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astal Erosion a ‘Vicious Cycle’
이현   |  
|  2024.05.16 10:01
Coastal Erosion a ‘Vicious Cycle’

Recently, a beach in Andeok-myeon gained popularity as a backdrop for a music video featuring a prominent girl group.

Broad expanses of sandstone rock are found along the coastline.
But even a few years ago, the coastal topography was quite different.


As a result of altered currents caused by newly constructed breakwaters in the vicinity, the accumulated sand on the sandstone has been depleted.

Sharp rock formations have taken the place of the lost sand.


Beginning in 2018, the province has been regularly replenishing the beach with sea sand. This became necessary because erosion had caused the water to deepen as sand was lost to the sea.

Some 220,000 cubic meters of sand has been scooped up, an amount that surpasses 30% of the daily national supply of ready-mix concrete.


However, the sand keeps disappearing.

The once flat beach has vanished, and unusual sand cliffs 5 meters high have formed.


Although 20 billion won was invested in the installation of sand loss prevention structures and the reinforcement of revetment facilities along a 400-meter stretch of the seabed, these measures have proved inadequate. Erosion continues to alter the barren coastal landscape and poses a threat to the marine ecosystem.

Recording
Seong Ho-gyeong / President, Jeju Island Fishing Village Federation
The province said if we made a submarine breakwater, it could prevent loss, and creating a western breakwater could stop the currents and prevent loss, but the sand is already gone. It flows into the village fishing grounds depending on the currents in the sea.

In Andeok-myeon, ongoing coastal development has led to the erosion of sand into the sea and the need for repeated efforts to retrieve it. This has created a vicious cycle.

By 2026, the province will conduct a post-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Hwasun Port project, examining the causes and extent of sand los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measures.




'퍼내고 유실되고'…해안 지형 훼손 '되풀이'


최근 걸그룹 뮤직비디오 촬영 장소로 소개돼
입소문을 탄
안덕면 해변 입니다.

해안선을 따라 모래 암석인 사암이 드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는 보이지 않던 해안 지형이었습니다.

주변 방파제 개발로 조류가 바뀌면서
사암 위에 쌓여있던 모래가 유실된 겁니다.

모래가 사라진 자리에는
날카로운 바위 암석들이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유실된 모래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수심이 낮아지자
제주도는 2018년부터
바다 모래를 퍼서 백사장으로 옮기는 작업을 계속했습니다.

물량만 22만 세제곱미터로
전국 하루 레미콘 공급량의 30%가 넘는 모래를 퍼냈습니다.

하지만 유실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평탄했던 백사장은 온데간데 없고
5미터 높이의 기형적인 모래 절벽이 생겼습니다.


2백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투입해
바다 속 4백미터 구간에
모래 유실 방지 구조물을 설치하고 호안시설도 보강했지만
결국 삭막한 해안 지형으로 바뀌고
바다 생태계 마져 위협하는 침식 현상을 늦출 수는 없었습니다.

<씽크:성호경 / 제주도어촌계 연합회장>
잠제(바닷속 방파제)를 하면 유실을 막을 수 있고 서쪽 방파제 호안이 만들어지면 조류가 막혀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한 건데 이미 모래가 다 나간 거예요. 마을어장으로 흘러간다는 거예요. 바닷속에서
조류에 따라서...


해안 개발로 모래가 유실돼 바다로 쓸려가고
바다 속 모래를 퍼내면
다시 유실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안덕면 해안.

제주도는 2026년까지
화순항 사업 사후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모래 유실 원인과 규모,
예방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해보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