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ubsidies for Animal Adopters
  • Subsidies for Animal Adopters The Jeju Provincial Veterinary Service Laboratory will give financial support of 250,000 won per animal to residents who adopt abandoned or lost animals. 60% of the costs of medical treatment and vaccinations will be supported up to 150,000 won and up to 100,000 won will be offered for purchasing goods, such as movable cages and leashes. People who wish to adopt animals ne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to the abandoned pet sanctuary, after checking animals posted on the system. The provincial office will offer education to adopters prior to adoption and conduct post-inspection twice a year. Officials will report any suspected clues of animal abuse. When they detect a poor feeding environment, they will order adopter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r make them give up breeding. 유기·유실 동물 입양하면 마리당 25만 원 지원 제주도 동물위생시험소가 유기 또는 유실돼 보호 중인 동물을 입양하는 도민에게 마리당 최대 25만 원을 지원합니다. 입양동물 진료나 예방접종 등의 경비는 소요금액 60% 범위에서 최대 15만 원까지, 이동케이스, 목줄 등 물품 구입비로 최대 10만 원까지 전액 지원합니다. 반려동물 입양을 희망하는 도민은 동물보호 관리시스템에서 공고된 동물을 확인하고 동물보호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 제주도는 입양자를 대상으로 사전 교육을 진행하고 1년에 두 차례 사후관리를 실시해 동물 학대가 의심되면 고발하고 사육환경이 부적합한 경우 개선 또는 사육 포기 조치할 방침입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Self-Governing School Shows Increase in Number of Students
  • Self-Governing School Shows Increase in Number of Students Dahondi (다혼디) self diciplinary learning schools in the province show more than a four fold increase rate in student numbers compared to other regular schools. According to the POE,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n 35 self-governing elementary schools amounts to 6,877 which is an increase of 23.5% compared to 2015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ere 5,569. On the other hand, 76 regular elementary schools show 5.7% of increase rate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13 self-governing middle schools recorded a 2% increase rate in the number of students. However, 32 regular middle schools showed an 11% decrease. 제주형 자율학교 학생수 증가율 일반학교의 4배 제주형 자율학교인 다혼디 배움학교의 학생수 증가율이 일반 학교보다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형 자율학교로 지정된 35개 초등학교의 전체 학생수는 6천877명으로 지난 2015년 5천569명과 비교해 23.5% 증가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76개 일반 초등학교 학생수는 5.7%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제주형 자율학교로 지정된 13개 중학교 학생수도 지난 7년간 2% 증가한 반면 32개 일반 중학교 학생수는 오히려 11% 감소했습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Hallasan Soju Launches Camellia Soju
  • Hallasan Soju Launches Camellia Soju Hallasan Soju has launched the 4th Camellia Edition commemorating the 74th anniversary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This edition implies the meaning of hope by integrating camellia flowers, the symbol of Jeju 4.3 Incident, and Haenyeo culture to commemorate the 90th anniversary of the Female Divers' Uprising. Hallasan Soju has launched a limited edition of products which have various meanings and symbols to commemorate the Jeju April 3rd Incident. (주)한라산, 4·3 74주기 '동백 에디션' 출시 주식회사 한라산이 4.3 74주기를 맞아 네번째 동백에디션을 출시했습니다. 올해는 4.3의 상징인 동백과 제주해녀항쟁 90주년을 기념한 제주 해녀 문화를 접목시켜 희망의 의미를 담아 냈습니다. 한라산은 4.3을 추념하기 위해 제품에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부여한 한정판을 지난 2019년부터 해마다 출시하고 있습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40% of Artists in Jeoji Not Moving In
