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aritime Safety Inspection Underway
  • Maritime Safety Inspection Underway This ferry, which carries passengers and vehicles between (성산) Seongsan and (우도) Udo slowly enters its berth. Almost as soon as it has stopped, passengers and vehicles start to poor off its front ramp. The ferry can carry about 300 people at a time, and with spring weather already here, the number of passengers is rapidly growing. The Korea Coast Guard recently launched a new series of inspections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The KCG inspection team looks into the ferry, enters the bridge, and checks whether the crew has kept up with the required emergency drills. When it is more closely inspected, it is found that parts of the journal detailing drills are not properly filled out. The inspection team advises the ferry operator to improve the journal. Recording Yi Jong-seok / Jeju office, KCG The logbook should include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rill, as well as other details. (Details?) Here there are only the date, time, place, and title. If there are 6 crew members on board, write down '6,' and what kind of drills they did. (Ok. From now on, I'll do that.) This dock in (김녕) Gimnyeong, home to a yacht, in another maritime activity that attracts many people seeking a unique experience. Here, too, the KCG inspection team checks every corner of the vessel. They check carefully whether all the safety and rescue equipment is in its proper place in the case of an emergency, and whether there are sufficient life vests for all the passengers onboard. Recording Yi Jong-seok / Jeju Office, KCG We see to see if the life vests are properly buoyant, and whether the life vest lights properly activate in the water. These detailed inspections are needed for all maritime vessels as accidents in the water can lead to major casualties. INTERVIEW Kim In-chang / Representative, Jeju Office, KCG It is important not only for passengers but also operators to promote safety awareness and comply with all safety rules for passenger ships, cruise ships, and yachts. That's why we're checking marine facilities. These rigorous inspections by the Coast Guard will hopefully catch any potential accidents before they happen, leaving the coming influx of tourists to enjoy their vacations in, on, and over the ocean. 해안 안전사고 대비 현장 점검 '본격' 성산항과 우도를 오가는 도항선이 천천히 항만으로 들어옵니다. 잠시 뒤, 배가 정박하자 차량들과 사람들이 줄지어 내립니다. 도항선은 한 번에 300명 정도 실어 나를 수 있는데, 봄이 오면서 이용객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경이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해경이 선박 내부를 둘러보고, 조타실로 들어가 비상 상황에 대비한 훈련 일지 작성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사무실에서 급히 가져온 훈련 일지. 훈련 일지 일부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아 현장에서 계도조치가 이뤄집니다. <싱크 : 이종석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안전과 해양안전계 > "(훈련에 참여한) 인원 수라든지 좀 자세하게. 내용도 좀 적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내용요?) 네 일시, 장소, 제목만 있지 않습니까? 승선하고 계신 선원들 6명이면 6명, 어떤 훈련 위주로 했는지 내용도 좀 적어주시고. (네 알겠습니다 앞으로는 이제 그렇게….)" 색다른 경험을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 요트 선착장. 해경이 요트 곳곳을 살펴보며 점검을 이어갑니다. 비상 상황 시 사용해야 하는 구조 물품들과 안전 시설물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정원 수에 맞춰 구명조끼 비치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합니다. <싱크 : 이종석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비안전과 해양안전계 > "보통 저희가 이게 (구명조끼가) 부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상 시에 혹시나 해상에 빠졌을 때 (조명)등이 잘 들어오는지 눌렀을 때" 특히 선박이나 요트의 경우 사고가 발생하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더욱 꼼꼼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인터뷰 : 김인창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다중이 이용하는 여객선이나 유람선, 요트장 같은 경우에는 이용객 뿐만 아니라 운항자들도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 취지에서 현장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해경은 해안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각종 점검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Jeju BOK Extends Financial Support Period
  • Jeju BOK Extends Financial Support Period The Jeju Branch of the Bank of Korea has extended the financial supporting period for businesses damaged by COVID-19 by six months. Bank of Korea Jeju branch has provided loans of up to 500 million won to loca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uffering from COVID-19 since March 2020. About 4,000 local businesses have received financial support as of January. Average loan amount is 170 million won and the total amount of loans amounts to 190 billion won. 한국은행, 코로나19 피해기업 금융지원 기한 연장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코로나19 피해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기한을 6개월 연장합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2020년 3월부터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기업에 업체당 최고 5억원까지 대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기준 금융지원을 받은 도내 업체는 약 4천여 곳으로 업체당 평균 1억7천만원의 운전자금을 대출 받아 전체 규모는 천900억원에 이릅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Research on Marine Shipping Costs promoted
