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Vietnam Strengthen Exchange
  • Jeju and Vietnam will be strengthening it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various areas including tourism and goods. Jeju Governor Oh Young-hun held a meeting with the Vietnamese Ambassador to Korea to discuss ways to expand exchang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rade, investment, tourism, labor, a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consensus on the need to expand the current Jeju-Vietnam direct flight, which currently operates 10 times a month as a regular route. In addition , the export of Jeju’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uch as abalone and flatfish, and exchange of Human Resources were also discussed. 제주도-베트남 교류 협력 강화…정기 직항 확충 제주도와 베트남이 관광과 물적 등 다방면에서 교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집무실에서 부호 주한 베트남 대사와 면담을 갖고 무역과 투자, 관광, 노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현재 월 10회의 부정기 노선으로 운항 중인 제주~베트남 직항 노선을 정기 노선으로 확충할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이와함께 전복과 광어 등 제주의 농수산품 수출과 노동 분야 교류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습니다.
  • 2024.10.10(thur)  |  이현
  • Jeju's Space Ground Station Project Gains Speed
  • Jeju's Space Ground Station Project Gains Speed In the Sangdae-ri region of Hallim-eup, a large antenna with a diameter of 4 meters has been set up to gather satellite data. In Sangdae-ri, Contec, a private space venture, is building the largest space ground station in Korea, on a vast site spanning over 23,000 square meters. The project's first phase has reached its final stage, with four communication antennas and five antennas specifically designed for low-orbit satellites now fully operational. Recording Lee Jae-won / Vice President, CONTEC When information collected from satellites or spacecraft orbiting Earth is transmitted to the Earth, these antennas receive the data and perform their role. Contec’s space ground station was designated as an investment promotion zone by the province last year. By year-end, 12 antennas will have been install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satellite control room and a space experience center. This infrastructure will enable comprehensive satellite data reception and processing services. In response to government frequency allocation policies, which affec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ec is actively exploring and investing in optical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approach leverages light, rather than radio frequencies, as the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INTERVIEW Lee Jae-won / Vice President, CONTEC With increasing regulations on frequencies worldwide, we are applying optical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 way to overcome technical hurdles. As the province fosters Jeju's space industry, companies that have settled in Jeju are beginning to show results. The former (탐라) Tamra University site, now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s an Opportunity Development Zone, is where the (하원) Hawon Techno Campus Space Center is being built. And later this month, Perigee Aerospace is set to launch its own rocket. Based on the success of these private companies, the province plans to approach the government to seek the regional designation of a space cluster. 국내 최대 제주 우주지상국 '속도' 한림읍 상대리 일대에 접시 크기가 4m에 달하는 대형 안테나가 설치됐습니다. 위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안테나입니다. 상대리 일대 2만3000여 제곱미터 부지에 민간 우주 기업 컨텍이 조성 중인 국내 최대 규모의 우주 지상국. 최근 1단계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통신용 안테나 4대와 저궤도 위성용 안테나 5대 등 모두 9대가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싱크 : 이재원 / ㈜컨텍 부대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이나 발사체에서 수집된 정보를 지구에 송신하면 이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받는 그런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컨텍의 우주 지상국은 지난해 제주도로부터 투자진흥지구로 지정됐습니다. 올해 말까지 안테나 12대 설치를 완료하고 위성 관제실과 우주 체험실을 조성해 위성 데이터 수신 처리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정부의 주파수 할당 허가 문제로 일부 데이터 송수신에 제한을 받고 있는 만큼 주파수가 아닌 빛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광통신을 활용한 기술 개발도 추진중입니다. <인터뷰 : 이재원 / ㈜컨텍 부대표> 각국의 주파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기술적으로 허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통신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해서...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형 우주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 둥지를 튼 관련 기업들의 성과가 하나 둘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부의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옛 탐라대 부지인 하원테크노캠퍼스에서는 우주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고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이달 중 자체 개발한 발사체를 쏘아올릴 예정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민간 기업의 성과를 기반으로 정부에 우주 클러스터 선정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 2024.10.10(thur)  |  이현
  • Jeju Athletes Compete in National Games
  • A Squad of 392 Athletes Representing Jeju Will Compete in the 44th National Sports Games for the Disabled, held in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the 25th to the 30th. The athletes will compete in 24 events including swimming, track and field, badminton, and wheelchair basketball. Notably, Shin Kyoung-hwan (신경환), who participated in the 2024 Paris Paralympics, will compete in the badminton event, drawing high expectations. Last year, the Jeju squad won a total of 102 medals across 18 events, including swimming and track and field.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에 제주 선수단 392명 출전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경상남도 김해시 일원에서 열리는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제주도 선수단 392명이 출전합니다. 제주 선수단이 참가하는 종목은 수영과 육상, 배드민턴, 휠체어농구 등 24개 종목입니다. 특히, 배드민턴 종목에는 지난 2024 파리 패럼림픽에 참가했던 신경환 선수가 출전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 제주도 선수단은 수영과 육성 등 18개 종목에서 모두 102개의 메달을 획득했습니다.
