean Air Force has held an annual memorial service to honor his achievements. His dedication and humanitarian spirit during the Korean War continue to shine brightly, even after more than 70 years. Joseph Kim, KCTV '전쟁 고아의 아버지' 딘 헤스 대령’ 10주기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굉음을 내며 제주의 하늘을 가릅니다. [서귀포시 안덕면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서거 10주기를 맞은 6.25 전쟁 영웅이자 전쟁 고아의 아버지로 불리는 미 공군 딘 헤스 대령을 추모하기 위해섭니다. ['전쟁 고아의 아버지' 딘 헤스 대령 10주기 추모식 열려] 이날 추모식에는 헤스 대령의 세 아들과 6.25 전쟁 당시 그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 전쟁 고아들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습니다. [인터뷰 : 로렌스 헤스(82세, 故 딘 헤스 대령 장남) I'm just overwhelmed by the dedication that the people of korea have shown to my father in his memory. it is really remarkable, I find it really remarkable… (영어싱크) [1950년 12월, 전쟁고아 1천여 명 제주로 피신시켜] 헤스 대령은 1.4 후퇴를 앞둔 1950년 12월 수송기를 동원해 전쟁고아 1천여 명을 서울에서 제주로 피신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전쟁고아 이송 작전, 할리우드 영화로도 제작] '작은 천사 작전'으로 불린 이 인도적 구조 활동은 헐리우드 영화로도 제작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줬습니다. 그는 전후에도 수시로 우리나라를 찾아 고아들을 돌봤고, 20여년 간 전쟁고아 후원금 모금활동에도 앞장섰습니다. [인터뷰 : 김신인 82세 (당시 구조된 고아)] 중공군들이 막 서울을 점령하기 일보 직전이에요. 12월 말이니까요. 그때 그 비행기로 우리를 구출을 안 했으면 우린 이 세상에 없습니다. 그 구출한 애들이 1천여 명 입니다. ['한국 공군의 대부' 칭호…250여 차례 직접 출격] 특히 한국 공군 조종사들을 훈련하면서 '한국 공군의 대부'라는 호칭을 얻었습니다. 전쟁 초기에는 1년 동안 250여 차례 직접 출격하며 적 지상군을 격퇴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녹취 :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그의 굳은 신뢰와 애정이 없었더라면 오늘날 최신예 스텔스기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발전된 모습은 불가능 했을지도 모릅니다. 딘 헤스 대령의 기념비는 수많은 전쟁 고아를 피신시킨 제주와의 인연으로 지난 2017년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 세워졌습니다. [영상취재 : 현광훈, KCTV : Joseph Kim] 이후 한국 공군은 매년 추모식을 거행하면서 그의 공로를 기리고 있습니다. 6.25 전쟁 당시 그가 남긴 헌신과 인류애는 7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 곁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5.26(mon)  |  이현
  • Seogwipo Garden at Seoul Garden Expo
  • Seogwipo (서귀포) City has created a 500-square-meter garden to be showcased at the 2025 Seoul International Garden Expo, which will run until October. The Seogwipo Garden is designed to reflect Jeju's unique natural environment and features three themes: the "Meadow Garden" inspired by Jeju's volcanic hills, the "Rainwater Garden" mimicking the Ramsar Wetlands, and the "Shade Garden" depicting the ecosystem of the Gotjawal (곶자왈) forests. Seogwipo City explained that participating in this expo will help raise awareness of both Jeju's ecological resources and the city's garden brand value nationwide.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 '서귀포시정원' 조성 서귀포시가 오는 10월까지 열리는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 500여 제곱미터 규모의 서귀포시정원을 조성했습니다. 서귀포시정원은 제주 고유의 자연환경을 반영해 오름을 모티브로 한 '초지정원', 람사르습지를 재현한 '빗물정원', 곶자왈 생태환경을 연출한 '그늘정원' 등 3가지 테마로 구성됐습니다. 서귀포시는 이번 박람회 참여를 통해 제주 생태자원은 물론 서귀포의 정원 브랜드 가치를 전국에 알릴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5.05.21(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