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Unveils E-System for Public Services
  • Jeju is launching Korea’s first online civil complaint service using electronic signatures. Residents can now apply for subsidies without visiting community centers. To ensure inclusivity, the province plans to support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like the elderly. Joseph Kim reports. Jeju Unveils E-System for Public Services [Slug] Civil complaints can be submitted via Jeju Provincial website Civil complaints can now be easily submitted through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website. Identity verification is also processed through real-name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signature. [Slug] First electronic signature-based ‘Civil Complaint’ service launched The nation's first online civil complaint service based on electronic signatures, ‘Jeju Simple e-Civil Complaint,’ has been launched. [Slug] Complaints can conveniently be filed online Applications for various civil services, which previously required in-person visits to local community centers, can now be filed using smartphones or computers. The service is available 24/7, unrestricted by time or location. [Slug] 59 services across 8 sectors to launch online The civil services being transitioned online span 8 sectors, including community governance, welfare, finance, and living environment?totaling 59 services. [Slug] Simplified processing expected for various allowances and subsidies Applications for various allowances and subsidies, such as longevity allowance, Haenyeo (female diver) allowance, and support funds for farmers and fishermen, are included, and simplified processing is anticipated. However, services that are already offered through national systems, are legally mandated, or require fee payments and thus necessitate in-person visits, are excluded from the service. INTERVIEW Oh Young-hoon, Governor It’s a system where services are provided without visiting the local community centers. Once implemented, it will accelerate innovation across all areas of administration. [인터뷰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을 하지 않아도 서비스가 이뤄지는 시스템입니다. 이것이 이뤄지면 앞으로 행정의 전분야에서 혁신이 가속화 될 것 입니다.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n As the Jeju Simple e-Civil Complaint service is implemented to improve residents’ access to administrative services, the most crucial task is to ensure that it does not become another form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other digitally marginalized groups. Joseph Kim, KCTV "클릭하면 신청 끝"…온라인 민원 서비스 개시 [제주도청 홈페이지 통해 민원 신청 접수 가능] 제주도청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민원 신청을 접수합니다. 실명 인증과 전자 서명으로 본인 확인도 처리됩니다. [전국 최초 전자 서명 기반 '간편 e민원' 서비스 개시] 전국 최초로 전자 서명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민원처리 서비스 '제주 간편 e민원'이 개시됐습니다.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없이 온라인 통해 민원 신청 가능] 그동안 읍면동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했던 각종 민원 신청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가능해진 겁니다.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8개 분야·59개 서비스 온라인 전환]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민원은 주민자치와 복지, 재무, 생활환경 등 모두 8개 분야 59개 서비스입니다. [각종 수당·지원금 간편 처리 기대] 장수수당이나 해녀수당, 농어업인 지원금 등 각종 수당과 지원금 신청이 포함돼 간편한 처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미 정부 시스템으로 제공되고 있거나 법정 민원, 수수료 납부 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방문이 필요한 서비스는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인터뷰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을 하지 않아도 서비스가 이뤄지는 시스템입니다. 이것이 이뤄지면 앞으로 행정의 전분야에서 혁신이 가속화 될 것 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Joseph Kim] 도민들의 행정 서비스 접근을 높이기 위해 시행된 제주간편e민원 서비스가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또다른 차별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입니다. KCTV 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3.31(mon)  |  이현
  • Jeju Supports Reusables at Spring Fest
  • Jeju City will support reusable containers for 10 upcoming events, including the Jeonnong-ro (전농로) Cherry Blossom Festival and the Earth Day Festival. The initiative aims to encourage citizens and tourists to adopt eco-friendly practices and reduce single-use waste generated during festivals. Last year, Jeju City allocated 50 million KRW to provide 50,000 reusable containers for 9 events. 제주시, 왕벚꽃축제 등 10개 행사 다회용기 지원 제주시가 앞으로 예정된 전농로 왕벚꽃 축제와 지구환축제 등 10개 행사에 다회용기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친환경 생활 실천을 유도하고 축제에서 배출되는 1회용품 폐기물을 줄여 나갈 방침입니다. 제주시는 지난해 5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9개 행사에 다회용기 5만 개를 지원했습니다.
