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Bananas Return
Banana trees stretch upward toward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Each cluster of bananas grown to the right size is being carefully harvested.
The harvested bananas are distributed nationwide through the channel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fter half a day of ripening.
All bananas grown in Jeju are raised in an eco-friendly way.
INTERVIEW
Yi Chang-jin / Banana grower
Jeju bananas are firmer and sweeter than imported ones. It's 19 degrees brix even when it's winter with less sunlight.
30 years ago, bananas were one of the island's cash crops with 400 hectares of local banana farms.
However, Jeju bananas had almost died out as the fruit began to be imported to Korea at a low price due to free trade agreements.
Recently, demand for Jeju bananas is becoming high as consumers seek safer and eco-friendly foods.
Unlike imported bananas that are treated with chemicals not to be damaged during a long distribution process, Jeju bananas are recognized for safety.
Most of them are distributed to (하나로) Hanaro Mart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some of them are supplied to schools.
In the wake of the fruit's popularit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duce heating costs for banana greenhouses, the biggest concerns to banana growers.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distributes heating systems using natural energy and has developed techniques to induce banana flowering in summer and is training farmers.
INTERVIEW
Ko Deok-hun / Researcher,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Pilot projects aimed to reduce heating costs by about 50% are underway. At the same time, we're developing farming methods which don't require heating by cultivating them in warm seasons.
Advancement in farming technique and consumers' preference in eco-friendly cultivation give the yellow fruit a second chance to thrive in Jeju.
제주산 친환경 바나나 '주목'
시설 하우스 천장까지 높게 자란 바나나.
적절한 크기로 자란 바나나를
한 송이, 한 송이 조심스레 수확합니다.
수확한 바나나는
반나절 정도
후숙과정을 거친 뒤에
농협을 거쳐 전국으로 판매됩니다.
제주에서 재배되는 바나나는
모두 친환경 농법으로 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창진 / 바나나 재배 농가>
"수입 바나나도 먹어봤는데 우리 바나나가 쫄깃쫄깃하고 당도도 수입산 보다 (높고) 19브릭스, 겨울이라서 일조량이 모자라서 19브릭스 정도 나옵니다."
30년 전, 제주에서 바나나가
400여 헥타아르 규모로 재배될 만큼 각광받았습니다.
하지만 수입자유화로
재배 농가가 크게 줄었는데
최근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제주산 바나나 수요가 다시 늘고 있습니다.
긴 유통과정에서 방역처리를 하는
수입 바나나와 달리
제주산 바나나는 식품 안전성 면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주로 농협을 통해
전국 하나로 마트에 출하되고
학교 급식에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시설 바나나 농가의 가장 큰 고민은 난방비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자연에너지 활용 난방 시스템 보급과
여름 착화 재배 기술을 개발, 교육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덕훈 / 제주동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자연에너지를 활용한 시범 사업을 추진해 난방비를 50%정도 절감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고, 겨울을 나지 않고 최대한 여름에 재배할 수 있도록 해서 난방비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의 개발과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다시 제주의 소득작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