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age Proof System Causing Discontent
In Korea, the garage proof-of-space system is unique to Jeju Province.
The system, initiated in 2022, is now in its third year of full implementation, targeting all vehicles in the province.
In the eastern region's public parking zones, an annual payment of 900,000 won secures parking registration. However, using the lot as a garage isn't allowed when it reaches capacity.
Public parking garage registration has a limited duration of two years, leading to recurring inconveniences for users.
Private parking lots offer the convenience of garage registration, however, this comes with the drawback of extra fees that burden drivers. Other problems such as alleyway parking remain unresolved.
Private parking garage registrant
Whether public or private, I had to pay to use the parking lot, so I registered at a cheaper private parking lot. Even there, I have to pay more if I park, so I end up parking in alleys near my home.
Within Jeju's online grievances system, citizens have recently proposed a temporary exemption period for inherited or gifted vehicles, similar to the exemption provided for housing. The rationale is that the lack of garage space hinders property rights.
In densely populated urban and rural areas, the construction of parking lots or secure parking within 1-km radius, which is a requirement for garage registration, is frequently impractical. This raises concerns that the system itself may intensify population hollowing.
The entry of a growing number of vehicles registered in other regions and long-term rentals or leases into Jeju Island indicates that the garage proof-of-space system, implemented to limit the number of vehicles on the island, may be losing its effectiveness.
In 2022, over 80%, or 277 of the 343 cases fined for not complying with the garage proof system remained unpaid, highlighting the system's shortcomings.
Song Chang-kwon / Chairperson, Jeju Provincial Council
Starting from the garage proof-of-space system, the direction of the overall demand management policy for transportation is good. However, fine-tuning is necessary. We must not leave these inconveniences unaddressed. We in the council will closely monitor and manage these issues.
For the garage proof-of-space system to achieve its original goal of curbing vehicle proliferation and helping solve traffic and parking issues, a thorough evaluation, coupled with other improvements, will be necessary.
전국 유일 차고지증명제 3년 차…문제 수두룩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차고지증명제.
지난 2022년부터
도내 모든 차량으로 대상이 확대되며
제도가 본격 시행된지 3년차에 접어들었습니다.
동지역 공영주차장의 경우
연간 90만 원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차고지 등록이 가능하지만
주차장이 만차될 경우
차고지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공영주차장 차고지 등록은
최대 2년까지만 가능해
이용자들의 불편이 계속 수면위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민영주차장의 경우
차고지 등록은 가능하지만
주차비를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조건 등으로
운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고
이면주차 등으로 인해
주차난도 나아지질 않고 있습니다.
<민영주차장 차고지 등록자>
공영이든 민영이든 주차장에 돈을 내고 써야 되는 상황이었는데
저는 조금 더 저렴한 민영주차장에 등록을 했죠. 거기에 (차를) 대면 돈을 또 추가로 내야 되니까 저는 집 근처 골목에다 주차를 하게 되더라고요.
또 최근 제주도 온라인신문고에는
차량을 상속받아 처분해야 하지만
차고지가 없어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고 있다며
상속과 증여를 받는 경우
주택처럼 일시적인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원도심과 읍면지역의 경우
주차장 조성이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거주지 반경 1km에 차고지등록이 가능한
주차장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제도 자체가 인구공동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합니다.
이 같은 상황에
차고지증명이 필요 없는
다른 지역에서 등록한 차량의 제주 반입과
장기 렌터카 또는 리스 차량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차고지증명제의
차량 억제 목적이 퇴색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차고지 증명제를
이행하지 않은 차량 343건에 대해 과태료가 부과됐지만
80%가 넘는 277건이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며
불완전한 차고지증명제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송창권 /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
차고지증명제로부터 시작해서 교통의 전반적인 총수요 관리 정책에 대해서는 방향은 잘 가고 있다. 그런데 그중에서 미세 조정이 좀 필요하다.
이런 부분들이 그냥 손 놓고 있으면서 불편함을 놔둬서는 안 된다. 저희들도 의회 차원에서 많이 살피고 챙겨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차고지증명제가
차량 증가 억제와 교통난과 주차난 해소 등
본연의 목적을 이루고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선
종합적인 진단과 함께
제도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