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Commemorates April 3 Incident Victims
  • To commemorate the unnamed victims of the April 3 Incident, the Province will seal the memorial tablets at the Altar of Remembrance in the 4.3 Peace Park. Tablets of nameless spirits will be installed in the Memorial Tablet Annex within the Peace Park and will serve as a space for commemorating the yet-to-be-determined victims of the April 3 Incident. According to the Jeju 4.3 Incident truth investigation report, between 25,000 and 30,000 people are estimated to have been sacrificed during the April 3 Incident. As of now, only 14,800 victims have been identified. '미신고 희생자 추모' 4.3희생자 위패조형물 설치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름을 알 수 없는 4.3사건 미신고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4.3평화공원 위령제단에서 무명신위 위패조형물을 제막합니다. 무명신위 위패조형물은 평화공원 내 위패봉안실에 설치되며 아직 결정되지 못한 4.3 희생자의 추모공간으로 활용됩니다. 제주 4.3사건진상보고서에 따르면 4.3 당시 제주에서 2만 5천에서 3만여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1만 4천 800명만 희생자로 결정돼 있습니다.
  • 2024.03.11(mon)  |  이현
  • Multi-Child Support Applications Open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ccepting applications for education expenses for students from multi-child households. The education support program offers support to the second child of two-child families regardless of household income, providing expenses for school trips, school dinners, as well as support for after-school activities. While households with three or more children receive full support only the second child is supported for two-children families. If you were selected as a recipient last year, you do not need to reapply, but for families with children newly born or new school enrollment, a new application must be submitted. 도교육청, 다자녀 가정 학생 교육비 신청 접수 제주도교육청이 다자녀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비 신청을 접수합니다. 다자녀 교육비 지원사업은 가계소득과 관계없이 두 자녀 가정의 둘째를 대상으로 수학여행비와 고등학교 저녁 급식비, 방과후 자유수강권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다만 세 자녀 이상 가정은 첫째 학생을 포함해 교육비가 전액 지원되지만 두 자녀 가정은 둘째만 지원됩니다. 지난해 대상자로 선정된 경우 다시 신청하지 않아도 되고 자녀 출생이나 학교 입학 등으로 다자녀 가정이 성립된 경우 새로 신청해야 합니다.
  • 2024.03.11(mon)  |  이현
  • Flower Market Withers with Soaring Prices
  • Flower Market Withers with Soaring Prices This is a flower shop in Jeju City. Although the shop is filled with flowers, there are hardly any customers. The price of a single rose reaching 7,000 won, among other price increases,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customers looking for flowers. There was hope that demand would increase during the graduation and school opening season, but the usual specials did not materialize this year. INTERVIEW Park So-ye / Flower shop owner Now we try to make do by reducing the size a bit to match the price, but when customers actually receive them, they tend to be disappointed, thinking the flowers have become quite expensive or the sizes have shrunk. As of early March, the auction price for a bunch of roses at the (양재동) Yangjae-dong Flower Market in Seoul has normally sold for around 9,000 won, but this year it has reached 12,000 won. Compared to a year ago, this is an increase of more than 30%. Firstly, the reliance on imported fresh flowers has increased, an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ave also reduced production, which is interpreted as reasons for the price increase. Furthermore, the increase in heating costs has also raised the financial burden on floriculture farms, further driving up prices. From the perspective of flower shops that bring in and sell fresh flowers at retail, a price increase is inevitable. Recording Lee Bok-nyeo / Chairman of the Korean Florists Association, Jeju Chapter Since the cost of flowers is quite high, people opt for other types of gifts, and we can't just not raise our prices. But we also don't make much profit. We're almost operating at a loss. The floriculture industry agrees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special demand during the family month of May, which includes Parents' Day and Teachers' Day, due to price increases and the economic downturn. 