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Embezzlement at Jeju Fisheries Cooperative
  • Another embezzlement scandal involving hundreds of millions of won has surfaced at the same cooperative where a similar incident occurred. Police are currently investigating the suspected misappropriation.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nnounced that it is investigating two cooperative employees following a complaint filed last month alleging embezzlement in the course of their duties. These employees are reported to have misused around 100 million won of development subsidies and public utility fees for personal investments, among other expenses, from 2022 until the end of last year. Moreover, earlier this year, another cooperative employee embezzled approximately 900 million won in purchasing funds over 70 instances. 수억원 횡령 모 수협 또 공금 유용 의혹…경찰 수사 수억 원 대의 횡령 사건이 발생했던 모 수협에서 또 다시 수천만 원 대의 보조금 유용 정황이 드러나 경찰이 수사하고 있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지난 달 모 수협 측의 고소로 직원 2명에 대해 업무상 횡령 혐의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어촌계 지원 보조금이나 공공요금 1천여 만 원을 주식 자금 등으로 유용했다가 중앙회 감사에서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해당 수협에서는 올 초에도 소속 직원이 70여 차례에 걸쳐 회삿돈 9억여 원을 횡령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 2024.04.11(thur)  |  이현
  • Jeju Expands Haenyeo Training Amid Decline
  • As the number of Haenyeos (female divers) declines, Jeju Island has decided to expand its policy for training new Haenyeos. The Province has finalized a plan consisting of five major strategies and 26 projects, including training, creating a safe working environment, increasing income, and utilizing cultural values. Key points include one-on-one mentoring for existing and new Haenyeos, establishing a committee to help promote training of new Haenyeos and expansion of the age range of women divers. As of last year, the number of Haenyeos in Jeju was 2,839, a decrease of 11.9%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해녀 수 '급감'…신규 해녀 양성 정책 '확대' 해녀 수가 급감하면서 제주도가 신규 해녀 양성 정책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신규 해녀 양성기반 조성과 정착 지원, 안전한 조업환경 조성, 소득 증진, 문화가치 활용 등 5대 전략 26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된 신규 해녀 양성 추진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기존 해녀와 인턴 해녀의 1대 1 멘토링 운영과 신규 해녀 양성 추진 협의체 구성, 초기 정착금 지원 연령 확대 등 입니다. 지난해 기준 제주도내 해녀는 2천 839명으로 전년에 비해 11.9% 감소했습니다.
  • 2024.04.11(thur)  |  이현
  • Doctor Shortage Burdens Health Center Patients
  • Doctor Shortage Burdens Health Center Patients This is a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of Jeju. Internal medicine services have been suspended since the 21st of last month. They are unable to provide vaccinations or prescribe medications. Public health doctors who were working at health centers have been dispatched as replacement staff because the resident doctors have left. As a result, five public health doctors have filled i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Halla Hospital. Locals who use the health center are being burdened by delays in treatment exceeding two weeks. Kim Mu-ja / Local resident I would come here for diabetes tests and prescriptions, as I live in a nearby apartment and have many ailments. The treatment room, which used to serve about 15 people a day, is now empty due to the absence of public health doctors. Dozens of patients receiving prescription monitoring or seeking diagnoses at the health center are now out of options. While there are nearby clinics, they may be less convenient or accessible, especially for elderly individuals. Health center staff You have to go to the places you usually visit. But if you only try to go when something like this happens, the clinics don't like it, and it's difficult because we're on a single floor while other places have stairs that are too difficult to climb for some. The initial suspension of treatment will last until April 17th, with the possibility of an extension. The growing medical void demands government intervention since the current situation offers no alternative. Han Duck-soo, Prime Minister There are plans to foster general hospitals capable of treating critical emergency patients and to establish a regional comprehensive medical system so that patients do not have to travel to the metropolitan area but can receive treatment near their residence. The suspension of even basic medical services in rural areas directly impacts local residents, leaving them with significant misgivings. 