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Taxi Service Issues for Seniors
  • Taxi Service Issues for Seniors The Jeju Audit and Inspection Commission has revealed operational flaws in taxi services for elders in the province. The commission analyzed 447,000 transactions paid by welfare cards from 2018 through last year. 6.6% out of 30,000 transactions were found to have overcharged fare fees and 69,000 transactions revealed that drivers operated without running taximeters. The commission argued that subsidizing taxi companies with 70 million won is unfair. Thus, the commission asked the provincial office to retrieve the subsidies and improve the system. 어르신 행복택시 주먹구구…보조금 과다 지급 어르신 행복택시가 주먹구구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감사위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감사위원회가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복지카드로 택시요금을 결제한 44만 7천여 건을 분석했습니다. 이 중 6.6%인 3만 건이 정상 요금보다 과다하게 결제 됐고 요금 미터기를 끄고 운행한 사례도 6만 9천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사위는 이로 인해 택시회사에 보조금 7천여 만원이 부당하게 지급됐다며 보조금 회수와 행복택시 결제 시스템 개선을 제주도에 요구했습니다.
  • 2022.04.06(wed)  |  고주연
  • Discount on Local Currency Discontinued
  • Discount on Local Currency Discontinued The 10% discount on Jeju Island’s local currency, (탐나는전) Tamnaneunjeon will be discontinued within the month due to lack of budget. Consumers have been able to purchase the currency with a 10% discount with up to a maximum of 700,000 won a month.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said that the discount benefits will be temporarily suspended, as the use of local currency has skyrocketed, leading to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 discount benefits. Currently, 71% of the budget for the local currency issuance has been used and the rest of the budget is expected to be utilized by this month.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planning to resume offering temporary discounts on the local currency during Chuseok holidays by securing an additional budget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탐나는전 할인 혜택 이달 중 중단…"예산 소진" 제주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10% 할인 혜택이 예산 조기 소진으로 이달 안에 중단됩니다. 제주도는 탐나는전 이용 규모가 급증해 할인 발행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달 중 할인 혜택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올해 전체 할인 발행 예산의 81%가 소진됐으며 남은 예산도 이달 중 대부분 소진될 전망입니다. 제주도는 올해 하반기 예산을 추가 확보해 9월 추석 명절 등에 할인 발행을 일시적으로 재개할 계획입니다.
  • 2022.04.06(wed)  |  고주연
  • Jeju Bananas Return
  • Jeju Bananas Return Banana trees stretch upward toward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Each cluster of bananas grown to the right size is being carefully harvested. The harvested bananas are distributed nationwide through the channel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fter half a day of ripening. All bananas grown in Jeju are raised in an eco-friendly way. INTERVIEW Yi Chang-jin / Banana grower Jeju bananas are firmer and sweeter than imported ones. It's 19 degrees brix even when it's winter with less sunlight. 30 years ago, bananas were one of the island's cash crops with 400 hectares of local banana farms. However, Jeju bananas had almost died out as the fruit began to be imported to Korea at a low price due to free trade agreements. Recently, demand for Jeju bananas is becoming high as consumers seek safer and eco-friendly foods. Unlike imported bananas that are treated with chemicals not to be damaged during a long distribution process, Jeju bananas are recognized for safety. Most of them are distributed to (하나로) Hanaro Mart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some of them are supplied to schools. In the wake of the fruit's popularit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duce heating costs for banana greenhouses, the biggest concerns to banana growers.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distributes heating systems using natural energy and has developed techniques to induce banana flowering in summer and is training farmers. INTERVIEW Ko Deok-hun / Researcher,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Pilot projects aimed to reduce heating costs by about 50% are underway. At the same time, we're developing farming methods which don't require heating by cultivating them in warm seasons. Advancement in farming technique and consumers' preference in eco-friendly cultivation give the yellow fruit a second chance to thrive in Jeju. 