치솟은 가격에…시들어버린 꽃시장 제주시내 한 꽃집입니다. 꽃들이 한가득 진열돼 있지만 손님 발길은 뜸하기만 합니다. 장미 한 송이 값이 7천원에 이르는 등 가격이 부쩍 오르면서 꽃을 찾는 고객이 크게 줄어든 겁니다. 졸업식과 개학식 시즌에는 수요가 늘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예년과 같은 특수는 없었습니다. <인터뷰 : 박소예 / 꽃가게 업주> 이제 사이즈를 조금 줄여서 금액을 맞춰 가지고 최대한 만들어 드리려고 하는데 막상 받아보시면 꽃값이 많이 오른 것 같다, 크기가 작다 등 좀 실망스러워하시죠. 3월 초 기준 서울 양재동 화훼공판장에서 경매된 장미 한 단 가격은 9천원선을 유지하다 올해 1만 2천원 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30% 이상 급등했습니다. 우선 생화 수입 의존도가 높아진데다 기후변화 여파로 생산량까지 줄면서 가격이 오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여기에 난방비 상승으로 화훼농가의 비용 부담이 커진 점도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소매로 생화를 가져와 판매하는 꽃가게 입장에선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씽크 : 이복녀/ 한국화원협회 제주지회장> 꽃값이 많이 비싸다 보니깐 다른 쪽으로 해서 선물을 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우리는 꽃값을 안 올릴 수도 없잖아요. 근데 저희들도 이익금이 많지가 않아요. 조금 손해 보듯 하면서… 화훼업계는 가격 인상과 경기 침체로 인해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이 있는 5월 가정의 달 특수도 기대하긴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 2024.03.11(mon)  |  이현
  • Jeju Promotes Obesity Prevention
  • To address the obesity rate, the Jeju Health Center has established an Obesity Prevention Task Force Team and implemented a walking program. They have designated the second Saturday of each month as "Ten Thousand Steps Walking Day" and are promoting community walking competitions. The first competition, scheduled for the 9th of next month, will take place on the Seongpan Olle 1 Course. Those interested can apply through the Jeju City website. In addition to this initiative, Jeju Health Center is recruiting members for community walking clubs led by residents. They also plan to reward outstanding activity clubs and individuals who complete missions such as walking 8,000 steps a day for three months. 제주보건소, 비만예방 걷기 프로그램 운영 제주보건소가 전국 최상위권 비만율 개선을 위해 비만예방 T/F팀을 구성하고 걷기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에 매달 둘째 주 토요일을 '만보 걷기의 날'로 지정하고 우리동네 만보 걷기 대회를 추진합니다. 오는 9일 첫번째 대회는 성안올레 1코스에서 진행되고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제주시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제주보건소는 이와 함께 주민 주도의 걷기 동아리 회원을 모집하고 우수활동 동아리와 3개월간 하루 8천보 걷기 등 미션 완수자에게는 포상 할 계획입니다.
  • 2024.03.06(wed)  |  이현
  • Jeju Cuts Interest Rates for Food Fund
  • The interest rate for loans from the Food Promotion Fund targeting restaurants and other food service establishments will be reduced from the existing 2% to 1%. Jeju recently announced this decision after convening the Food Promotion Fund Operational Review Committee, aiming to overcome economic crises. This year, the loan support amount is set at 500 million won, with the reduced interest rate applied retroactively from January for applications. The repayment period is set at one year of grace period followed by three years of equal installment repayment. Businesses wishing to apply for the loan can do so by submitting their application to the administrative city where their establishment is located. 식품진흥기금 융자금리 2%→1%로 인하 음식점 등 식품접객업소를 대상으로 한 식품진흥기금 융자금리가 기존 2%에서 1%로 인하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식품진흥기금 운용심의위원회를 열고 경제 위기 극복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융자 지원 규모는 5억 원으로 1월 신청분부터 소급 적용됩니다. 상환 기간은 1년 거치 3년 균등 분할 상환조건이며 융자를 희망할 경우 영업장 소재지 행정시로 신청하면 됩니다.
