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Up to 8 People May Gather
  • Up to 8 People May Gather Starting from this week, restrictions on private gatherings will allow up to eight people to gather. Previously, private gatherings of more than six people were prohibited. However, the restriction on operating hours for restaurants and cafes to close by 11 p.m. will remain in effect. Seoul has announced the new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at will be in effect for two weeks from this week through April 3rd. The national government said that easing social distancing may spike concerns due to the widespread of the Omicron variant, huge burdens on the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unpredictability of when the peak of the Omicron wave will actually be. The government added that the fatality rate of the Omicron variant is lower than that of the Delta variant, but the case where Omicron variant becomes similar to a flu only accounts for people who have been vaccinated. Thus, officials urge people to get vaccinated. 사적모임 8명으로 확대…영업시간 11시 유지 이번 주부터(방송 21일 기준) 현행 6명인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8명으로 확대됩니다. 대신 밤 11시까지인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은 현행 그대로 유지됩니다. 정부는 이번 주부터(방송 21일 기준) 다음달 3일까지 2주간 적용될 이같은 내용의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오미크론 대유행과 의료대응체계 부담, 유행 정점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거리두기를 대폭 완화하기에는 우려가 크다며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델타에 비해 낮지만 독감과 유사해지는 경우는 백신을 접종한 때 뿐 이라며 계속적인 백신 접종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 2022.03.21(mon)  |  고주연
  • Quarantine Measures at Airport Eased
  • Quarantine Measures at Airport Eased As part of a plan to ease COVID-19 restrictions, Jeju Province has announced that its special entry procedures have been withdrawn. It has been a year and a half since Jeju enhanced its border-level quarantine measures by introducing mandatory PCR testing for people with fevers in September 2020. Now, new arrivals who show COVID-like symptoms will be asked to have their temperatures checked and to take a PCR test, rather than being required to do so. All personnel dedicated to body temperature monitoring in the airport's arrival area have been reassigned. However, the walk-through screening center will remain in operation for the time being. People with fevers can receive PCR tests at the center. To minimize confusion about these changes, the province plans to provide on-site guidance for the next two months. As quarantine measures are gradually lifted, the public's reaction is mixed. Some say that quarantine measures are no longer useful, so the change is understandable. But others are voicing concern that at a time when the Omicron wave is nearing its peak, such moves are premature. INTERVIEW Choi Son Da-mi / Resident, Yeon-dong, Jeju City I think it's fine to adopt a "With Corona" approach rather than being fearful. The local economy has been badly damaged by the pandemic. INTERVIEW Kim Hyeong-gyu / Resident, Samdo-dong, Jeju City I believ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is needed at the airport, rather than voluntary testing at home, because the airport is crowded with people. I'm afraid people with COVID-19 symptoms will visit Jeju. As for people arriving from overseas, those who are fully vaccinated will no longer be required to self-isolate beginning March 21st, in accordance with national guidelines. 제주형 특별입도절차 폐지…자율 검사 전환 제주도가 코로나19 방역 완화의 일환으로 제주형 특별입도절차를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국경 수준의 차단 방역을 강조하며 지난 2020년 9월 발열 이상자에 대한 PCR 검사를 의무화한 지 1년 반 만입니다. 앞으로는 입도객들에 대한 발열 감시와 의심 증사자에 대한 PCR 검사가 권고 수준의 자발적 검사 체계로 전환됩니다. 이에 따라 공항 도착장에 배치됐던 발열 감시 전담 인력도 모두 철수했습니다. 다만 제주공항 워크스루 선별진료소는 당분간 그대로 유지됩니다. 발열 검사에서 의심 증상자들은 현행대로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방역 완화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는 5월까지 현장 계도하기로 했습니다. 방역조치가 속속 해제되면서 이에 대한 시민들의 시선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방역조치가 더 이상 무의미한 만큼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오미크론 대유행이 정점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시기상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 최손다미 / 제주시 연동> "너무 공포감보다는 진짜 위드 코로나로 가야 되는 게 맞지 않을까. 제주도가 너무 힘들어요." <인터뷰 : 김형규 / 제주시 삼도동> "발열 검사를 해야 된다고 저는 봐요. 증상 있는 분들 많이 내려오실 거 아닙니까. 자가키트 한다고 해도. 공항은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이라." 한편 정부 지침에 따라 제주에서도 오는 21일부터 백신 접종을 마친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자가 격리 의무도 면제됩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Online Applications Open for Farmer Subsidies