의사 없는 보건지소…주민만 불편 읍면지역 한 보건지소입니다. 지난 달 21일부터 내과 진료를 중단했습니다. 예방 접종과 약 처방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이 떠난 병원에 대체 인력으로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던 공중보건의들이 파견 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에 공보의 5명이 채워졌습니다. 전공의 이탈 사태로 조천을 비롯해 도내 보건지소 5곳에서 공보의가 공석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보건지소를 이용하던 마을 주민들은 진료 중단이 2주째를 넘어가면서 불편이 커지고 있습니다. <씽크:김무자/마을 주민> 여기 하면 당뇨 검사도 잘해주고 약 처방도 딱 해주면 내가 근처 아파트에 살고 아픈 곳도 많으니까 여기에서 진료 받을 건데 그런 얘기를 해도 알아듣지 않으니까 하루 15명 내외 이용하던 진료실도 공보의가 없어지자 텅 비었습니다. 약 처방이나 증상 예후를 살피기 위해 보건지소에서 모니터링을 하는 환자 수십명도 당분간 보건소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고 주변 병의원이 있지만 고령의 어르신들이 이용하기엔 접근성이나 편의성이 떨어집니다. <씽크:보건지소 관계자> 평소 자주 다니는 곳을 가야 하잖아요. 그런데 안 오다가 이럴 때만 가려고 하니까 그쪽 병원에서 싫어하는 면이 없지 않고 저흰 단층인데 이게 힘들잖아요. 다른 곳은 2층이라서 계단 못 올라가서 못 간다.. 1차 진료 중단은 오는 17일까지이지만 기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의료 공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현재로선 정부만 쳐다볼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씽크: 한덕수 국무총리> 중증 위급환자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을 육성하고 환자 분들이 수도권으로 오지 않고 거주지 근처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를 마련할 그런 계획으로 있습니다. 읍면 기초 의료 인프라 마저 작동을 멈추면서 불편은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 2024.04.11(thur)  |  이현
  • Jeju Implements Spring Wildfire Measures
  • Until the end of this month, Jeju City will be implementing a special measure period for spring wildfires. As part of this initiative, around 100 wildfire monitoring stations and personnel will be deployed to major mountains and wildfire-prone areas for early detection and suppression of wildfires. Additionally, a special task force will be formed to prevent illegal burning and wildfires during the spring season, with plans to conduct special inspections in fire-prone areas. Jeju City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ildfire prevention by prohibiting trash burning near forests, as well as advising against carrying lighters and other fire-starting devices when entering mountainous areas. 제주시, 봄철 산불특별대책기간 운영 제주시가 이달 말까지 봄철 산불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합니다. 이에 따라 산불 초등진화와 선제적 대응을 위해 주요 오름과 산불 취약지역 등에 산불감시원과 진화대원 100여 명을 배치합니다. 또 봄철 불법소각 산불방지 대응반을 구성해 산불취약지역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제주시는 산불 방지를 위해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 소각 금지, 입산 시 라이터 등 화기 휴대 금지 등을 당부했습니다.
  • 2024.04.05(fri)  |  이현
  • Seogwipo's 28th Clean Fern Festival
  • The 28th annual Hallasan Fern Festival will take place for two days, on the 13th and 14th, at the Fern Festival Grounds in Namwon-eup of Seogwipo City. This year's festival will feature various events including a children's competition and a fern-themed song festival. Additionally, there will be diverse experiential programs including pizza making, treasure hunting, and cooking demonstrations. The Festival Committee plans to enhance visitor convenience by installing rain shelters and securing additional parking spaces. 제28회 한라산 청정 고사리축제, 13일 개막 제28회 한라산 청정 고사리 축제가 오는 13일과 14일 이틀동안 서귀포시 남원읍 고사리축제장에서 열립니다. 이번 축제는 어린이 경연대회와 고사리 가요제 등 행사와 함께 고사리 피자 만들기, 보물 고사리 찾기, 고사리 삶고 말리기 시연 등 고사리를 주제로 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남원읍축제위원회는 비 날씨에 대비한 비가림 시설 설치와 주차장 부지 추가 확보 등을 통해 방문객들의 편의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 2024.04.05(fri)  |  이현
  • Jeju Boosts Sports Training Camps
  • Starting this month, Jeju Island will be expanding the operation of a specialized organization dedicated to attracting sports training camps. This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attracting camps will include instructors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plans to strengthen marketing effor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education office, and sports & tourism association. In particular, the goal is to attract 67,000 participants, a 3% increase from last year, by organizing specialized leagues. In addition, there are plans to expand and enhance the facilities for training, in coordination with the National Sports Festival scheduled to be held in Jeju in 2026. 전지훈련 유치 6만7천 명 목표…전담조직 운영 제주도가 이달부터 전지훈련 유치를 위한 특별전담조직을 확대 운영합니다. 전지훈련 유치 특별전담조직에 종목별 체육지도자를 포함하고 교육청, 체육회, 관광협회 등과 협력해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종목별 스토브리그를 만들어 연습경기를 주선하는 등 지난해보다 3% 증가한 6만 7천 명을 유치한다는 목표입니다. 이와함께 2026년 제주에서 열리는 전국체전과 연계해 전지훈련시설을 확충하고 기능을 보강해 나갈 예정입니다.
