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s Unsold Homes Hit All-Time High
  • The number of unsold houses in Jeju reached a record high in February, continuing to pose a challenge for the local housing market.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number of unsold houses after construction completion in the region increased by 12.7% from the previous month to 1,227 units, setting a new record high within a month. The total number of unsold houses in the region stands at 2,485 units, with nearly half classified as malignant, unsold houses after construction completion. Meanwhile, the volume of housing sales decreased by 6.2% to 513 unit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제주 악성 미분양 1,227호…또 '역대 최대' 지난2월 제주지역 악성 미분양 주택이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미분양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2월 도내 준공후 미분양주택은 전월 대비 12.7% 증가한 1천227호로 한 달 만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도내 전체 미분양주택은 2천485호로 이 가운데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이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월보다 6.2% 감소한 513건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4.01(mon)  |  이현
  • Jeju Industry Decline, Consumption Up
  • Industrial activity in Jeju sees a decline in February while consumer spending increased. The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s Jeju branch reports that in February, industrial production in Jeju fell by 18.8%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Significant declines were observed in the beverage and electricity or gas sectors. This decline in industrial production led to a 6% decrease in shipments and a 15.5% reduction in inventory, particularly in food items. However, large retail sales, a key consumption indicator in the region, increased 17.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지난달 제주 산업활동 위축…소비는 증가 전환 지난2월 제주지역 산업활동이 위축된 반면 소비는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2월 도내 광공업생산은 음료와 전기가스업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8% 감소했습니다. 광공업 생산 위축으로 출하도 6% 줄었고 재고는 식료품을 중심으로 15.5% 감소했습니다. 도내 소비 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1년 전보다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4.01(mon)  |  이현
  • Jeju Air Routes Expand
  • According to the Province, direct international flights to Jeju are increasing from 14 to 19 starting this month. Additional routes include Dalian, Changsha(창사), Changchun(창춘), and Harbin, Xi'an(시안) in China. Moreover, with an anticipated surge in demand for spring season school trips and group tourists, domestic routes connecting Jeju are temporarily increased to 54 flights per week. However, the Jeju-Tokyo route is facing delays due to procedural issues such as certain fuel conditions. 제주 기점 국내외 항공노선 잇따라 확대 제주를 잇는 국내외 항공노선이 잇따라 확대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직항 국제선 노선이 이달부터 기존 14개에서 19개로 늘어납니다. 추가 노선은 중국 다롄과 창사, 창춘, 하얼빈 시안입니다. 또 봄 시즌 수학여행이나 단체관광객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제주~무안 노선이 재개되는 등 제주를 잇는 국내선도 주54회 임시 증편됩니다. 한편, 제주~도쿄 도선은 일부 정유 조건 등 절차상의 문제로 취항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 2024.04.01(mon)  |  이현
  • Spring Warning: Bracken Harvesting Risks
  • As interest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springtime fern foraging grows, it's important to take measures to prevent getting lost. According to the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459 people have been lost in the province over the past five years, averaging 91 incidents per year. One person died, and 19 were injured. Specifically, individuals getting lost while bracken picking represented 41% of the total recorded incidents, with hiking or mountain exploration contributing 32% and accidents on Olle trails or coastal paths accounting for the remaining 25%. The Fire Department urges that if you get lost, do not move and report to 119 using national spot numbers, waiting for rescue. 봄철 길 잃음 사고 주의…고사리 채취 가장 많아 봄철 고사리 채취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면서 길 잃음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도내 길 잃음 안전사고는 459건으로 연평균 91건에 이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1명이 사망했고 19명이 다쳤습니다. 특히 고사리 채취 중 길 잃음 사고가 전체의 41%를 차지했고 등산이나 오름 탐방 중 32%, 올레길.둘레길 탐방 25%순을 보였습니다. 소방본부는 길을 잃었을 경우 국가지점번호 등을 활용해 119에 신고 후 이동하지 말고 구조될 때까지 기다려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4.04.01(mon)  |  이현
  • Penalty for Damage to Election Posters
  • Election posters of candidates for the 22nd National Assembly election will be posted at around 860 locations. The election posters will feature the candidate's information, including photo, name, education, and career. Anyone may raise objections to any inaccuracies with the relevant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On the other hand, anyone who damages or removes election posters without valid reasons will be subject to penaltie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cluding up to two years of imprisonment or a fine of up to four million won. 선거벽보 도내 860곳 게시…훼손·철거 시 처벌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의 선거벽보가 유권자의 통행이 많은 장소의 건물이나 외벽 등 도내 860여 곳에 첩부됩니다. 선거벽보에는 후보자의 사진과 성명, 학력, 경력 등이 게재돼 있고 거짓이 있다면 누구든지 관할선관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당한 사유 없이 선거벽보를 찢거나 낙서를 하는 등 훼손하거나 철거하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 2024.04.01(mon)  |  이현
  • Jeju Spring Wildfires, Caution