  • 2025.03.26(wed)  |  이현
  • Forest Damage Cases Rise
  •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e in cases of forest damage, prompting the police to enhance their response. According to the Jeju Municipal Police, over the past three years, approximately 200 cases of forest damage have been forwarded to the prosecution. This year, as of this month, 26 cases of forest damage have either been forwarded to the prosecution or are under investigation, showing an upward trend. The police force plans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to prevent forest damage in advance and ensure severe punishment for serious offenses. 산림훼손 사례 증가 추세…"대응 강화" 최근 산림훼손 사례가 증가하면서 경찰이 대응을 강화합니다. 제주자치경찰단에 따르면 최근 3년동안 검찰에 송치된 산림훼손 사건은 모두 200여 건 입니다. 올해는 이달 기준 검찰에 송치했거나 수사하고 있는 산림훼손 사건이 26건으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자치경찰단은 행정시 등 유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산림 훼손을 사전에 예방하고 중대 사안에 대해서는 엄중한 처벌을 받도록 적극 대응할 방침입니다.
  • 2025.03.26(wed)  |  이현
  • Surge in Electric Pruner Accidents
  • Electric pruner safety accidents have surged this month, raising concerns for greater caution. According to the Fire Department, there have been 50 reported accidents this year during orchard pruning, with 31 of these incidents (60%) occurring in March. Electric pruners account for 70% of the accidents, making them the most frequent cause. The victims of these accidents are predominantly elderly, with 80% of those injured being over the age of 60.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as urged caution during pruning season, advising users to keep their opposite hand as far away from the cutting area as possible when using electric pruners. 전동가위 안전사고 급증…피해자 80% 60대 이상 이달 들어 전동가위 안전사고가 급증하면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올들어 과수원 가지치기 도중 발생한 신체 안전사고는 50건으로 이중 60%인 31건이 3월에 집중됐습니다. 특히 전동가위 사고가 70%를 차지하는 등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올해 발생한 사고 피해자의 80%는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파악됐습니다. 농업기술원은 가지치기 철에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며 전동가위 사용시에는 반대쪽 손은 나뭇가지 절단부위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잡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2025.03.26(wed)  |  이현
  • Jeju Enhances Senior Pedestrian Safety
  • The Jeju Municipal Police is working to prevent the increasing number of pedestrian traffic fatalities for seniors by improving pedestrian signal systems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As part of this initiative, 219 locations, including crosswalks near hospitals and welfare centers frequented by elderly people, will have their pedestrian signal systems upgraded. For crosswalks 20 meters in length, the pedestrian signal time will be extended from 20 to 28 seconds, and signals will be adjusted to display 1-2 seconds after the vehicle signal ends. Additionally, traffic safety measures for vulnerable pedestrians will be expanded outside senior protection zones. '고령자 보행 안전' 신호체계·시설 개선 추진 제주도 자치경찰단이 최근 급증하는 고령자 보행 교통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보행신호체계와 교통안전시설 개선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과 고령 방문자가 많이 찾는 병원이나 복지관 주변 교차로 횡단보도 등 219개소를 대상지로 정해 보행신호체계를 개선합니다. 20미터 횡단보도의 경우 보행신호시간을 기존 20초에서 28초로 늘리고 차량 신호 종료 후 1-2초 후에 보행신고가 표출되도록 조정합니다. 또 노인보호구역 외 보행안전로에 교통약자 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을 확대 설치합니다.
  • 2025.03.26(wed)  |  이현
  • Jeju Strengthens Wildfire Response
  • As wildfires continue to occur across the country, Jeju Province is intensifying its prevention efforts. To this end, a 24-hour management system will be in operation, with full readiness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wildfire suppression helicopters and off-road pump trucks. Special security duties will be conducted during the two seasonal milestones of Hanshik (한식), Cheongmyeong (청명), as well as Buddha's Birthday. Additionally, fire suppression training will be carried out for cultural heritage sites and traditional temples. Moreover, drones will be used to help monitor blind spots of wildfire watches, and efforts to crack down on illegal burning of agricultural waste will be strengthened. 전국적 산불 발생, 제주도 대응체계 강화 최근 전국적인 산불 발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이에 대한 예방활동을 강화합니다. 이를 위해 24시간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산불진압장비 100% 가동 준비는 물론 산불진화 헬기와 험지펌프차 등 출동태세를 구축합니다. 특히 한식과 청명, 부처님오신날 기간에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하며 문화재와 전통사찰 등에 대한 화재진압훈련을 진행합니다. 이와 함께 드론을 활용해 산불감시원의 사각지대를 감시하고 영농폐기물 불법소각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합니다.