  • Research on Marine Shipping Costs promoted The provincial office will promote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public functions into shipping firms. The province will also introduce a model of subsidizing the costs of marine shipping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to establish a link plan by connecting national logistics networks. The aim is to ease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shipping costs..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for a total of 10 months.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is introducing public functions into shipping firms to connect Jeju logistics with the national logistics network and to develop a model for subsidizing marine shipping costs. After developing the model,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derive support measures for local logistics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ated ministr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National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helped establish the logistics system in the mainland, but local residents are disadvantaged due to additional marine shipping costs and low price competitiveness. '섬 불이익 해소'…해상운송비 개발 용역 추진 제주도가 섬 지역 물류비 불이익 해소를 위해 국가물류 기간망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해운선사 공적기능 도입과 해상운송비 지원모델 개발 용역을 추진합니다. 용역은 10개월 동안 제주 물류가 국가물류 기간망과 연계될 수 있도록 연안 해운선사의 공적기능 도입과 해상운송비 지원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용역을 통해 지원모델이 개발되면 관련 부처와 국회 등을 상대로 제주 물류에 대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입니다. 한편 내륙지역은 국가 차원의 기반시설 투자로 물류시스템이 구현됐지만 제주는 해상운송비 추가 부담이나 가격 경쟁력에서 불이익을 감수하는 상황입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Many Applied for New Public Servant Positions
  • Many Applied for New Public Servant Positions Nearly 11 people have applied for every new Grade 8 and 9 public servant position in the province. 2,787 people have applied for 254 Grade 8 and 9 public servant positions in 22 categories. 1,360 applicants applied for 99 positions for Grade 9 general administrative official positions, recording a competition rate of one out of 14. The average age of applicants is 28.9. The oldest applicant is 57 and the youngest is 18. The exam for public servants will take place on June 18th and in the case a candidate is confirmed with COVID-19, they can take the exam at separate test centers, such as Residential Treatment Centers. 8·9급 지방공무원 평균 경쟁률 11대 1 제3회 지방공무원 8, 9급 공개경쟁 임용시험 평균 경쟁률이 11대 1을 기록했습니다. 제주도가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22개 직렬에서 8급과 9급 공무원 254명을 선발하는 이번 시험에 2천 787명이 지원했습니다. 직렬별로는 일반행정 9급이 99명 모집에 1천360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4대1로 가장 높았습니다. 지원자 평균 연령은 28.9세로 최고령 지원자는 57살, 최연소는 18살이었습니다. 필기시험은 오는 6월 18일 치러지며 응시자가 코로나19에 확진됐을 경우 생활치료센터 등 별도 시험장에서 응시할 수 있습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Medical Helicopters Introduced to Jeju
  • Medical Helicopters Introduced to Jeju Medical helicopters for emergency care will be introduced in Jeju. This is the 8th time in the nation. The provincial office said that Jeju has been selected as a successful candidate for the medical helicopter introductory projec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operation of helicopters will begin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Cheju (한라) Halla General Hospital made an application for this project and it has been selected for the project after two attempts in 2012 and 2018. Medical helicopters are equipped with medical appliances and medical personnels board the helicopters to transport patients with serious injuries as well as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s. 제주, 전국 8번째로 응급의료 '닥터헬기' 도입 제주가 전국에서 8번째로 응급의료 전용헬기인 닥터헬기를 도입합니다. 제주도는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인 닥터헬기 도입 사업에 선정돼 올 하반기부터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공모에는 제주한라병원이 단독으로 신청했으며, 지난 2012년과 2018년에 이어 세 번째 도전 끝에 사업에 선정됐습니다. '날아다니는 응급실'로 불리는 닥터헬기는 기내에 첨단 의료장비를 탑재하고 전문 의료인력이 탑승하는 헬기로, 중증외상환자와 심뇌혈관질환자 등 중증 응급환자를 이송합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Peace & Human Rights Education for 62 Schools
  • Peace & Human Rights Education for 62 Schools Ahead of the 74th anniversary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n education program about peace and human rights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t local schools has been initiated. According to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will be offered to 62 local schools, including (남광) Namgwang Elementary School. In total the education will be delivered 89 times totaling to 260 hours. This year, 45 bereaved families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re appointed as honorary teachers of the program and will conduct the program based on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incident. 4·3 평화·인권교육 남광초 등 62개교서 진행 제주 4.3 제74주년을 앞두고 각급 학교에서 4.3 평화.인권교육이 본격 시작됐습니다.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4.3 평화인권교육에는 남광초등학교를 비롯해 도내 62개 초,중,고등학교에서 89차례 260여 시간에 걸쳐 진행됩니다. 올해는 45명의 4.3유족 등이 4.3 평화인권교육 명예교사로 위촉돼 4.3 당시 겪었던 경험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Excavation at Darangshi Cave in Question