  • Online Applications Open for Farmer Subsidies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receiving applications for public benefit payments which are subsidies provided for farmers. Public benefit payments are eligible for farm worker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a year in the last three years and who have received the payments previously. Starting from this year, applications can be made online by April 1st. On-site applications can be made from April 4th through May. Direct payments will be provided in November after verify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checking fulfillment of compliance details. 기본형 공익직불금 온라인 신청도 가능 제주도가 실제 농지 경작자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인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을 접수합니다. 과거 직불금을 정당하게 받은 농지 또는 농업인 가운데 최근 3년 중 1년 이상 농업에 종사한 농업인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다음달 1일까지 온라인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방문 신청은 다음달 4일부터 5월까지 접수하며 이후 자격요건 검증과 준수사항 이행 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11월 중 지급됩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Factual Survey on Jeju Citrus Orchards
  • Factual Survey on Jeju Citrus Orchards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conduct a factual survey on citrus orchards in the province. The orchards that will be subject to the survey include new citrus orchards, unregistered orchards and 12,000 plots of existing orchards with 2,800 hectares.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May 13th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ill b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ystem. The province will util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citrus policies, such as advancing big data and distribution policies. 노지 감귤원 실태 조사…빅데이터 고도화 제주도가 도내 노지 감귤원에 대한 실태를 조사합니다. 조사 대상은 기존에 조성된 노지 감귤원 2천 800여 헥타르, 1만 2천여 필지와 신규 조성된 감귤원, 재배실태 관리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감귤원입니다. 조사는 5월 13일까지 두달 동안 진행되며 조사된 내용은 재배실태 관리시스템에 입력됩니다. 제주도는 이번 조사를 통해 감귤 빅데이터를 고도화하고 유통정책 수립 등 감귤 정책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School Field Trip Expenses Provided for Students
  • School Field Trip Expenses Provided for Students Starting this year, financial support for high school field trips will be expanded to all of the high schools in Jeju.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aid that all students at high schools in Jeju will receive 400,000 won a year for school trip expenses to offer equal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school trip expenses were provided to students in nine schools in 2020 and the program has been expanded to 30 high schools this year. Previously, the POE has offered field trip expenses for students at all elementary, middle and special schools. 도내 모든 고등학교에 수학여행비 지원 올해부터 수학여행비 지원이 제주도내 모든 고등학교로 확대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학생들에게 체험학습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고등학생 1명에 40만원씩 수학여행비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고등학생 수학여행비 지원은 지난 2020년 9개교부터 시작해 올해 도내 30개 고등학교 전체로 확대됐습니다. 교육청은 앞서 모든 초등학교와 중학교, 특수학교에 수학여행비를 지원해왔습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Cherry Blossom Festivals Canceled
  • Cherry Blossom Festivals Canceled Some events held in spring will be canceled or simplified this year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ccording to the Jeju City Municipal Office, the Cherry Blossom Festival which has been held every year at (전농로) Jeonnong-ro, and another Cherry Blossom Festivals held in Aewol will all be canceled due to COVID-19. However, as cherry blossom streets will not be closed, visitors can still enjoy the flowers. The Jeju Canola Flower Festival will be held from the end of this month through April 10th at Pyoseon as scheduled, but the festival will be held using a drive-thru method followed by last year. 코로나19 여파 제주왕벚꽃축제 취소 코로나19 여파로 올해도 봄꽃 축제들이 취소되거나 축소됩니다. 제주시 등에 따르면 전농로에서 매년 열렸던 제주왕벚꽃축제와 애월읍 장전리 벚꽃축제가 코로나 여파로 취소됐습니다. 다만 벚꽃길은 통제하지 않아 관람은 가능합니다. 제주유채꽃 축제는 이달 말부터 다음달 10일까지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에서 예정대로 열리지만 지난해에 이어 '드라이브 인' 방식의 비대면 행사로 진행됩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Jeju KAL Hotel Receives Voluntary Retirement
