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2] 예견된 혼란…'주민 이해' 유일한 대책
변미루 기자  |  bmr@kctvjeju.com
|  2019.08.16 17:41
영상닫기
제주도가 협약을 위반한 데 반발해 주민들이 쓰레기 반입 저지를 예고했습니다. 하지만 행정에서는 협약 위반에 대한 후속대책 없이 이번에도 주민들의 이해만 강요하고 있습니다.

<고희범 / 제주시장>
"음식물쓰레기 반입을 시키지 않을 경우에 제주시가 온통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주민들도 충분히 이해하시리라 믿고."

현재 봉개동 매립장에 반입되는 쓰레기는 하루 3백 톤이 넘습니다.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되면 제주에서 이 쓰레기들을 처리할 수 있는 곳이 없습니다. 이대로라면 일선 현장에서의 쓰레기 수거 자체도 어려워지게 됩니다.

임시로 쓰레기를 보관할 장소나 처리할 수 있는 시설 같은 대안도 전혀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심각한 악취에 시달려온 주민들은 행정의 무책임한 태도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변미루 기자>
“지난 수년간에 걸친 연장에도 불구하고 제주도가 또다시 협약을 지키지 않으면서 그동안 고통을 감내해온 주민들의 배신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지금까지 매립장 사용 연장에 협의한 것만 지난해까지 포함해 모두 3차례에 이릅니다. 이렇게 주민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이해와 양보를 강요해온 건 이번만이 아닙니다.

지난 2017년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도입 당시에도 시민들의 불편을 고려하지 않을 채 밀어붙이 식으로 제도가 추진돼 거센 비판 여론에 부딪치기도 했습니다.

원칙과 신뢰 없는 쓰레기 정책으로 매립장은 포화되고 주민 불만만 키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변미룹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