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Dogs Abandoned
This is a residential area in Seogwipo.
A lady holding a dog in her arms approaches the house yard, puts the animal in the yard and just leaves.
The dog looks out from the stone wall for a long time as if it is looking for its owner.
Dogs are being abandoned in large numbers in Jeju.
This is a temporary shelter for abandoned dogs in (한림읍) Hallim-eup.
Every room is full of dogs.
There are about 150 dogs in the privately operated facility.
They were rescued after being abandoned or lost.
Most abandoned dogs are older or ill. And many prospective pet owners choose younger animals, often overlooking older and less healthy ones.
Recording
Hong Nan-yeong / Animal welfare organization
Some dogs were rescued by volunteers, and others were abandoned at the entrance of the shelter. We have between 40 and 50 dogs now.
Some owners don’t take their dogs back from dog daycare or overnight boarding.
Recording
Owner, Pet hotel
Some clients even change their phone number after leaving their pets at the hotel.
In 2016, about 2,800 abandoned animals were rescued, but that number doubled the following year, and about 6,000 have been captured annually in recent years.
However, these numbers don’t include dogs in privately operated shelters.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would be much higher if dogs at private shelters are included.
Abandoned dogs wander around fields, becoming feral and causing problems like damage to livestock farms.
Animal welfare organizations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those who have dogs, along wi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animal spaying or neutering, for example.
Recording
Hong Nan-yeong / Animal welfare organization
I think animal spaying or neutering of stray dogs is urgently needed. Dog owners should consider their pets a part of the family which cannot be abandoned.
There are about 95,000 registered dogs in Jeju.
The revised Animal Protection Act has tightened up punishment for pet abandonment. However, further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pet abandonment, including improved public awareness and encouraging prospective pet owners to adopt abandoned dogs.
해마다 늘어나는 유기견 …일부는 들개화
서귀포시의 한 주택가.
강아지를 안은 한 여성이 걸어오더니
돌담 안 마당에
강아지를 버려두고 유유히 떠납니다.
강아지는 주인을 찾는 듯
한참을 돌담에 매달려 밖을 쳐다봅니다.
이렇게 키우던 반려견을
버리는 사례는 비일비재 합니다.
한림읍 중산간에 위치한 유기견 보호소.
우리마다 개들이 가득 차있습니다.
민간인이 운영하는 보호소인데,
이곳에만 150마리 가량의 유기견이 있습니다.
주인에게 버림 받았거나
혹은 잃어버려 길거리를 떠돌던 유기견 입니다.
이렇게 버려진 개들은
대부분 늙거나 병든 경우가 많아
입양도 어렵습니다.
<싱크 : 홍난영/ 00동물보호단체 대표>
"봉사자들이 구조하는 경우도 있고 쉼터 앞에 애들(반려견)을 버려서 여기들어오는 경우도 있어요. 지금 합해서 140,150정도 돼요."
반려견 호텔이나 유치원에 맡겨두고
찾으러 오지 않는 사례도 있습니다.
<싱크 : 00반려동물 호텔 운영>
"(반려견을) 맡겨두고서 휴대전화 번호도 다 바꾸고 이런 분도 있어요."
지난 2016년,
2천 8백여 마리였던 유기동물은 이듬해 갑절로 늘더니
최근 몇년동안
해마다 6천 마리 가량 포획되고 있습니다.
민간 시설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기견을 더하면
그 마리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버려진 개들은
산과 들을 떠돌며 야생화 돼
축산농가 피해 등
사회적인 문제까지 일으키고 있습니다.
동물단체는 마당개 중성화 사업 등
행정적인 지원과 함께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들의 책임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 홍난영/ 00동물보호단체 대표
"시골개 중성화 시키는 게 시급할 것 같고요. (반려견이) 내 가족이라는 생각,내가 들였으면 버리지 않겠다는 인식이 필요하겠습니다."
제주지역에 등록된
반려견 수는 9만 5천여 마리.
동물보호법이 개정으로
반려동물 유기 행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됐지만
이와함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이나
입양 문화 확대 등
유기견 발생 방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