  • Excavation at Darangshi Cave in Question The Jeju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Research has raised the opinion that investigation and additional excavation of remains at Darangshi Cave are needed. The Jeju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Research held a seminar recently and (박경훈) Park Kyung-hoon, the advisory chairman of Jeju April 3rd Peace Park , said during a presentation that although the remains found at the Darangshi Cave is considered to be symbolic to the history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investigations, the investigation results have not been dealt with properly. Park suggested main tasks, including a probe into the excavation of remains, excavation of additional remains and promotion of the sanctuary project. On April 1st, 1992, 11 remains excavated at the Darangshi Cave were cremated and sprayed at sea at (김녕리) Gimnyeong-ri 45 days after they were excavated without any investigation under the order by the government. '다랑쉬굴 유해' 진상조사·추가 발굴 과제로 제시 제주 4.3 진상규명의 기폭제가 된 다랑쉬굴 유해에 대한 진상조사와 추가 발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최근 제주언론학회가 '다랑쉬굴 발굴 30년, 성찰과 과제'를 주제로 마련한 특별세미나에서 박경훈 4.3평화공원 운영관리 자문위원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다랑쉬굴 유해발굴이 진상규명운동사에서 상징적인 사건이라는 비중에 비해 별도의 조사결과로 다뤄지지는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핵심 과제로 유해 발굴에 대한 진상조사와 잔존 유해 발굴, 성역화 사업 추진 등을 제시했습니다. 지난 1992년 4월 1일 발굴된 다랑쉬굴 유해 11구는 당시 정권의 강요로 정밀 조사도 없이 발굴 45일 만에 화장돼 김녕리 앞바다에 뿌려졌습니다.
  • 2022.03.30(wed)  |  고주연
  • Occupation-era Sites Neglected
  • Occupation-era Sites Neglected This is the birthplace site of lawyer (이창휘) Yi Chang-hui. In 1995 he was recognized as a patriot for his part in defending independenc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ut there is no simple memorial stone that marks his birthplace. In fact, traces of the patriot's life are nowhere to be found. Instead, overgrown weeds and refuse have taken over the site. Ko Seong-hun / Resident, Gosan-ri One of my neighbors told me that the lawyer was born and raised here. Someone from Seoul bought this site and planned to demolish the structure. But for some reason, he has left it as it was. An ordinance was first enacted in 2020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birthplaces of patriots. However, no funds have yet been spent on birthplace management or restoration. Indeed, no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the birthplaces of more than 200 independence fighters in Jeju. The ordinance appears to have fallen by the wayside. Along with these important site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 are about 800 historic sites around the island that relate to the April 3rd Incident. But only one, the guard post in (수악) Suak or (물오름) Mul Oreum used by the police during the April 3rd Incident, has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and is actively overseen by authorities. 외면 받는 항쟁의 역사…실태조사 시급 독립운동가들의 변론을 도맡아 일제에 저항한 공로로 1995년 애국지사로 추서된 이창휘 변호사의 생가 터입니다. 애국지사의 생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무성한 잡초와 폐기물만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생가 터를 알리는 비석 하나 없습니다. <고성훈/고산리> "동네 분이 여기가 그분이 살다가 떠났다고 했어요. 여기를 산 서울 사람이 철거해서 어떻게 하려다가 내버려뒀어요." 애국지사 생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조례는 지난 2020년 처음으로 마련됐습니다. 하지만 2년째 조례를 활용한 예산 집행이나 지원 사업은 전무합니다. 제주지역 독립유공자 200여 명의 생가에 대한 실태조사도 이뤄진 적이 없어 사실상 지원 조례는 유명무실해지고 있습니다. 항일의 흔적 뿐 아니라 4.3 유적지 800여 곳 중에도 실제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문화재로 지정된 건 수악주둔소가 유일합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Jeju Recruits 50 People to Inspect Human Rights Policies
  • Jeju Recruits 50 People to Inspect Human Rights Policies The provincial office will recruit 50 people for checking human rights policies and report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office will make reports on any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in public sectors and discrimination. They will also inspect human rights policies pushed forward by the province. In addition, they will suggest improvement in policies to guarantee human rights and will collect opinions. To secure representativeness,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prioritize to designate one person per district and region. 인권정책 점검·제보 '도민 인권지킴이' 50명 모집 제주도가 인권 정책을 점검하고 침해 사례를 제보하는 역할을 하는 도민 인권지킴이 50명을 다음달 12일까지 모집합니다. 인권지킴이는 공공영역 인권침해 또는 차별 행위에 대한 제보와 제주도가 추진하는 인권정책 등을 점검하게 됩니다. 또 인권보장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사항을 제안하고 의견 수렴 역할도 수행합니다. 제주도는 대표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읍면동별로 1명씩 우선 배정할 방침입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