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Made on April 3rd Incident Issues
고주연   |  
|  2021.09.23 10:55
Progress Made on April 3rd Incident Issues


South Korea's national budget for 2022 features 190.8 billion won in funds meant to go towards resolving matters related to the Jeju April 3rd Incident.

Compensation for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of the victims accounts for a large percentage of the money.


181 billion won has been allocated for compensation, 1.8 billion w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on Discovering the Truth of the Jeju 4.3 Incident and the Restoration of Honor of its Victims, 1.4 billion won to the management of remains, and 800 million won to excavating the bodies of victims.


Now, the government has to consider the criteria they will use to determine compensation payment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d previously suggested a graded payment system based on the ages and jobs of the victims.

But this brought a strong backlash from some groups, including the bereaved family association.
It's likely that a uniform payment system will be used instead.
A study to settle the payment criteria will be completed before the end of the month.


After the payment criteria are set, the special act will be revised to reflect these changes.
The 2022 national budget and revised special act must be passed during the regular ses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before the end of the year so that compensation payments can begin in 2022.


Despite the possible controversy over compensation, retrials for survivors of unjust conviction and wrongful imprisonment are underway, and the day of a memorial ceremony in honor of victims will be marked on the calendar beginning next year.


As the years go by and more recognition, honor, and respect are given to right some of the wrongdoings done so long ago, it's possible that some of the leftover scars from this painful part of Jeju's history can be at least partially healed.

Mike Laidman, KCTV


배·보상 일괄지급 유력…재심-달력 표기까지


내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제주 4.3 관련 국비는 1천 908억 원.

무엇보다 4.3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배.보상비가 반영되며
전체적인 예산 규모를 키웠습니다.

배.보상금 1천 810억 원을 제외하고도
특별법 후속조치 사업비 18억여 원,
유적지 정비 14억 원,
유해 발굴 8억여 원 등 98억 원이 편성됐습니다.

관건은 배.보상금을 지급하는 기준입니다.

행정안전부가
개인의 나이와 직업에 따라
배.보상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가
유족회 등
4.3단체로부터 거센 반발에 부딪혀
일괄 지급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지급 기준을 마련하는 용역은 이달 안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지급 기준을 확정한 용역이 마무리되면
4.3특별법에 이를 반영해 개정 작업이 이어지게 됩니다.

내년부터 배.보상금이 지급되기 위해서는
연말까지 열리는 정기국회에서
예산안과
4.3특별법 개정안이 함께 처리돼야 하는
빠듯한 일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일괄이냐 선별이냐 논란은 있지만
수형인에 대한 재심이 진행되고
배.보상금 지급과 함께
4.3 추념일도
전국 달력에 공식적으로 표기되는 내년은
4.3 완전 해결에
다가서는 해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KCTV뉴스 Mike Laidman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