제주산 친환경 바나나 '주목' 시설 하우스 천장까지 높게 자란 바나나. 적절한 크기로 자란 바나나를 한 송이, 한 송이 조심스레 수확합니다. 수확한 바나나는 반나절 정도 후숙과정을 거친 뒤에 농협을 거쳐 전국으로 판매됩니다. 제주에서 재배되는 바나나는 모두 친환경 농법으로 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창진 / 바나나 재배 농가> "수입 바나나도 먹어봤는데 우리 바나나가 쫄깃쫄깃하고 당도도 수입산 보다 (높고) 19브릭스, 겨울이라서 일조량이 모자라서 19브릭스 정도 나옵니다." 30년 전, 제주에서 바나나가 400여 헥타아르 규모로 재배될 만큼 각광받았습니다. 하지만 수입자유화로 재배 농가가 크게 줄었는데 최근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제주산 바나나 수요가 다시 늘고 있습니다. 긴 유통과정에서 방역처리를 하는 수입 바나나와 달리 제주산 바나나는 식품 안전성 면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주로 농협을 통해 전국 하나로 마트에 출하되고 학교 급식에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시설 바나나 농가의 가장 큰 고민은 난방비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자연에너지 활용 난방 시스템 보급과 여름 착화 재배 기술을 개발, 교육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덕훈 / 제주동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자연에너지를 활용한 시범 사업을 추진해 난방비를 50%정도 절감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고, 겨울을 나지 않고 최대한 여름에 재배할 수 있도록 해서 난방비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의 개발과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다시 제주의 소득작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Seogwipo to Offer Child Development Services
  • Seogwipo to Offer Child Development Services The provincial office said that Seogwipo C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is a base center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will offer child development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tarting this month. Immigrated children and children aged over 36 months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make applications for the service through the family support center. After being selected as the final candidates for the service, instructors will visit nursery facilities, related community organizations or their houses to offer education and consultation for a child twice a week. 찾아가는 다문화가족 아동발달 서비스 지원 제주도는 다문화가족지원 제주도 거점센터인 서귀포시가족센터가 이달부터 찾아가는 다문화가족 아동발달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서비스 대상은 다문화가족 자녀와 중도입국 자녀 가운데 만 36개월 이상 아동들로 서귀포시가족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아동발달지도사가 보육시설과 복지관 등 읍면지역 기관 또는 가정을 방문해 아동 한명당 주 2회씩 교육과 상담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Jeju as Successful Candidate for Software Project
  • \Jeju as Successful Candidate for Software Project The Provincial office has been finally selected as the successful candidate for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s Software Convergence Cluster project. As a result, the province will receive a financial support of 3.1 billion won through 2026 to establish a data-based industrial ecosystem of smart cities. The provincial office will push forward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software convergence services, establishing a data hub and supporting international market advance. Jeju Province and Daegu City are selected as the consortiums for the project and the project is expected to create job positions for 1,200 people, to cultivate 750 workers and to discover 25 new service areas. 제주도, '소프트웨어 신산업 육성' 정부 사업 선정 제주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프트웨어 융합 클러스터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습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2026년까지 국비 31억여 원을 지원받아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소프트웨어 융합 서비스 개발과 실증, 데이터 허브 구축,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이번 사업에는 제주도와 대구시가 컨소시엄으로 선정됐으며 일자리 창출 1천 200명, 신규 서비스 발굴 25건, 인력 양성 750명 등의 기대 효과를 전망했습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Jeju Dongbu Police Station to be Rebuilt
  • Jeju Dongbu Police Station to be Rebuilt The Jeju Dongbu Police Station will be rebuilt after 34 years since 1988.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held a meeting and said that the Jeju Dongbu Police Station is selected as the pilot site for the project. The new Jeju Dongbu Police Station will be built at the site of the old police patrol company. The construction will be initiated in 2024 with the investment of 40.2 billion won and will be completed in 2026. The current building of Jeju Dongbu Police Station was moved in October 1988 and the building has been used since then. 제주동부경찰서 34년 만에 신청사 건립 추진 제주동부경찰서가 34년 만에 새로 지어집니다. 기획재정부는 제2차 국유재산심의위원회 부동산분과회의를 열고 '아름다운 공공청사 만들기' 시범사업지로 제주동부경찰서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새 청사는 옛 방범순찰대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며 사업비 402억원이 투입돼 오는 2024년 착공해 2026년 완공될 예정입니다. 제주동부경찰서는 지난 1988년 10월 지금의 청사로 이전한 뒤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Province and City Offices to Recruit
