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화)  |  김지우
침체된 제주경기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역시 내수 부진은 계속됐고 건설경기는 최악으로 치달았습니다. 경제 성장의 밑바탕이 되는 인구까지 유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제주시내 한 옷 가게입니다. 최근 몇 년간 손님 발길이 줄면서 매출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직원 근무 시간까지 줄여봤지만 경영난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 옷가게 주인> "제가 자영업을 25년 정도 했는데 올해가 최악인 것 같아요. 작년 매출의 3분의 1 밖에 안돼서 가게가 안 나가니깐 어쩔 수 없이 운영하는 것 같아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올해 1분기 소매 판매는 7% 줄었는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돈이 돌지 않자 고용률은 0.3%포인트 감소하며 뒷걸음질 쳤습니다. 반면 전국 평균 고용률은 0.2%포인트 상승하며 제주와 대조를 보였습니다. 산업 생산도 부진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 0.3%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며 전국 평균 오름폭을 밑돌았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평균이 회복세를 보인 반면 제주는 0.4% 감소했습니다. 지역경제를 지탱해야 할 건설업은 출구가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1분기 도내 건설수주액은 99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9% 급감했습니다. 분기 기준 건설수주액이 천억원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 2012년 2분기 이후 13년 만입니다. <인터뷰 : 박혜림 / 통계청 제주사무소 주무관> “국내 항공기 운항 편수 감소 등 내국인 관광객 감소와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면세점과 전문소매점의 판매 감소로 소매판매는 8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관광객 감소는 음식점업과 호텔업 등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서비스생산지수는 4분기 만에 감소로 (전환됐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를 앞지르면서 올해 1분기 2천명이 넘는 인구가 순유출됐습니다. 분기 기준 인구 순유출 규모가 2천명을 넘어선 건 1979년 이후 46년 만입니다. 그나마 1분기 수출이 45% 증가했지만 지역경제의 전방위 침체로 인해 가뭄 속 단비가 되진 못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그래픽 이아민)
이 시각 제주는
KCTV News7
00:37
  • 제주 관광객 500만명 돌파…지난해보다 사흘 빨라
  • 올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5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까지 제주 방문 관광객은 501만 396명으로 지난해보다 사흘 빨리 5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외국인 관광객이 63만 6천600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만명, 4배 넘는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내국인 관광객 수는 437만 3천600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 40만명 가량 줄었습니다.
  • 2024.05.18(토)  |  최형석
KCTV News7
00:38
  • 올해산 마늘 수매가 kg당 3,800원 확정
  • 제주도내 최대 마늘 주산지인 대정지역의 수매가가 kg당 3천 80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대정농협은 오늘(17일) 이사회를 열고 올해 계약재배한 마늘 수매가를 작년보다 300원 오른 상품 기준 ㎏당 3800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안덕농협을 비롯한 나머지 8개 농협의 마늘 수매가도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될 전망입니다. 2차생장 피해를 입은 이른바 '벌마늘'의 수매가는 상품의 절반 수준인 kg당 19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 2024.05.17(금)  |  김지우
KCTV News7
00:33
  • 지난달 제주 취업자 2천명 늘어…증가폭 축소
  • 제주지역 취업자수가 회복세를 이어갔지만 증가폭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취업자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천명 늘며 4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다만 취업자수 증가폭은 지난 3월과 비교해 6천명 축소됐습니다. 지난달 고용률은 69.2%로 0.5%포인트 올랐으며 실업률은 2.5%로 0.2%포인트 소폭 상승했습니다.
  • 2024.05.17(금)  |  김지우
KCTV News7
02:05
  • 경제 부진 완화…부동산·건설 리스크 여전
  •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역경제 부진도 완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과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제주경제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습니다. 김지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국제공항입니다. 관광객들과 이들을 맞이하는 사람들로 공항 안이 북새통을 이룹니다. 가족, 연인 등 개별 여행객부터 동호회와 같은 단체 방문객들까지 관광객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지난달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20만 7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만명 늘었습니다. <김지우> “이달 들어선 하루 평균 4만명의 관광객이 제주를 찾으면서 침체된 지역경제도 조금씩 활력을 되찾고 있습니다.” 내국인 관광객은 봄 성수기 임시 증편 등으로 감소세가 완화되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관광객은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을 웃돌고 있는데 크루즈와 국제선 운항 확대로 당분간 호조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로 인해 민간소비도 나아지고 있습니다. 1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줄었지만 면세점과 대형마트 판매액이 늘면서 감소폭은 2분기 연속 축소됐습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3포인트 가량 오른 98.2를 기록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인터뷰 : 이유경 / 한국은행 제주본부 조사역> “최근 제주경제는 관광객 수가 외국인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소비 여건이 완만하게 개선되면서 부진 완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화되고 있는 부동산과 건설경기 부진은 위험 요소입니다. 지난 3월 건설수주액은 70% 급감했고 부동산시장도 거래절벽 속에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착공 예정인 대규모 관광개발 사업들이 궤도에 올라야 건설투자와 부동산 경기에 다소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 2024.05.17(금)  |  김지우