  • 2024.10.07(mon)  |  이현
  • Women Divers’ Book Released in English
  • Hado Elementary School has published a picture book on the Hadori Women Haenyeo Divers’ Anti-Japanese Movement in both Korean and English. The picture book was created based on research and studies conducted by 4th-grade students last year and this year, focusing on the Hadori Women Divers’ Anti-Japanese Movement, one of the three major anti-Japanese movements in Jeju. Anyone can download the book from the Jeju appreciation education section on the Jeju office of education’s official website. 하도초, 해녀항일 운동 그림책 한글·영문판 출간 하도초등학교가 하도리 해녀항일운동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한글판과 영문판으로 동시 출간했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그림책은 지난해와 올해, 4학년 학생들이 제주 3대 항일운동 중 하나인 하도리 해녀항일운동에 대해 조사하고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과 그림으로 재구성한 작품입니다. 그림책 자료는 제주도교육청 홈페이지 제주이해교육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4.10.07(mon)  |  이현
  • Jeju Offers Welcome Kit for Young Movers
  • Young people who move to Jeju will receive welcome kits contain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long with local specialty products. The kits are available to those aged 19 to 39 who apply via the Jeju Provincial website by the 21st. A total of 700 recipients will be selected through a lottery. The delivery of the welcome kits containing a set of 7 local specialties including a raincoat, socks, and tangerine tea will begin in stages next month, through courier services. 제주 이주 청년에 '웰컴키트' 제공…21일까지 신청 제주로 이주한 청년들에게 청년정책 안내자료와 지역 특색을 살린 제품이 들어있는 웰컴키트가 제공됩니다. 지원 대상은 19살에서 39살 청년으로 오는 21일까지 제주도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추첨을 통해 700명에게 지급됩니다. 웰컴키트는 제주패턴 우비와 양말, 귤 티백차 등 제주지역 특색을 담은 7종 세트로 구성됐으며 다음달부터 순차적으로 택배로 배송될 예정입니다.
  • 2024.10.07(mon)  |  이현
  • Jeju Offers Hourly Childcare for Infants
  • Jeju City is providing an hourly childcare service that can be used for up to 60 hours per month. This service is available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two whose families receive parental or home care allowances, and it is offered through 57 classes at 45 institutions. Parents can use up to 60 hours per month, with a personal fee of 2,000 won per hour, as the government subsidizes the cost. The hourly childcare service is designed to help families cover gaps in childcare when parents need to run errands or visit the hospital. 제주시, '2세 미만' 시간제 보육서비스 지원 제주시가 월 60시간 이내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시간제보육 제공기관은 45개소 57개반으로 부모급여나 가정양육수당을 받는 아동을 대상으로 2세 미만 영아에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용시간은 월 60시간 이내이며 보육료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시간당 본인부담금은 2천원입니다. 시간제 보육서비스는 가정양육 외출과 병원 이용 등으로 보육 공백이 발생했을 경우 시간 단위로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2024.10.07(mon)  |  이현
  • Jeju Apartment Prices Fall, Nationwide Rise
  • Apartment prices in Jeju continue to decline, while prices nationwide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Board, in the fifth week of last month, apartment sale prices in Jeju dropped by 0.02%, and rental prices fell by 0.05%. In contrast, the nationwide average saw a 0.02% increase in sale prices and a 0.05% rise in rental prices. Real estate experts attribute the decline in Jeju to high interest rates and an economic downturn, which have dampened buyer sentiment, while the accumulation of unsold homes in Jeju has further driven the downward trend in prices. 제주 아파트값 하락세 지속…전국 상승세 유지 제주지역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반면 전국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 전세가격은 0.05% 각각 하락했습니다. 반면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 0.02% 전세가격은 0.05%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매수심리가 위축됐고 제주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쌓이면서 주택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4.10.07(mon)  |  이현
  • Hottest September Sets New Record