  • Jeju Spring Wildfires, Caution The grass growing among the trees has turned entirely into ash. The trees are charred, and on one side, red flames flicker with smoke. The fire started when a spark from burning trash spread to the surrounding wild grass. According to the cause, fires due to negligence, such as trash burning or cigarette butts, account for 81.4% of all cas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e how dangerous it is when a spark lands on dry leaves. When a cigarette butt is placed among a pile of hay, gray smoke begins to emerge. The spot where the cigarette butt is placed starts to burn black, and in 30 seconds, flames quickly spread around. The temperature of the hay pile, which was around 700 degrees when the flames started, soared to 900 degrees in just 2 minutes. The heat accumulates inside the hay pile, causing the flames to spread instantly. Even after the flames have died down, the internal temperature remains over 600 degrees Celsius. Especially in the spring, the weather is dry and the wind blows moderately, making it easy for fires to start, so extra caution is needed. INTERVIEW Kim Hyun-gil / Jeju Fire Safety Headquarters The temperature is most likely to cause a fire between 20 and 22 degrees, and the wind speed that is most conducive to fire is between 1.5m/s and 3m/s. I can say that spring and autumn are the seasons when fires are most likely to occur. In the dry spring season, as even a small spark can lead to a large fire, The fire authorities urge extra caution with cigarette fires and managing sparks outdoors. '순식간에 화르르' 들불 화재 주의보 나무 사이에 자라던 풀이 온통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나무 곳곳이 검게 그을렸고, 한 쪽에서는 연기와 함께 시뻘건 불길이 이글거립니다. 쓰레기를 태우던 중 불씨가 주위 야초지로 번지면서 불이 난 겁니다. 최근 5년 사이 제주에서 발생한 들불 화재는 모두 150여 건. 특히 날씨가 건조한 봄철인 3월에서 5월 사이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원인별로는 쓰레기 소각이나 담배꽁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81.4%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건조한 잎에 불씨가 버려지면 얼마나 위험한지 실험해 봤습니다. 건초 더미 사이에 담배꽁초를 넣자 뿌연 연기가 나기 시작합니다. 담배꽁초가 놓인 자리가 까맣게 타 들어가기 시작하고 30초 뒤 순식간에 주위로 불길이 번집니다. 불꽃이 올라올 당시 700도 정도였던 건초 더미의 온도는 2분 만에 900도까지 치솟습니다. 건초 더미 안에으로 열이 축적되면서 순식간이 불길이 번지는 겁니다. 불길이 잦아든 이후에도 내부 온도는 600도 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날씨가 건조하고 바람이 적당하게 불면서 불이 나기 쉬운 조건인 만큼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 김현길 / 제주도소방안전본부 광역화재조사단 선임 조사관> 20도에서 22도가 가장 (쉽게)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고요. 바람은 초속 1.5m ~ 3m가 가장 화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바람의 속도입니다. 요즘 같은 봄철, 가을철이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건조한 봄철에는 작은 불씨도 큰 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소방당국은 담뱃불을 비롯해 야외에서의 불씨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2024.04.01(mon)  |  이현
  • Seogwipo Flower Fest on the 30th, No Cars
  • The Seogwipo Canola Flower Festival will be held in the vicinity of Gashiri Noksan Road on the 30th and 31st. Certain sections of Noksan Road, where canola flowers and cherry blossoms bloom together, will be transformed into car-free streets featuring various performances and campaigns. In the festival zone, there will be one-day classes and a landscape sketch competition, among other diverse programs. Seogwipo City is taking steps to create a safe and enjoyable atmosphere for the influx of visitors expected during this year's concurrent canola flower and cherry blossom festivals. These measures aim to prevent accidents and ensure a pleasant experience for everyone. 서귀포유채꽃축제, 30일 가시리 녹산로 일대 개최 서귀포유채꽃축제가 오는 30일과 31일 가시리 녹산로 일대에서 열립니다. 유채꽃과 벚꽃이 함께 피는 녹산로 일부 구간이 차 없는 거리로 조성되고 각종 공연과 캠페인 등이 펼쳐집니다. 또 차 없는 거리 일대에서는 유채를 테마로 하는 원데이 클래스와 마을 체험, 풍경스케치 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유채꽃 축제가 벚꽃 만개 시기와 겹쳐 많은 방문객이 예상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 등 쾌적한 관람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 2024.03.28(thur)  |  이현
  • Seogwipo Rabies Shots Available
  • Seogwipo City is supporting rabies vaccination until November for the prevention of rabies and citizen safety. This vaccination program will continue until the vaccine is depleted for the 1,530 registered pet dogs. Owners can visit designated animal hospitals with their pets, and even unregistered pets can be registered on-site. Rabies is a zoonotic disease that can be transmitted to animals and humans through bites or scratches from infected animals, necessitating regular booster vaccinations annually for dogs aged over three months. 서귀포시, 광견병 예방 백신 접종 지원 서귀포시가 광견병 예방과 시민 안전을 위해 11월까지 광견병 예방백신 접종을 지원합니다. 이번 예방접종은 등록된 반려견 1천 530마리에 대해 백신이 소진될때까지 진행됩니다. 지정동물병원에 반려견과 함께 방문하면 되고 아직 등록을 하지 않은 반려견도 현장에서 등록 후 가능합니다. 광견병은 감영동물로부터 물리거나 할퀸 상처를 통해 동물과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3개월 이상 반려견은 1년에 한번 정기적인 보강 접종이 필요합니다.
  • 2024.03.28(thur)  |  이현
  • Welfare Center Excelling in Evaluation"
  • Jeju Disability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has been selected as the top institution in the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2023. The center received an A grade in all five evaluation areas, including facilities, finances, and services. Jeju Disability Welfare Center supports over 400 individuals daily by implementing around 300 programs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제주도장애인종합복지관 '최우수 기관' 선정 제주도장애인종합복지관이 보건복지부의 2023년 사회복지시설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시설과 재정, 서비스 등 5개 평가 영역에서 모두 A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욕구를 기반으로 300여 개의 사업을 추진해 하루 400여 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4.03.28(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