KCTV News7
02:00
  • 짙어지는 관망세…집값 바닥 언제쯤
  • 고금리 기조와 미분양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단지 아파트 공급까지 예정되면서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집값이 바닥을 다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지난해 11월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은 1년 3개월 만에 하락세에 마침표를 찍고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는 집값 반등 신호가 켜진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론 상승세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올해도 도내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0.13% 떨어지며 하락폭이 소폭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모든 주택 유형에서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가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금리 기조와 미분양 주택 증가가 지속되면서 매수심리가 얼어붙은 게 주요 원인입니다. 여기에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과 화북 신규 택지 조성 등 향후 대단지 아파트들이 들어서는 만큼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 올해 1분기 제주지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전분기와 비교해 4.5% 거래금액은 3.7% 각각 줄었습니다. 전국에서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감소한 지역은 제주와 대전 2곳 뿐입니다. 이와 함께 지난달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전진옥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도회 부회장> “미분양이 많고 금리도 높을 대로 높습니다. 제2공항 고시가 너무 많이 지연되면서 뚜렷한 개발 호재가 보이지 않는데 이런 요인들이 작용해 거래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시장 관망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집값이 바닥을 다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박병준, 그래픽 송상윤)
  • 2024.05.16(목)  |  김지우
KCTV News7
00:31
  • 임영웅 제주삼다수 두 번째 광고 내일 공개
  • 제주개발공사가 모델 임영웅과 함께 한 두 번째 제주삼다수 광고 영상을 내일(17일) 공개합니다. 이번 광고는 수질관리 편으로 연간 2만 번의 수질검사와 106개의 관측망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수질 걱정 없는 깨끗한 물을 완성했다는 내용으로 구성됐습니다. 임영웅과 함께 한 첫 제주삼다수 광고 영상이 경우 누적 조회수는 1천 900만 회, 관련 댓글은 2만 5천개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 2024.05.16(목)  |  양상현
  • 제주항공, 내일 라운지에서 플리마켓 진행
  • 이달 초 문을 연 제주항공의 고객 소통 공간 라운지가 지역상생 활동을 본격화합니다. 제주항공은 내일(17일) 제주시 도두동 라운지에서 제주사회적기업협의회 소속 16개 회원사들과 플리마켓을 진행합니다. 플리마켓에서는 제주딱새우비빔장과 제주전통 상웨빵, 감귤과즐 등 제주 농수산물을 활용한 식품은 물론 친환경 여행용품 등 다양한 제주 상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2024.05.16(목)  |  김지우
KCTV News7
00:27
  • 제주관광공사, 빅데이터 기반 컨설팅 지원
  • 제주관광공사가 도내 관광기업의 빅데이터 활용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컨설팅 지원 사업을 실시합니다. 기업과 전문가를 일 대일로 매칭해 데이터 수집 방법부터 비즈니스 이슈 해결 등 기업 수요에 맞는 빅데이터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접수는 오는 31일까지 이뤄지며 서면 심사를 거쳐 최종 4개 기업이 선정됩니다.
  • 2024.05.16(목)  |  김지우
KCTV News7
02:16
  • [영농] 귀한 과일 '비파'…제주서도 소규모 재배
  • 예전에는 흔히 먹을 수 있었던 비파가 이제는 쉽게 보기 어려운 과일이 됐는데요. 소규모지만 제주에서도 비파를 재배하는 농가가 있습니다. 이맘때부터 6월까지 수확이 이뤄져 출하가 이뤄진다고 합니다. 이번주 영농정보에서 소개합니다. 최근 수확을 시작한 비파나무입니다. 예전에는 집 근처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요즘은 재배하는 곳이 한정돼 있어 쉽게 먹을 수 없는 귀한 과일이 됐습니다. 5월 중순 본격적으로 수확을 시작해 6월까지 출하가 이뤄지는 비파. 대부분 농협이나 로컬마트, 개인 직거래를 통해 유통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부창훈/제주농업기술센터 신기술보급팀장> "조기에 5월 수확이다 보니 병해충에서 문제되는 점은 적습니다. 다른 작물에 비해서…. 수확을 하고 나서 가장 문제 되는 게 판매쪽입니다. 판매망이 아직 구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또 재배면적도 적기 때문에…." 전국적으로는 100ha 정도 비파 농사가 이뤄지고 있고 그 가운데 제주지역은 1ha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흔치 않은 과일이라 1kg당 2만원에서 2만 5천원이라는 비싼 가격에 거래됩니다. 특히 꽃이 빨리 피는 작목인 만큼 병해충 피해가 크지 않아 농약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에 가까운 재배를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농가에서는 판로에 대한 걱정은 있지만, 이런 장점들이 있어 보람있게 농사를 짓고 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화례/비파 농가> "약용으로 많이 먹는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게 좀 좋은 것 같아요. 제가 식초도 담아놓고 비파 진액, 식초도 담고 그랬어요. 힘은 드는데 그래도 보람은 있는 것 같아요." 맛과 효능 모두 뛰어난데다 흔치 않은 작목으로 차별성을 가진 비파. 제주에서도 점차 안정적인 판로를 넓히면서 소득 작목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KCTV 영농정보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2024.05.16(목)  |  김수연
위로가기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