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urge in Electric Bicycle Subsidies
  • 1,069 people applied for subsidies for purchasing electric bicycles in Jeju this year, and 300 were selected through a lottery. This marks a 50%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when 545 people applied, reflecting a high level of interest. Selected applicants will receive up to 500,000 won in support when purchasing electric bicycles. To stimulate the local economy, the Province encourages purchasing electric bicycles from local retailers. 전기자전거 보조금 지원 호응…300명 선정 제주특별자치도의 올해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 지원대상 모집에 1천 69명이 몰려 전자 추첨을 통해 최종 300명이 선정됐습니다. 지난해 545명이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 지원을 신청한 것과 비교하면 50% 증가한 것으로 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습니다. 선정된 지원 대상에 대해서는 전기자전거를 구입할 경우 최대 50만 원이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지역경제활성화 차원에서 도내 판매점에서 전기 자전거를 구입하도록 했습니다
  • 2024.03.25(mon)  |  이현
  • Chagall, From Paris to Jeju
  • Chagall, From Paris to Jeju Innovative colors and styles wrap the indoor space along with beautiful music. Masterpieces such as the Pont des Arts, the Eiffel Tower, A Midsummer Night's Dream, and the Fall of the Angel fill the walls. These are the works of Marc Chagall, known as the magician of colors. The Bunker de Lumieres, the country's first immersive art exhibition hall, has opened its fifth exhibition with the theme 'Chagall, From Paris to New York'. The exhibition focuses on Chagall's artistic journey, highlighting his works in Paris and New York, which were turning points in his art journey. INTERVIEW Bella Meyer / Marc Chagall's Granddaughter Just as my grandfather wanted to give hope, I hope that people who see Chagall's works feel hope. I hope they are inspired and find the most ideal way to live their lives. Along with the main Chagall exhibition, the Bunker de Lumieres continues to present 'Lee Wal Jong, Middle of the Life in Jeju'. Visitors can have a unique experience of encountering the work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in one place. With this exhibition, the Bunker de Lumieres is establishing itself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 Jeju and plans to expand collaboration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in the future. INTERVIEW Park Jin-woo / Timonet CEO We are preparing exhibitions themed around world-famous masters. A project that also involves creating works with domestic artists and sharing them in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halls in Paris and New York is being pursued simultaneously. This exhibition, reinterpreting the free world of art of the masters through media art, will continue until February 21st next year. '샤갈, 파리에서 뉴욕까지'…그리고 제주 독창적인 색채와 화풍이 아름다운 음악과 함께 실내 공간을 휘감습니다. 파시 다리와 에펠탑, 한여름 밤의 꿈 그리고 천사의 추락 등 걸작들이 벽면을 가득 채웁니다. 색채의 마술사로 불리는 거장 마르크 샤갈의 작품들입니다. 국내 최초 몰입형 예술 전시관 빛의 벙커가 '샤갈, 파리에서 뉴욕까지'를 주제로 다섯 번째 전시를 개막했습니다. 전시는 샤갈의 예술 여정에서 전환점이 된 파리와 뉴욕에서의 작품 세계를 집중 조명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벨라 마이어 / 마르크 샤갈 손녀> 할아버지가 희망을 주고 싶었던 것처럼 샤갈의 작품을 보는 사람들이 희망을 느끼길 바랍니다. 영감을 받고 삶을 가장 이상적으로 사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빛의벙커는 메인 전시인 샤갈 전과 함께 '이왈종, 중도의 섬 제주' 전을 지속적으로 선보입니다. 관람객들은 국내외 작가의 작품을 한 곳에서 만나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빛의 벙커는 이번 전시로 제주 대표 문화예술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앞으로 국내외 작가들과의 협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 박진우 / 티모넷 대표> 전 세계 유명한 거장들을 테마로 전시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국내 작가도 같이 만들어서 파리와 뉴욕에 있는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에서 공유하는 프로젝트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습니다. 거장들의 자유로운 예술 세계를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한 이번 전시는 내년 2월 21일까지 이어집니다.