  • Jeju KAL Hotel Receives Voluntary Retirement The Jeju KAL Hotel which will close next month has accepted 115 applications for voluntary retirement. The Jeju KAL Hotel said that employment issues, followed by closure of the business, have been finalized without additional layoffs. Severance pay will amount to 20 months of salary regardless of age and years of service and career transition programs will be provided for people who are willing to take the program. The KAL Hotel Network has been in deficit for eight consecutive years and has decided to close the operation of the Jeju KAL Hotel next month. 제주칼호텔 115명 희망퇴직 신청…인력문제 마무리 다음달 영업종료를 앞둔 제주칼호텔이 희망퇴직자를 접수 받은 결과 115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제주칼호텔 측은 추가 감원 없이 제주칼호텔 영업종료에 따른 인력문제가 마무리됐다고 밝혔습니다. 희망퇴직 신청자에게는 나이와 근속 연수 등과는 관계없이 기본급 20개월 분을 희망퇴직금으로 일괄 지급하고 희망자에 한해 전직 지원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칼호텔네트워크는 최근 8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다음달 제주칼호텔 영업을 전면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Upgrading Gangjeong Water Purification Plant
  • Upgrading Gangjeong Water Purification Plant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modernize the Gangjeong Water Purification Plant by 2025 with an investment of 49.2 billion won. The provincial office plans to transfor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to a ‘smart water purification plant’ which will b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roughout its entire process from water-intake to supply. The Gangjeong Water Purification Plant which was constructed 35 years ago was pointed out to have required improvements because larvae was found in the tap water which could cause stream floods. 2025년까지 강정정수장 현대화…492억 원 투입 제주도가 오는 2025년까지 예산 492억 원을 투입해 강정정수장을 현대화 합니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강정정수장을 취수부터 공급까지 모든 과정을 인공지능과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정수장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입니다. 준공된 지 35년 된 강정정수장은 그동안 수돗물 깔따구 유충 발생과 하천 범람시 펌프실 침수 우려 등으로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습니다.
  • 2022.03.16(wed)  |  고주연
  • Yoon Suk-yeol Wins at Neck-and-neck Race
  • Yoon Suk-yeol Wins at Neck-and-neck Race The winner of the unprecedented close race was (윤석열) Yoon Suk-yeol from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Yoon won 48.56 percent of votes while (이재명) Lee Jae-Myung from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garnered 47.83 percent. Yoon edged out the rival by 0.7 percentage points, the narrowest margin of victory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 main opposition party will now hold the reins of government for five years. Recording Yoon Suk-yeol / President-Elect I'm now drawing up the new government as an elected person. I'll respec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cooperate with the opposition parties, and serve the people once I officially take over as president. However, the election results in Jeju show the opposite. In Jeju, Lee won 52.59 percent of votes while Yoon garnered 42.69 percent. Lee was nearly 10 percentage points ahead. The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in Jeju have been a barometer of nation-wide results. But this formula was broken for the first time. The No.1 player of presidential candidates has been elected in seven elections since the country adopted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in 1987. But it was overturned in 35 years for the first time. The final turnout in Jeju was 72.6 percent. The figure is 4.5 percentage point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77.1 percent. And this time again, following the previous 19th presidential election, it was disgraced as the lowest in the country. In the pre-voting held in the first week of this month, Jeju's turnout was 33.78 percent. That's also below the national average of 36.93 percent and the second lowest following (경기) Gyeonggi Province. With the 20th president elected after a neck and neck race, attention is paid to what the next government and the island will look like.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제주 풍향계' 깨져 유례없는 초박빙 대결의 최후 승자는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이었습니다 윤 당선인의 최종 득표율은 48.5%, 이재명 후보는 47.8%를 기록했습니다. 두 후보간 득표율 차는 0.73%포인트로 헌정 사상 최소 격차를 보이는 초접전을 펼쳤습니다. 5년만에 정권교체가 이뤄지게 됐습니다. 씽크 : 윤석열 / 대통령 당선인 "당선인 신분에서 새 정부를 준비하고 대통령직을 정식으로 맡게 되면, 헌법 정신을 존중하고 의회를 존중하고 야당과 협치하면서 국민을 잘 모시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제주에서의 개표 결과는 달랐습니다.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52.59%로 윤석열 당선인 42.69%보다 10%포인트 가까이 앞섰습니다. 이로써 제주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바로미터 공식은 처음으로 깨졌습니다. 지난 1987년 13대 대선을 시작으로 모두 7차례 선거에서 제주 1위가 대통령에 당선되며 선거의 풍향계로 불려왔지만 35년 만에 뒤집힌 겁니다. 제주지역 최종 투표율은 72.6%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평균 77.1%보다 4.5% 포인트 낮은 수치로, 지난 19대 대선에 이어 이번에도 전국 최하위의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지난주 실시된 사전투표에서도 제주 투표율은 33.78%로 전국 평균 36.93%를 밑돌며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초박빙 승부 끝에 제20대 대통령이 당선된 가운데 차기 정부가 이끌 대한민국과 제주는 어떤 모습일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 2022.03.14(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