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Risk with Personal Mobility Devices
Smoke leaks from the window of a multi-dwelling unit.
A fire caused by an electric bicycle being charged at the entrance of a home resulted in property damage exceeding 10 million won.
On the same morning, a fire broke out in an electric motorcycle storage facility stemming from excessive voltage suppli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Had the report been delayed even slightly, it could have led to a major fire by spreading to about 100 electric bicycles inside the premises.
In the last 5 years, there have been 34 fires involving personal mobility devices, resulting in damages amounting to 170 million won.
When the personal mobility device charger, which employs a lithium-ion battery, is in use, smoke is produced and a fire can start quickly if the battery temperature rises above 60 degre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It spreads to other batteries, causing thermal runaway and an explosion.
Upon impact, the charged battery suffered an internal explosion, causing flames to erupt.
While the fire initially seems extinguished, it reignites shortly after, producing black smoke.
Approximately 70% of personal mobility device fires occur because of overcharging during battery charging or improper storage.
Kim Sung-jin / Jeju Fire Department
It's quite sensitive to external impacts, and when stimulated by overcharging, the internal separator gets damaged, leading to a fire and thermal runaway, making it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There can be cases where people can't evacuate. It's important to report quickly and evacuate promptly.
The fire department strongly discourages charging electronic devices in indoor or entrance areas with emergency exits. Instead, they recommend charging in open, well-ventilated spaces, adding that it's crucial to avoid charging while sleeping or during long absences to prevent potential overload and overcurrent situations.
개인형 이동장치 충전 중 화재 '주의'
공동주택 창에서 연기가 새어 나옵니다.
집 현관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자전거 화재로
1천만 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났습니다.
같은 날 새벽에는
전기오토바이 보관 창고에서
충전 과부하 원인으로 불이 났습니다.
조금만 신고가 늦었다면
내부에 있는 전기자전거 100여 대로 옮겨 붙어
대형 화재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 화재는 34건으로
누적 피해액만 1억 7천만원에 달합니다.
[배터리 화재 실험 소방 영상] -> 장소수퍼
개인용 이동장치 충전기는 리튬이온배터리인데
충전 중 배터리 온도가 60도를 넘으면
연기가 발생하면서 순식간에 불이 붙습니다.
다른 배터리에도 옮겨붙어 열폭주를 일으키며 폭발합니다.
이번에는 충전된 배터리에 충격을 줬더니
내부가 터지면서 불길이 치솟습니다.
불이 꺼진 듯 보이지만 검은 연기와 함께
잠시 뒤 다시 화재가 발생합니다.
개인형 이동장비 화재의 70% 가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과부하 또는 보관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김성진/제주소방서 현장대응단장>
상당히 외부 충격에 민감하고 과충전에 의한 자극이 왔을 때 내부 분리막이 훼손되면서 화재가 발생하고 열폭주가 이어지면서 화재를 진압하기
힘듭니다. 사람들이 대피하지 못할 경우가 있거든요. 빨리 신고하고 빨리 대피해야 합니다.
소방 당국은
대피로가 차단 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은 실내나 현관 비상구가 있는 곳을 피해
개방된 공간에서 하고
충전 과부하, 과전류 예방을 위해
잠을 자거나
장시간 외출할 때에는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