  • 2024.03.06(wed)  |  이현
  • School Violence Team Solves 92% Cases
  • The operation of the reconciliation support team, led by the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Support, aimed at resolving school violence, has shown success. The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Support announced that out of 95 applications for reconciliation concerning school violence incidents reported last year, 88 cases were resolved through reconciliation. The reconciliation support team helps facilitate reconciliation and mediation before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are officially referred to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Committee. Starting this year, the reconciliation support team will be transferred from the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Support to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or continued operation. 제주시교육지원청, 화해조정지원 통해 학폭 92% 해결 제주시교육지원청의 학폭 폭력 중재를 위한 화해조정지원단 운영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제주시교육지원청은 지난해 발생한 학교폭력에 대한 화해 조정 신청 95건 가운데 88건이 화해 조정을 통해 자체 해결됐다고 밝혔습니다. 화해조정지원단은 학교폭력이 발생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정식 접수되기 전에 화해와 중재를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올해부터 화해조정지원단은 제주시교육지원청에서 제주도교육청으로 이관돼 운영됩니다.
  • 2024.03.06(wed)  |  이현
  • Apartment Market Soars with Urban Project
  • Thanks to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ivate urban park project, it is anticipated that the apartment market in Jeju will see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Housing Industry Research Institute, this month's apartment sales expectation index has increased by 15.5 point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reaching 94.1. This marks the highest increase among 17 cities nationwide. The magnitude of the rise is also the largest. The Housing Industry Research Institute analyzed that the anticipation of housing developers is likely due to the first private urban park project in the Jeju area, which increased sales. 아파트 분양 전망 '개선'…민간특례사업 효과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 효과에 힘입어 제주도내 아파트 분양 경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5.5포인트 오른 94.1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대치로 상승폭 역시 가장 컸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첫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에 따른 아파트 분양이 이뤄지면서 주택사업자들이 기대감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 2024.03.06(wed)  |  이현
  • Jeju Expands Healthcare Amid Protests
  • As the collective action by healthcare professionals continues, Jeju is institut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The Province has initiated Phase 1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extending the operating hours of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Consequently, the operating hours of public hospitals in the province, including Jeju Medical Center, Seogwipo Medical Center, and Reg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will be extended by two hours on weekdays, from 5:30 p.m. to 7:30 p.m. Jeju Island authorities have planned to extend these emergency services to include weekend clinics if the situation worsens due to the group closures of private clinics.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평일 2시간 연장 전공의 집단행동이 확산됨에 따라 제주도가 공공의료기관 비상 진료를 실시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비상 진료 1단계를 실시해 공공의료기관 진료 시간을 연장합니다. 이에 따라 도내 공공병원인 제주의료원과 서귀포의료원, 권역재활병원은 평일 진료 시간이 오후 5시 반에서 저녁 7시 반까지 2시간 연장됩니다. 제주도는 개원의 집단 휴진 등 상황이 악화되면 공공의료기관 주말 진료까지 실시할 방침입니다.
  • 2024.03.06(wed)  |  이현
  • Jeju Probes Civilian Harms in Strike
  • As healthcare professionals stage collective strikes there has been mounting concern about the expanding healthcare disparity, with reports emerging of civilian harm. Jeju Island officials have reported that as of the 5th of last month, three cases of civilian harm have been brought to the attention of the government-operated Medical Group Action Damage Report Center. Two cases entail surgery delays, while one involves delayed treatment. Jeju Island authorities are currently investigating these reported incidents, focusing on the hospitals implicated. '전공의 집단행동' 도민 피해 3건 접수…현장 조사 전공의 집단 휴진으로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도민 피해 사례도 접수됐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 신고 센터로 접수된 도민 피해 사례는 모두 3건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술 지연이 2건, 진료 지연 1건입니다. 제주도는 접수된 피해 사례에 대해 해당 병원을 상대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2024.03.06(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