  • 2025.03.26(wed)  |  이현
  • Jeju Surveys Revised Garage Policy
  • Jeju Province will conduct a survey to gather public feedback on the revised garage certificate system, which has been changed for the first time in 18 years. To achieve this, regular working group meetings will be held with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o collect on-site feedback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system's improvement and address any inconveniences faced by the public. Additionally, a public awareness survey will be conducted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ments to the garage certificate system, measure residents' satisfaction, and identify areas for further improvement. Under the new system,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made, including the exemption of vehicles with an engine displacement of less than 1,600cc from the requirement. 18년 만에 바뀐 차고지 증명제 도민 반응 조사 제주도가 18년 만에 바뀐 차고지 증명제에 대한 도민 반응을 조사합니다. 이를 위해 행정시와 정기적인 워킹그룹 회의를 개최해 제도개선 초기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도민 불편사항에 대응합니다. 이어 상반기 중에 도민 인식 조사를 실시해 차고지증명제 개선효과를 측정하고 도민들의 실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파악합니다. 이번 차고지 증명제 제도가 대폭 완화되면서 배기량 1,600cc 미만의 자동차는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 2025.03.26(wed)  |  이현
  • Weekend Care Class Outreach to Rural
  • In Jeju, where dual-income households are common, weekend school-based care classes launched last year have been well received. But the programme reach has been limited to only a handful of schools. Now, the weekend care initiative, known as ‘Kkumnang(꿈낭),’ is reaching out further to rural regions. Todd Thacker reports. Weekend Care Class Outreach to Rural Last weekend at an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Normally, these classrooms would be empty, but children are attending a music class. [Slug] Weekend care program ‘Kkumnang Classroom’ expanded to towns and rural areas To address the gap in care for young students over the weekend, the ‘(꿈낭) Kkumnang Classroom,’ which uses school facilities, has now begun operating in towns and rural areas. INTERVIEW Kim Hyung-shin / Director, Ara Kkumnang Center We are working hard to ensure that this care program becomes a place where children can learn meaningful knowledge and values and grow their dreams through learning about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history, culture, and ecology of Jeju, where we live. [인터뷰 김형신 / 아라꿈낭센터장 ] 관계를 배우고 우리가 살고 있는 제주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태를 탐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의미 있는 지식과 가치를 배우면서 꿈을 키울 수 있는 돌봄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Slug] For children aged 6 to 12, 9 a.m. to 5 p.m. on weekends This free weekend care program is offered for families with children aged 6 to 12 from 9 a.m. to 5 p.m. Previously, it was only available at Ara Elementary School and (동홍) Donghong Elementary School, both in urban areas. However, this year, it has been expanded to Suwon Elementary in Hallim-eup and (신례) Sinrye Elementary in Namwon-eup, Seogwipo City. [Slug] Children from nearby areas can also use Kkumnang classrooms Children do not need to be students at these schools to participate in the weekend care program ? anyone can use it. INTERVIEW Oh Young-hoon / Jeju Governor It’s not easy to balance work and home on weekends. This program is operated in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y, the Jeju Office of Education, and the province to care for children on behalf of working parents. [인터뷰 오영훈 / 제주도지사 ] 주말에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일을 나가시는 부모님들을 대신해서 지역사회와 함께 제주교육청과 제주도청이 협력해서 아이들 돌봄을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는 것입니다. [Slug] In addition to regular