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born abroad who come to Korea?commonly referred to as mid-immigration youth?are not few in number, and most struggle to adapt due to language barriers.
Various forms of support are being implemented to help these dual-background students reduce learning difficulties in the classroom.
Todd Thacker reports.
Bridging Language Gaps in Jeju Schools
이주학생 한국어 지원 강화…"통역도우미 배치"
[Slug] Jeju Buk Elementary School
This language program began last year at an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gather to learn Korean using flash cards.
[Slug] Up to 10 hours of Korean lessons per week
It’s a curriculum designed to improve the language skills of immigrant students who are not yet fluent in Korean.
They can participate for up to 10 hours a week in subjects such as Korean and Social Studies.
INTERVIEW
Yang Soo-ah / Korean Language Class Teacher at Jeju Buk Elementary School
The kids can speak fairly well, but if the words or sentences get even slightly more difficult, they tend to struggle with comprehension. That’s why they face many challenges in learning during class time.
[인터뷰 양수아 / 제주북초 한국어학급 교사 ]
아이들이 말은 되게 잘 하는데 조금만 낱말이 어려워지거나 문장이 어려워지면 이해를 잘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수업시간에 학습적인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거든요.
Additional support for these students is available to help them adjust to Korean school life.
[Slug] 2025: Korean language classes expand to 3 elementary, 2 middle schools
Last year,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piloted at two schools. Due to their success, the program will be expanded this year to include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Six regional hub schools will provide support to students in smaller schools or schools with fewer migrant-background students.
[Slug] Learning interpreters deployed, AI Interpreters also supported
To facilitate Korean language learning at any time and in any location, learning interpreters and digital education programs in multiple languages will be provided.
Recording
Kim Yi-sun / Director of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Policy, Jeju Office of Education
When the teacher is teaching, subtitles in Korean will appear on the side, and for students from the Philippines or Cambodia, subtitles can be shown in their respective languages so they can understand as well.
[녹취 김이선 / 제주도교육청 다문화국제정책과장 ]
앞에서 선생님이 수업할 때 옆에서 자막으로 한국어로 나온다든가 또 필리핀이면 필리핀, 캄보디아는 캄보디아인들이 알 수 있게 자막으로 이렇게 보여줄 수 있는 겁니다.
In addition, support will be provided for programs such as integration camps, which bring together students from migrant and local backgrounds, and motherland visit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lug] Over 3,000 multicultural students last year, 4% of all student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Jeju region exceeded 3,000 for the first time in 2023 and continues to grow steadily, now accounting for 4% of all students in the region.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Yong-min
With Korean language classes continuing to expand,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help migrant-background students better adapt to their new school life.
Todd Thacker, KCTV
[제주북초등학교]
제주시내 한 초등학교
학년이 다른 학생들이
한 교실에서 낱말 카드를 이용해 우리말을 배웁니다.
지난해부터 운영에 들어간 한국어 교실입니다.
[주당 최대 10시간 한국어 수업 참여]
우리말이 서툰 중도 입국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국어와 사회 과목 등 일주일에 최대 10시간 씩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양수아 / 제주북초 한국어학급 교사 ]
아이들이 말은 되게 잘 하는데 조금만 낱말이 어려워지거나 문장이 어려워지면 이해를 잘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수업시간에 학습적인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거든요.
이들 이주배경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지원이 한층 강화됩니다.
[올해 한국어학급 초 3, 중 2 확대 운영]
지난해 2개교에 신설한 한국어학급이
올해는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2개교로 확대 운영됩니다.
학생 수가 적거나 작은 학교 이주배경 학생들을 위해서
6군데 지역 거점 형태로 이뤄집니다.
[학습 통역 도우미 배치…AI통역도우미 지원]
시간과 장소에 관계 없이
한국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통역 도우미를 배치하고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
디지털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녹취 김이선 / 제주도교육청 다문화국제정책과장 ]
앞에서 선생님이 수업할 때 옆에서 자막으로 한국어로 나온다든가 또 필리핀이면 필리핀, 캄보디아는 캄보디아인들이 알 수 있게 자막으로 이렇게 보여줄 수 있는 겁니다.
또 이주배경 학생과
지역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어울림 캠프과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모국 방문 프로그램도 지원합니다.
[다문화학생 작년 3천 명 넘어…전체 학생 수의 4% 차지]
제주지역 다문화 학생은
지난 2023년 처음으로 3천 명을 넘어
해마다 꾸준히 늘면서
제주지역 전체 학생 비율의 4%를 차지합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Todd Thacker]
이런 가운데
지난해부터 신설된 한국어 교실을 중심으로
이주배경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
확대 운영될 예정이어서
낯선 학교 생활 적응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