  • 2024.04.05(fri)  |  이현
  • Seogwipo Trials ‘Cup Return Program’
  • Starting this month, Seogwipo City will be piloting a disposable cup return and reward system. Under this initiative, individuals who return 5 disposable cups to the Recycling Assistance Center will receive an additional 10-liter trash bag. The scheme only applies to cups with deposit labels attached. Cups without labels and those returned to places other than the Recycling Center will not be eligible for rewards. Seogwipo City hopes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will encourage participation in deposit schemes and alleviate the burden on businesses, among other benefits. 서귀포시, 1회용컵 회수보상제 시범운영 서귀포시가 이달부터 1회용컵 회수보상제를 시범 운영합니다. 이에따라 재활용도움센터에 1회용컵 5개를 반납하면 10L 종량제 봉투 1장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컵보증금 라벨이 부착된 1회용컵만 적용되며 라벨이 없는 컵과 재활용도움센터가 아닌 곳에서 반납한 컵은 보상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서귀포시는 1회용컵 회수보상제로 보증금제 참여 확대와 함께 매장 부담 완화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4.04.05(fri)  |  이현
  • Jeju Hosts Accessible Travel Week
  • From the 18th to the 28th of this month,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will be hosting the first-ever nationwide ‘Accessible Travel Week.’ During this period, an event inviting tourists to Jeju will be held, directly involving tourists with disabilities, aiming to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accessible tourism. Additionally, 30 businesses including airlines, hotels, tourist attractions, car rental services, and duty-free shops will offer benefits for tourists with disabilities. Last year, 16% of visitors were travellers with disabilities, seniors, pregnant women, or families with infant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catering to tourists with special needs. 제주관광공사, 전국 최초 무장애 여행주간 운영 제주관광공사가 오는 18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최초로 무장애 여행주간을 운영합니다. 이 기간에는 관광 약자가 직접 참여하는 '모두의 제주 여행'이 진행돼 무장애 관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일 계획입니다. 또 항공사와 호텔, 관광지, 렌터카, 면세점 등 30개 관광기업이 관광 약자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지난해 제주 방문객 중 16%가 장애인과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가족 등 관광 약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04.05(fri)  |  이현
  • Jeju proposes law to protect officials
  • A proposal for an ordinance to safeguard and provide support for complaint handling officials within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gainst malicious complaints has been put forward. The ordinance includes provisions for protection and support measures if the officials suffer physical or mental harm such as verbal abuse, physical assault, or repetitive complaints with unjustifiable purposes. Representative Kang Chung-ryong(강충룡), who introduced the proposal cited recent incidents of excessive malicious complaints leading to cases where public officials are pushed to their limits and mentioned filings of parents filing over 100 criminal complaints, administrative lawsuits, and complaints against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악성 민원 대응 '교육청 민원 담당자 보호 조례' 발의 악성 민원에 대응하기 위한 제주도교육청 민원 처리 담당자 보호 지원 조례안이 발의됐습니다. 조례안에는 민원 처리 담당자가 민원인으로부터 폭언과 폭행, 목적이 정당하지 않은 반복 민원 등으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받을 경우 보호와 지원 조치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대표 발의한 강충룡 의원은 최근 도를 넘은 악성 민원으로 전국적으로 공무원이 세상을 등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고 과거 제주에서도 특정 학부모가 도교육청을 상대로 100여 건의 형사고소와 행정소송, 민원 등을 제기해 어려움을 겪었다며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 2024.04.05(fri)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