enrollment, applications for temporary care are available Parents can apply for morning or afternoon sessions on Saturdays and Sundays, and can also register for both. Temporary care can also be requested as needed, for example during the tangerine harvest season. INTERVIEW Kim Hye-seon / Parent, Suwon Elementary School I often have to go to work on weekends, and until now, I had to take my child to work with me. But now that Kkumnang classrooms have opened near my home, I can leave my child comfortably. [인터뷰 김혜선 / 수원초학부모] 저는 주말에도 종종 출근을 해야 되는데 이제까지는 일터에 아이를 같이 동행해서 일을 했었는데요. 꿈낭교실이 집 근처에 생기니까 아이도 편안하게 맡길 수 있고... [Slug] Jeju’s dual-income household rate 63%,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46% The proportion of dual-income households in Jeju is 63.5%,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46.1%.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Yong-min Expanding weekend care classrooms to rural areas will minimize childcare gaps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and reduce parents' worries. Todd Thacker, KCTV 초등주말돌봄 '꿈낭' 읍,면으로 확대 운영 지난 주말 제주시내 한 초등학교 평소 같은 텅비어 있을 교실이지만 아이들이 오카리나 연주 수업을 듣습니다. [주말 돌봄 '꿈낭교실' 읍,면 지역 확대 운영] 주말동안 어린 학생들의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학교 공간을 이용한 '꿈낭교실'이 읍면 지역에도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김형신 / 아라꿈낭센터장 ] 관계를 배우고 우리가 살고 있는 제주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태를 탐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의미 있는 지식과 가치를 배우면서 꿈을 키울 수 있는 돌봄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6~12살 어린이…주말 오전 9시~오후 5시 운영] 이 주말 돌돔 교실인 꿈낭은 6살 이상 12살 이하 아동을 자녀로 둔 가정을 대상으로 주말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운영됩니다. 종전에는 아라초와 동홍초에서 운영됐는데 모두 도심지역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한림읍 수원초와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초로 확대 운영되고 있는 겁니다. [인근 지역 어린이들도 꿈낭교실 이용 가능] 이 주말 돌봄교실은 수원초나 신례초에 다니는 어린이가 아니어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오영훈 / 제주도지사 ] 주말에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일을 나가시는 부모님들을 대신해서 지역사회와 함께 제주교육청과 제주도청이 협력해서 아이들 돌봄을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규반 외에 일시 돌봄 필요시 신청 가능] 토요일과 일요일 오전과 오후 반으로 나눠 신청할 수 있고 중복 신청도 가능합니다. 또 감귤 수확 등으로 일시 돌봄이 필요할 때마다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혜선 / 수원초 학부모 ] 저는 주말에도 종종 출근을 해야 되는데 이제까지는 일터에 아이를 같이 동행해서 일을 했었는데요. 꿈낭교실이 집 근처에 생기니까 아이도 편안하게 맡길 수 있고... [제주 맞벌이 가정비율 63%…전국평균 46%보다 높아] 제주지역 맞벌이 가정 비율은 63.5%로 전국 평균 46.1%보다 높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Todd Thacker] 이 같은 주말 돌봄 교실이 농어촌지역으로 확대 운영되면서 농번기철 어린 아이들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보호자들의 걱정도 크게 덜어줄 전망입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3.26(wed)  |  이현
  • Seogwipo Inspects Children Snack Stores
  • To mark the start of the new school term, Seogwipo City is conducting hygiene inspections on 271 establishments near schools that sell snacks popular among children. The main inspection items include checking for expired products on display or in storage, the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and sales facilities, as well as high-calorie and high-caffeine foods Seogwipo City plans to take administrative action without warning, should any serious violations be found. Meanwhile, during last year's inspections, on-site action was taken at 118 locations. 서귀포시, 신학기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 점검 서귀포시가 신학기를 맞아 학교 주변 등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 271곳을 대상으로 위생점검을 실시합니다. 주요 점검 사항은 소비기한 경과 제품 진열과 보관, 조리 판매 시설 위생적 관리, 고열량과 고카페인 함유 식품 판매 여부 등입니다. 서귀포시는 점검을 통해 중대한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경고 없이 행정 조치할 방침입니다. 한편 지난해 점검에서는 118개소에 대해 현장 조치가 이뤄졌습니다.
  • 2025.03.24(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