  • 2024.03.25(mon)  |  이현
  • Jeju Funds Accessible Home Renovations
  • Jeju is promoting a home renovation project aimed at facilitating the daily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rovince will support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toilets and the adjustment of kitchen sink heights for low-income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within a budget of 3.8 million won per household. In person applications are accepted at community centers by the 12th of next month. Jeju will prioritize applicants based on income if the number of applications exceeds the planned target of 39 households this year. 저소득 장애인 가구 필수 편의시설 설치 지원 장애인들의 생활 속 편의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주택 개조 사업이 추진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저소득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380만 원 범위 안에서 재래식 화장실 현대화와 싱크대 높이 조절 등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희망할 경우 다음 달 12일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계획인 39가구 이상 신청이 들어오면 소득에 따라 우선 선정할 방침입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Tax Reduction for Jeju's New Parents
  • Due to the amendment of the Local Tax Special Cases Limitation Act, starting this year, families with childbirth or child-rearing will receive a reduction in real estate taxes. According to Jeju City, from January until next year, parents who have children and acquire a house within 5 years of childbirth, or acquire a house within 1 year before childbirth, will be eligible for up to a 5 million won reduction in acquisition tax for a single house valued at up to 1.2 billion won. However, the deduction is not available for those who own multiple houses. In addition, they must reside in the specified house with their newborn child for more than 3 years. Last year, approximately 1,500 people received a total of 3.25 billion won in reduction benefits. 올해부터 출산·양육가구 주택 취득세 감면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올해부터 출산.양육가구의 주택 취득세가 감면됩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내년까지 자녀를 출산한 부모가 5년 이내에 주택을 취득하거나 출산인 전 1년 이내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12억 원 이하인 1주택에 한해 취득세가 최대 500만원까지 감면됩니다. 다만, 다주택자는 감면이 배제되고 해당 주택에 출산 자녀와 3년 이상 거주해야 합니다. 지난해에는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감면대상 확대로 1천 500여명이 32억 5천만 원의 감면 혜택을 받았습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10K Visit Jeju's Hanbok Photo Spot
  • Jejumok Gwana Government Office has become a popular photo spot among foreign tourists dressed in Korean traditional hanboks. According to the Provincial World Heritage Headquarters,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until the 18th, the number of foreign visitors to Jejumok Gwana Office was estimated to be around 10,000. This is nearly five times the number of visitor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hich was approximately 2,000. The Jeju World Heritage Headquarters plans to offer a more diverse range of programs, including performances and traditional experiences. 제주목 관아, 외국인 관광객 한복 촬영 명소로 '인기' 제주목 관아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복 촬영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 18일까지 제주목 관아를 찾은 외국인 관람객은 1만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천여 명 보다 다섯 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입니다. 제주도세계유산본부는 외국인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해 공연과 전통체험 등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출 계획입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Seasonal Worker Survey in Seogwipo
  • Seogwipo City will conduct a survey on the demand for foreign seasonal workers among farms through the village offices until the 27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eogwipo City will finalize the allocation of foreign workers after August. Farms are required to pay wages that are at least the minimum wage and must be able to provide accommodation and meals. Married couples with relatives who are seasonal workers can apply after a verification survey. 서귀포시, 외국인 계절근로자 희망 농가 수요 조사 서귀포시가 오는 27일까지 읍면동사무소를 통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희망 농가 수요조사를 실시합니다. 서귀포시는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 인원을 확정해 8월 이후 현장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농가는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해야 하며, 숙식 제공이 가능해야 합니다. 결혼이민자의 경우 4촌 이내 친척 중 외국인 계절근로자 참여를 희망할 경우 수요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Jeju Reveals Idle Property, Aims for Use
  • Jeju City has made idle public property status information available on its website for the public. The disclosed properties include approximately 1,900 plots of land and 2 buildings. Jeju City plans to lend available land to citizens and, in cases where there are requests to purchase, intends to sell small plots of land that are not needed for administrative purposes. To efficiently manage public property, Jeju City plans to conduct annual surveys to identify any idle public properties and to develop plans for their use. 제주시, 유휴 공유재산 공개…대부·매각 접수 제주시가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유휴 공유재산 현황 정보를 누리집에 공개했습니다. 공개된 유휴 공유재산은 토지 1천900여필지, 건물 2동입니다. 제주시는 이중 가능한 토지는 시민에게 빌려주고 매수 신청을 할 경우 행정 목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없는 소규모 토지는 매각할 계획입니다. 제주시는 공유재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매년 실태조사를 통해 누락 유휴 공유재산을 발굴하고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Jeju Medical Quota Rises
  • The medical school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expanded its student body from 40 to 100, an increase of 60 students.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o increase the national quota for medical school admissions by 2,000 students by the year 2025. Of the increased quota, 80% has been allocated to regions outside the capital area, with Jeju National University's medical school confirmed to receive an increase to 100 students, 2.5 times its original quota. Jeju expects that this will enable Jeju National University's medical school to play a pivotal role in enhancing community health and addressing healthcare disparities among its residents. The new quota will be applied starting with the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high school. 제주대 의대 정원 40명→100명으로 '확대'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원이 기존 40명에서 60명 늘어난 100명으로 확대됐습니다. 정부는 2025년 전국 의과대학 입학 정원 2천 명 증원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증원된 인원 가운데 80%가 비수도권에 배정된 가운데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은 정원의 2.5배 늘어난 100명으로 확정됐습니다. 제주도는 이번 정부의 발표에 대해 제주대 의과대학기 지역 사회의 건강증진과 도민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새 정원은 당장 하반기에 2025학년도 대입전형을 치를 올해 고3 학생들 부터 적용됩니다.