  • Last month saw summer-like heat, making it the hottest September on record.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average temperatures across Jeju in September were 27.6°C in Jeju City, 27.9°C in Seogwipo, 27.3°C in Seongsan(성산), and 26.8°C in Gosan(고산), each setting new record highs. For the first time, the monthly average high temperatures exceeded 30°C, with 30.8°C in Jeju City and 31.2°C in Seogwipo. Additionally, tropical nights reached 15.5 days, and heatwave days were recorded at 4.8 days, marking the highest numbers ever. 역대 가장 더웠던 9월…기온·폭염·열대야 신기록 한여름 같은 더위가 이어진 지난달은 역대 가장 더운 9월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지점별 평균기온은 제주시 27.6도, 서귀포 27.9도, 성산 27.3도, 고산은 26.8도로 지점마다 관측 이래 1위를 기록했습니다. 월평균 최고기온도 제주시 30.8도, 서귀포 31.2도를 기록하는 등 처음으로 30도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함께 열대야일수도 15.5일, 폭염일수는 4.8일로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기록되는 등 9월에도 한여름 더위가 기승을 부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 2024.10.07(mon)  |  이현
  • Return Old Driver’s Licence But No Support
  • Return Old Driver’s Licence But No Support An electric taxi crashed into a bench. A vehicle drove onto a pedestrian path near Sanbangsan mountain where vehicle access is prohibited, causing an accident. The driver of the vehicle that injured two tourists in their 20s was in his 70s, a senior driver aged 65 or older. Last year, there were more than 700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with the accident rate among elderly drivers ranking third nationwide. To prevent accidents, a voluntary license return system has been in place since 2019, offering transportation allowances to those who return their licenses. This year, 680 people returned their licenses, but problems arose. Transportation allowances have been suspended since last month. The national budget for transportation allowances decreased from 56 million won in 2020 to 16 million won in 2021, and to 21 million won this year. The fluctuating budget is attributed to fairness issues in regional budget allocations. As a result, the total transportation budget decreased from 150 million won in 2020 to 120 million won this year. The province announced late last month that due to budget shortages, transportation allowances will not be paid until after January next year, informing towns and villages across the island. This has caused situations where people who returned their licenses are unable to receive their transportation allowances on time. More than 800 people who were supposed to receive their allowances the following month after applying have not received the payment over the past two years. This has led to complaints about losing their licenses without getting compensation. INTERVIEW Senior who returned license I agreed with the idea of returning the license and actively cooperated by handing in my license. But why is the other side not keeping their promise? I believe there should be compensation for giving up driving, but it's not being provided, which seems like a policy contradiction. The province announced plans to increase next year's transportation budget to 160 million won and promote the "Happy Taxi" service. Last year, the license return rate in Jeju was 2.1%, below the national average of 2.4%. There are also suggestions that securing the budget on time and increasing the current transportation allowance of 100,000 won if necessary is essential. "면허증만 뺏겨"…교통비 없는 자진반납제? 전기차 택시가 벤치를 들이 받았습니다. 산방산 인근 차량 출입이 금지된 산책로를 차량이 돌진해 사고가 난 겁니다. 20대 관광객 두 명을 다치게 한 사고 차량 운전자는 70대로 65살 이상 고령 운전자였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고령 운전자 사고는 700건이 넘었고 고령운전자 사고 비율은 전국에서 세번째로 높습니다. 사고 예방을 위해 면허를 반납하면 교통비를 지급하는 자진반납제가 2019년부터 시행 중입니다. 올해도 680명이 면허를 반납했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지난 달부터 교통비 지원이 중단됐기 때문입니다. 교통비 예산인 국비가 지난 2020년 5천 6백만원에서 2021년 1천 6백만 원, 올해는 2천 1백만 원으로 줄었습니다. 지역 예산 배분 등 형평성을 이유로 국비 규보가 매년 들쭉날쭉 바뀌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교통비 예산도 2020년 1억 5천여 만원에서 올해는 1억 2천만 원으로 감소했습니다. 제주도는 예산이 부족해지자 교통비 지급을 내년 1월 이후로 지급한다는 지연 안내를 지난 달 말 도내 읍면동에 통보했습니다. 이로 인해 면허를 반납해도 교통비를 제때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신청 다음 달이면 받아야할 교통비를 지급받지 못한 운전자는 지난 2년 동안 800명이 넘었습니다. 돈은 못받고 면허만 뺏겼다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씽크:면허 반납 어르신> 면허를 반납하라는 뜻에 찬동하면서 적극적으로 내가 협조하는 의미로 면허증을 반납했는데 왜 그쪽 약속은 안 지키느냐? 운전을 못하는 것에 대한 보상이 당연히 나와야 할 것인데 그건 안 주면서 미리 반납한다는 건 정책적으로 모순이 있지 않나. 제주도는 내년에는 교통비를 1억 6천만원까지 확대 편성하고 행복택시 등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제주지역 면허 반납률은 2.1%로 전국 지자체 평균인 2.4%보다 낮았습니다. 예산을 제때 확보하고 필요한 경우 현행 10만 원인 교통비를 더 올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2024.10.07(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