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다랑쉬굴 발굴 30년, "의미 잊지 말아사"
이주연 PD  |  ljy256@kctvjeju.com
|  2022.04.06 15:05
다랑쉬굴 소곱이서 4·3(삼) 희생자 유해가 발굴된 지 30주년을 맞앙 희생자 유족덜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마련되엿수다.

제주4·3(삼)연구소는 넘은ᄃᆞᆯ 31일 제주4·3(삼)펭화기념관 대강당에서 '다랑쉬굴 발굴 30년'을 주제로 스물 번차 증언 본풀이 마당을 졋수다.

이 자리에서 4·3(삼) 당시 진압 작전을 피연 다랑쉬굴 소곱디레 피엿당 유해로 발견된 희생자 유족인 함복순 할머니광 고관선 씨 등 시 멩이 참석연 사연을 토로엿수다.

유족덜은 이날 희생자를 위로는 비석을 세우는 등 다랑쉬굴 발굴이 가진 의미를 잊어 불지 말아렌 당부여수다.

지난 1992년 다랑쉬굴에서 발굴된 유해 열 구는 그때 당국에서 정밀 조사도 읏이 발굴 45(십오)일 만이 화장연 바당더레 삐여 불엇수다.



[표준어] 다랑쉬굴 발굴 30년, "의미 잊지 말아야"

다랑쉬굴에서 4·3 희생자 유해가 발굴된 지 30주년을 맞아 희생자 유족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제주4·3연구소는 지난달 31일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다랑쉬굴 발굴 30년'을 주제로 스물 한 번째 증언 본풀이 마당을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4·3 당시 진압작전을 피해 다랑쉬굴에 피해 있다가 유해로 발견된 희생자들의 유족인 함복순 할머니와 고관선 씨 등 3명이 참석해 사연을 토로했습니다.

그러면서 희생자를 위로하는 비석을 세우는 등 다랑쉬굴 발굴이 가진 의미를 잊지 말아달라고 희망했습니다.

한편, 지난 1992년 다랑쉬굴에서 발굴된 유해 11구는 정밀 조사도 없이 발굴 45일 만에 화장돼 바다에 뿌려졌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