  • 2024.03.21(thur)  |  이현
  • Fire Risk with Personal Mobility Devices
  • Fire Risk with Personal Mobility Devices Smoke leaks from the window of a multi-dwelling unit. A fire caused by an electric bicycle being charged at the entrance of a home resulted in property damage exceeding 10 million won. On the same morning, a fire broke out in an electric motorcycle storage facility stemming from excessive voltage suppli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Had the report been delayed even slightly, it could have led to a major fire by spreading to about 100 electric bicycles inside the premises. In the last 5 years, there have been 34 fires involving personal mobility devices, resulting in damages amounting to 170 million won. When the personal mobility device charger, which employs a lithium-ion battery, is in use, smoke is produced and a fire can start quickly if the battery temperature rises above 60 degre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It spreads to other batteries, causing thermal runaway and an explosion. Upon impact, the charged battery suffered an internal explosion, causing flames to erupt. While the fire initially seems extinguished, it reignites shortly after, producing black smoke. Approximately 70% of personal mobility device fires occur because of overcharging during battery charging or improper storage. Kim Sung-jin / Jeju Fire Department It's quite sensitive to external impacts, and when stimulated by overcharging, the internal separator gets damaged, leading to a fire and thermal runaway, making it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There can be cases where people can't evacuate. It's important to report quickly and evacuate promptly. The fire department strongly discourages charging electronic devices in indoor or entrance areas with emergency exits. Instead, they recommend charging in open, well-ventilated spaces, adding that it's crucial to avoid charging while sleeping or during long absences to prevent potential overload and overcurrent situations. 개인형 이동장치 충전 중 화재 '주의' 공동주택 창에서 연기가 새어 나옵니다. 집 현관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자전거 화재로 1천만 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났습니다. 같은 날 새벽에는 전기오토바이 보관 창고에서 충전 과부하 원인으로 불이 났습니다. 조금만 신고가 늦었다면 내부에 있는 전기자전거 100여 대로 옮겨 붙어 대형 화재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 화재는 34건으로 누적 피해액만 1억 7천만원에 달합니다. [배터리 화재 실험 소방 영상] -> 장소수퍼 개인용 이동장치 충전기는 리튬이온배터리인데 충전 중 배터리 온도가 60도를 넘으면 연기가 발생하면서 순식간에 불이 붙습니다. 다른 배터리에도 옮겨붙어 열폭주를 일으키며 폭발합니다. 이번에는 충전된 배터리에 충격을 줬더니 내부가 터지면서 불길이 치솟습니다. 불이 꺼진 듯 보이지만 검은 연기와 함께 잠시 뒤 다시 화재가 발생합니다. 개인형 이동장비 화재의 70% 가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과부하 또는 보관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김성진/제주소방서 현장대응단장> 상당히 외부 충격에 민감하고 과충전에 의한 자극이 왔을 때 내부 분리막이 훼손되면서 화재가 발생하고 열폭주가 이어지면서 화재를 진압하기 힘듭니다. 사람들이 대피하지 못할 경우가 있거든요. 빨리 신고하고 빨리 대피해야 합니다. 소방 당국은 대피로가 차단 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은 실내나 현관 비상구가 있는 곳을 피해 개방된 공간에서 하고 충전 과부하, 과전류 예방을 위해 잠을 자거나 장시간 외출할 때에는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2024.03.21(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