  • 40% of Artists in Jeoji Not Moving In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Jeoji Cultural District was established. However, 40% of artists who made contracts of purchasing lands have not moved in yet. The Jeoji Cultural District was established in 1999 and 48 lots were parceled out to cultural artists in and out of Jeju. However, repurchase conditions were not included in the contract terms when making the contract. As some contractors did not move into the district, repurchase conditions were included in 2018. However, for artists who signed contracts before 2018 repurchase conditions are not in effect. Thus, no measures can be taken against them. 저지문화 지구 분양 예술인 중 40% 미입주… 환매도 못해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문화예술인 마을이 조성된지 20년이 되고 있지만 당시 분양 계약을 체결한 예술인 가운데 40%가 아직까지 입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지문화예술인마을은 1999년 부터 당시 북제주군이 조성을 시작해 48필지의 택지를 도내외 문화예술인들에게 분양했지만 계약 체결 당시 환매 특약 조건 등을 넣지 않았다가 미입주 문제가 불거지자 2천18년 관련 조항을 뒤늦게 포함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 분양 계약을 체결한 이들에게는 이 조건이 적용되지 않아 미입주자들에게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입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Neglected Imported EVs Sold via Auction
  • Neglected Imported EVs Sold via Auction 200 imported electric vehicles that were at a court auction due to the bankruptcy of rental car companies were sold to bidders. Articles for sale included 200 BMW i3 EVs and out of them, 168 vehicles were sold on the 15th at the court auction at the price of between 1 million and 18 million won. The sale procedure is currently ongoing. Most bidders were used car dealers in other regions. The rental car company had neglected electric vehicles that the firm bought with government’s subsidies of 20 million won per vehicle at mid-mountainous areas, as the companies went bankrup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business. 중산간 방치 수입 전기차 경매 무더기 낙찰 렌터카 회사 부도로 법원 경매에 나왔던 수입 전기차 200대가 무더기로 낙찰됐습니다. 경매 매물로 올라온 전기차는 BMW i3 전기차 200대로 지난 15일 법원 경매에서 168대가 적게는 100만 원대에서 많게는 1천 8백만 원대에 낙찰돼 매각 절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낙찰자는 대부분 다른 지역 중고차 매매업자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전기차들은 모 렌터카 업체가 대당 2천여 만원의 정부 보조금을 받아 구입한 것으로 경영 악화로 부도가 나자 중산간에 방치됐던 차량들입니다.
  • 2022.03.28(mon)  |  고주연
  • Same-day Delivery Service Suspended
  • Same-day Delivery Service Suspended This is the Jeju Mail Center. A notice about changes of express delivery service is placed on the wall. It says that the same-day delivery service of parcels accepted in the morning has been suspended. Earlier this year, a fire broke out while transporting parcels sent to the mainland from Jeju, and the airline in contract with the Korea Post strengthened its delivery regulations. Now, it takes more than a day for a parcel and mail to be sent to Seoul, (인천) Incheon, and some parts of (경기) Gyeonggi Province. Parcels accepted for overnight delivery service in Jeju are being delivered to the mainland after two days. Recording Representative, Korea Post Parcels and mail had been accepted for same-day express delivery service and sent on the very day. But same-day service is no longer available from Jeju. The same-day express service has been suspended since last week. Complaints are pouring out. The island has many deliveries of items that must be sent on the same day, such as fresh food. Complaints from merchants are strong as their loss is enormous. INTERVIEW Ji Jin-yeong / Marine products dealer Shoppers ask if same-day delivery is available. I answer that there is no more same-day delivery. They give up buying things as late delivery can cause inconveniences. INTERVIEW Gang Cheol-ung / Merchant Many customers come and look at goods and ask me to send it by same-day delivery service or overnight service if same-day service is not available. But overnight service is not available now. It causes much inconvenience. The Korea Post says that the airline has notified them of the changes in delivery regulations despite multiple consultations, and it is now seeking ways to resume the same-day express service.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same-day service will actually be resumed as most airlines are strengthening delivery regulations. In the meantime, islanders have to cope with the fallout and inconveniences. 우체국 당일 특급 우편 '중단'…불편 속출 제주우편집중국입니다. 