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eling from Rising Fuel Prices
The Jeju Port is naturally a hotspot for freight traffic, and here trucks pull out of the mouth of a large freighter, having arrived at the sixth dock of the island's main port.
The recent increases in fuel prices have hit the transportation industry hard, as thousands of vehicles crisscross the island daily, delivery goods.
Diesel prices recently passed 2,000 won per liter, the highest in the country, leading to some serious hurt for the industry.
Recording
Yi Mu-yong / Truck driver
It usually costs about 350,000 won to fill a tank, but now it costs more than 500,000 won. There is no profit. Freight truck owners would rather not work. And we're also having to ask for more in shipping costs.
Due to the extension of Seoul's fuel tax cuts, the subsidies the government pays for fuel to transportation industry workers have been reduced by more than 30%, from 350 won per liter to only 240 won per liter.
This means that those working in transport are paying more, even as fuel prices continue to climb.
The industry is calling for help.
It is asking Seoul and the province to decouple fuel taxes and fuel subsidies, and to raise fares in correspondence to the rise in prices.
Recording
Go Hui-bong / Jeju office, Cargo Union
Fuel subsidies are being cut, and due to the price increases, shipping and freight charges can only increase, too. This leaves freight workers hurting.
But it's not just the freight industry that is reeling from high prices - chartered bus companies are taking their share of the hurt.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eligible for fuel subsidies, and so there isn't much for them to do but simply shoulder the new burden.
There's a good chance the bus companies could weather the storm should they start earning more with spring tourists on the way, but chartered buses have all but stopped over the past two years, even during peak seasons, due the effects of COVID-19, including the recent limits on meetings of more than six people.
Currently, one local company, with a fleet of 29 buses, has zero reservations.
The number of chartered buses in Jeju has already decreased from 2,200 to 1,800 over the course of the pandemic, meaning steeper fuel prices are only adding to an already bad situation.
There is demand from the industry for a fare increase - an increase to an amount that has been frozen for years.
Recording
Mun Yeong-gi / Vice-chair, Jeju Chartered Bus Business Assoc.
We're working on a revision to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as increased fuel prices add burden. Prices, excepting bus fares, have risen all over.
Many in a variety of industries have already been struggling for months - some almost two years - with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pandemic. Now the sudden, steep increase in fuel prices is hitting some of these industries fast, and hard.
기름 값 연일 폭등…연관 업종 '직격탄'
제주항 6부두 선착장에서
화물차들이 줄지어 제주에 도착합니다.
택배 배송과 화물 수송을 위해
제주 전역을 누비는
운수 업계 종사자들에게 기름 값은 가장 부담스런 비용입니다.
최근 경유 값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리터당 2천원을 돌파하면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씽크:이무용 화물차 기사>
"저희 가득 넣으면 35만 원 정도 되는데 50만 원 더 줘도
꽉 안차요. 마진이 안 나오잖아요. 차주도 화물 일을 많이 안 다니죠.
저희도 운송비 좀 올려달라고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정책 연장으로
운수업계 종사자들에게
지급되는 정부의 유가 보조금도
리터당 350원에서 240원대로
30% 이상 깎였습니다.
그만큼 자부담이 늘었는데
기름 값 마저 크게 오르면서
업계는 지원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유류세와 유가보조금을 연동하지 말고
비용 상승에 상응하는 운임 인상을
제주도와 정부에 요청하고 있습니다.
<씽크:고희봉/화물연대 제주본부장>
"유가보조금이 깎이고 있습니다. 유가 인상으로 인해 배 삯과 화물차 도선비가 안 올라갈 수 없는 상황입니다. 2차 3차 고통을 받고 있는 게 화물 노동자들의 실정입니다."
전세 버스 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유가보조금 적용 업종도 아니어서
기름 값 인상에 따른 부담을
회사가 고스란히 떠 안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수입이라도 나아지면 감당하겠지만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 여파와
최근 6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로
성수기철에도 전세 버스는 멈춰 있습니다.
예약 게시판에도
회사 보유 전세버스 29대에 배정된 예약 일정은 한 건도 없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전세버스 대수가 2천 2백여 대에서
1천 8백여 대로 줄어든 가운데
기름 값 인상은
엎친데 덮친 격으로
업계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결국 수년째 동결했던 요금 인상에 대한
업계 요구도 빗발치는 상황입니다.
<씽크:문영기/제주도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부이사장>
"지금 유가도 많이 오르고 다른 품목도 다 올라 있는데 전세버스 요금만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현실 요금을 시도하려고 법 개정을 준비 중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에다
유가 상승으로 인해
우려했던 지역 경제 피해가
예상보다 빨리 현실 속으로 깊게 파고 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