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rcial Real Estate in Dire Straits
This area around (광양) Gwangyang Intersection in Jeju City is one of the major commercial districts.
The doors of the guesthouse are firmly shut, and it seems that it has been untouched for a long time, with various utility bills scattered inside.
There are rental signs poste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clothing stores and restaurants.
Due to poor sales, many have been unable to cope with high rents and operating costs, leading to closures.
INTERVIEW
Merchant
Young people, whether they work part-time or have jobs, there's nowhere for them to work, and they need income to spend money. They can't just wander around borrowing money to eat out.
The capital return rate in the (광양) Gwangyang Intersection area has been declining for six consecutive quarters.
The capital return rate for small commercial properties in Jeju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fell by 0.18% from the previous quarter.
Not only (광양) Gwangyang Intersection, but also (중앙) Jungang Intersection and the downtown area of Seogwipo have all seen declines.
Alongside, the return on investment for commercial real estate in the region is also recording the lowest levels nationally.
Due to poor business and high interest rates increasing the burden of rent, more properties are ending up in auction.
Last month, the number of commercial office facilities put up for auction exceeded 160, the highest since November 2009, almost 14 years ago.
However, due to the low profitability, the successful bid rate was only 15%.
INTERVIEW
Lee Ju-hyun / Specialist at JiJi Auction
A low successful bid rate means that not only are more new cases entering the auction, but existing items continue to be passed over, piling up. It appears that the vacancy rat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buying interest has shrunk considerably due to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With an economic downturn and prolonged high interest rates, the chill affecting commercial real estate is harsher than ever.
돈 안 되고 안 팔리고…상업 부동산 '사면초가'
도내 주요 상권 중 한 곳인
제주시 광양사거리 일대입니다.
게스트하우스 문이 굳게 닫혀있고
사람 손길이 닿은지 오래된 듯
내부에는 각종 공과금 고지서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옷가게와 식당 등 곳곳에는
세입자를 찾는 임대 안내문이 붙여져 있습니다.
장사가 안 되다 보니
높은 월세와 가게 운영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폐업한 겁니다.
<인터뷰 : 상인>
청년들이 어쨌든 알바를 하든 직장에 가든 이런데 자리가 없어서 수익이 있어야 돈을 쓰는데 저희 같은 경우도 젊은 층이 이 동네 오면은 돈이 생겨야 쓸 거잖아요. 빚져서 사 먹으러 다닐 수도 없고.
이곳 광양사거리 일대의 3개월간의 부동산가격 변동률을 보여주는
자본수익률은 6분기 연속 하락했습니다.
올해 1분기
제주지역 소규모 상가의 자본수익률은
직전 분기 대비 0.18% 떨어졌습니다.
광양사거리 뿐만 아니라
중앙사거리, 서귀포 도심 지역 등
대표 상권들이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이와 함께
도내 상업용부동산 투자수익률도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장사가 안 되는 상황에서
고금리로 임대료 부담이 커져
결국 경매에 붙여지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지난달
도내 업무 상업시설의 경매 진행건수는 160건을 넘어서며
지난 2009년 11월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하지만 저조한 수익률로 인해
낙찰률은 15%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 이주현 / 지지옥션 전문위원>
낙찰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경매에 신규로 유입되는 건수도 많아지고 기존에 있었던 물건들도 계속 유찰되나 보니깐 쌓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거든요. 경기가 좋지 않다 보니깐 공실률도 많이 늘어나고 매수세도 상당히 위축됐기 때문으로 보이고요.
경기 침체와 고금리 장기화로
상업용부동산에 부는 한파가
그 어느 때보다 매서워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