벽면에는 특급 우편 서비스 변경 안내문이 붙어 있습니다. 아침 일찍 접수하면 그날 배송이 가능했던 당일특급우편서비스가 중지됐다는 내용입니다. 올해 초, 제주지역에서 보낸 우편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해당 항공사에서 우편물 취급 규정을 강화한데 따른겁니다. 이제 서울과 인천, 경기도 일부 지역으로 보내는 우편물은 아무리 빨리 보내려 해도 하루 이상 소요됩니다. 익일 특급 서비스 역시 다음날이 아닌 이틀 후에야 배송됩니다. <싱크 : 우체국 관계자> "신선식품 뿐 아니라 편지 같은 것도 그날 갈 수 있었거든요. 아예 안돼요. 당특(당일 특급) 자체가 없어진 거예요." 지난주부터 시행되고 있는데 현장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지리적 여건 상 신선식품과 같이 당일 보내야 하는 물건 배송이 많은 제주에서는 상당한 불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상인들의 손해는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인터뷰 : 지진영 / 수산물 상인> "당일 택배 돼요? 하니까, 당일 택배 다 없어졌다고 하니까 그럼 다음에 할께요. 사야하는데 택배가 (당일) 도착을 안하니까 너무 불편하다고" <인터뷰 : 강철웅 / 상인> "손님들이 여기서 아침에 물건을 보고 우체국 당일 택배로 보내는 분이 많은데 다 안돼서...그게 안되면 익일택배, 다음날 도착하는 걸로 보내달라 하는데 그것도 안돼요. 그런 점이 불편해요." 우정청에서는 항공사와의 여러차례 협의에도 이같은 결정을 내리게 됐다며 다른 항공사와의 계약 등 당일 특급 서비스를 재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우편물 취급 규정을 강화하는 추세여서 실제 개선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입니다. 그러는 동안 피해와 불편은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 2022.03.23(wed)  |  고주연
  • Farming and Fishing Promotion Loans Offered
  • Farming and Fishing Promotion Loans Offered The province will offer farming and fishing promotion loans to stabilize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primary industri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The loan size will be 270 billion won with a total of 7,900 applications and the interest rate of the loan will be 0.5%. The loan period is 24 months and an extension of the loan is available up to one time. Also, both lump sum repayment for the entirety of a loan amount and redemption by installment are allowed. 농어촌진흥기금 2천 743억 원 융자 지원 제주도가 1차산업 경영 안정을 위해 상반기 농어촌진흥기금 융자 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융자 규모는 모두 7천 9백여 건에 2천 7백억 원으로 적용 금리는 0.5%로 확정됐습니다. 농어촌진흥기금 융자 기간은 2년으로 한 차례 연장 가능하며, 일시 또는 분할 상환 모두 가능합니다.
  • 2022.03.23(wed)  |  고주연
  • Province Donates for Forest Fire Victims
  • Province Donates for Forest Fire Victims The province donated a total of 20 million won to the Korea Disaster Relief Association for (울진) Uljin in (경상북도)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삼척) Samcheok in (강원도) Gangwon-do Province that are designated as special disaster areas due to the recent forest fire. The Jeju Provincial office has donated 10 million won for restoration and 10 million won for helping victims. The donation will be used in installation of temporary shelters for the victims who lost their homes due to the forest fire while offering relief goods and medical assistance. 제주도, 경북·강원 산불피해 돕기 성금 전달 제주특별자치도가 산불 피해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등의 복구 지원과 이재민 구호를 위해 각각 1천만원씩 2천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에 기탁했습니다. 기부한 성금은 대형 산불로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의 임시거주시설 설치와 구호물품, 의료지원 등에 사용하게 됩니다.
  • 2022.03.23(wed)  |  고주연
  • Official House Appraisals in Seogwipo City
  • Official House Appraisals in Seogwipo City Seogwipo City authorities are releasing the official values of 35,000 houses in the area and are receiving objections. The appraisals are based on values as of January first this year. Suggestions can be made and individual housing prices are available at the Seogwipo City Hall and local community centers and Seogwipo City Hall website through April 11th. After objections are made, authorities will review the objections and the Real Estate Price Disclosure Committee will deliberate the requests. Final appraisals will then be released on April 29th. 서귀포시, 올해 개별주택가격 열람·의견 접수 서귀포시가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한 개별주택 3만 5천호에 대한 가격안을 공개하고 의견을 접수합니다. 열람과 의견제출은 다음달 11일까지이며 본청이나 읍면동주민센터, 홈페이지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제출된 의견에 대해서는 검증 후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달 29일 최종 결정 공시하게 됩니다.
  • 2022.03.23(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