  • Province and City Offices to Recruit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two city offices will recruit 48 employees for civil service as part of its employment plans. Job positions include cleaning office buildings, repairing roads and assisting pathogen testing. Jeju City and Seogwipo City will hire 19 and 23 workers, respectively.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for five days from the 22nd, then a test will be taken on May 28th and an interview will be held in June. Final successful candidates will be announced on July 4th. However, the hiring schedule will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pread of COVID-19. Also, people will not be able to apply for both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city offices. 공무직 48명 공개 채용…22일부터 원서 접수 제주도와 행정시가 올해 첫 번째 공무직 채용 계획에 따라 직원 48명을 공개 채용합니다. 공채 분야는 제주도 소속으로 청사 시설 청소, 도로보수, 병원체 검사 보조 등이며 제주시에서 19명, 서귀포시도 23명을 선발합니다. 응시 원서는 오는 22일부터 5일 동안 접수하며 다음달 28일 필기시험과 6월 면접시험을 거쳐 7월 4일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다만 코로나19 상황 등에 따라 일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제주도와 행정시간 중복 접수는 불가능합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COVID-19 Vaccinations Available for Young Children
  • COVID-19 Vaccinations Available for Young Children COVID-19 vaccinations for young children have started in Jeju. The provincial government said that COVID-19 vaccinations for children aged between 5 and 11 have been initiated at local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s. Young children will be inoculated with Pfizer vaccines using one-third of the dosage amount used for an adult. The second vaccination shot will be given after eight weeks from the first inoculation. Pre-reservations can be made through the website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Vaccinations are also available on the same day of making reservations via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s. 5~11세 소아 대상 코로나 백신 접종 시작 제주에서도 소아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제주도는 도내 20개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5살에서 11살까지 소아를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소아는 별도로 개발된 화이자 백신을 성인의 1/3 수준으로 접종하며 1차 접종 8주 뒤 2차 접종을 진행합니다. 사전예약은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며 의료기관 예비명단으로 당일 접종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 Social Distancing Measures Eased
  • Social Distancing Measures Eased Seoul has decided to ease social distancing for two weeks until the 17th of the month. As a result, restrictions on private gatherings of up to eight people will be eased, allowing up to 10 people and operation hours for restaurants and cafes will be extended to midnight, extending by an hour. Prime Minister 김부겸 Kim Boo-kyum said that the spread of Omicron variant is showing a declining trend, but risk factors still exist, including the increasing number of serious patients and the spread of Stealth Omicron variant during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meeting held on the 1st. Kim made a metaphorical statement of the importance of safety while driving downhill. In addition, Prime Minister Kim said that if the number of serious patients and deaths decreases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are managed stably for the next two weeks, that further adjustments would be made to ease social distancing measures. 다음 주부터 사적모임 10명·영업시간 밤 12시 정부가 이번 주부터 2주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밤 11시로 제한했던 식당과 카페 등의 영업시간은 밤 12시까지로 한시간 늘어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도 8명에서 10명까지 가능해집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오미크론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되긴 했지만 위중증 환자가 여전히 증가하고 있고, 스텔스 오미크론의 확산 등 위험요인이 남아있다며 내리막길에서 더 안전운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앞으로 2주 동안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줄여가면서 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이후 거리두기를 과감하게 개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2.04.04(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