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New Olle Trail to be Open
  • New Olle Trail to be Open The Jeju Olle Foundation will open a new Olle Trail for the first time in five years. The Jeju Olle Foundation said that it will open a new 18-2 Olle Trail in Chuja-do Island on June 4th. The trail will be 10.2 km long, ranging from Shinyang Port to Sang-Chuja Port. Thus, the total length of all of the Olle trails increases from 425 km with 26 trails to 437 km with 27 trails. The Jeju Olle Foundation will hold an opening ceremony at 11:40 a.m. on June 4th at the Sang-Chuja port. 5년 만에 신규 올레코스 18-2 개장 5년 만에 새로운 올레길이 선보입니다. 사단법인 제주올레는 다음달 4일 추자도에 '추자도 올레길 18-2' 코스를 신규 개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추자도 올레길은 총 길이 10.2km로 신양항을 시작점으로 상추자항을 종점으로 끝나는 코스입니다. 이로써 26개 코스에 425km였던 올레길은 437km의 27개 코스로 변경됩니다. 제주올레는 다음달 4일 오전 11시 40분에 상추자항 광장에서 개장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Provincial Government to Purchase Darangshi Cave
  • Provincial Government to Purchase Darangshi Cave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push forward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sites of the April 3rd Incident by purchasing (다랑쉬) Darangshi Cave with a special subsidy tax worth 700 million won this year. The provincial office negotiated with the land owner, an educational cooperation, about purchasing the land. The foundation showed an intention to sell the land. After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appraisal, assessment and purchase will be conducted. The provincial government plans to purchase the land within the year. After purchasing the l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collect opinions from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Associa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As a follow-up authorities will promote the maintenance projects, such as creating roads to (다랑쉬) Darangshi Cave including a parking lot. 4·3유적지 '다랑쉬굴' 토지 매입·정비 추진 제주도가 올해 특별교부세 7억 원을 투입해 다랑쉬굴 매입을 통한 4.3 유적지 정비를 추진합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토지 소유주인 모 학교법인과 토지 매수 협의를 진행해 매각의사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교육부의 허가를 받으면 감정평가와 토지매입 절차를 진행하고 연내에 토지를 매입할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토지를 매입한 뒤에는 4.3유족회 등 관련 기관 의견수렴을 통해 다랑쉬굴 진입로와 주차장 조성 같은 유적지 정비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Different Stance on Odeungbong Park Project
  • Different Stance on Odeungbong Park Project The candidates for Jeju Province governor are show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follow-up investigation on a special favor offered to business operators during the Odeungbong Park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written answers of governor candidates sent to the Jeju office of the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four province governor candidates showed their stance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pecial favor issue and need to withdraw the projec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부순정) Boo Soon-jung, the candidate of the Green Party Korea and an independent candidate (박찬식) Park Chan-sik agreed with the need for investigation and withdrawal of the project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오영훈) Oh Young-hun, the candidate from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aid that an audit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s required, rather than an investigation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허향진) Heo Hyang-jin, the candidate for the People Power Party, disagreed with the need for an investigation and withdrawal of the project. 오등봉공원 의혹 조사 도지사 후보별 '입장차'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논란과 의혹에 따른 후속 조사와 관련해 도지사선거 후보들이 각자 다른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도지사 후보들에게 보낸 공개질의 답변서에 따르면, 사업 특혜와 비리 의혹에 대한 도정 차원의 조사와 조사 결과에 따른 사업철회 요구에 대해 녹색당 부순정, 무소속 박찬식 후보는 동의 의견을 밝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후보는 공감은 하지만 도정 차원의 조사보다는 감사원 감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습니다. 반면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는 의혹에 대한 조사와 사업 철회를 반대한다는 의견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Mobility Support for Election Day
  • Mobility Support for Election Day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ill offer movement support service for voters who have mobility difficulties on June 1st when the local election and by-election day will be held. The Jeju NEC will help the disabled, seniors and pregnant women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by providing vehicles to transport them from their homes to voting places. The Jeju Transportation Handover Support Center will offer the service for the registered members on the early voting days, on the 27th and 28th, and on the day of local election which is June 1st. The Korea Associa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ill provide the service on June 1st only. Residents who want to receive the service should apply for the service by making a phone call to related organizations, associations or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by the 31st. 선관위, 투표일 장애인·어르신 차량 지원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가 6.1지방선거와 보궐선거 투표일에 거동이 불편한 도민을 대상으로 차량 이동을 지원합니다. 이동 지원이 필요한 중증장애인과 어르신, 임산부 등에게 거주지로부터 투표소까지 차량을 지원해 투표권 행사를 돕는 취지입니다. 제주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등록된 회원에 한해오는 27일과 28일 사전투표일과 6월 1일 본투표일에 이동편의를 제공하고 그밖에 지체장애인협회나 시각장애인복지관 등은 6월 1일에만 지원합니다. 지원을 희망하는 도민은 오는 31일까지 주관 시설이나 단체, 관할 선관위에 전화로 신청하면 됩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More Dogs Abandoned
  • More Dogs Abandoned This is a residential area in Seogwipo. A lady holding a dog in her arms approaches the house yard, puts the animal in the yard and just leaves. The dog looks out from the stone wall for a long time as if it is looking for its owner. Dogs are being abandoned in large numbers in Jeju. This is a temporary shelter for abandoned dogs in (한림읍) Hallim-eup. Every room is full of dogs. There are about 150 dogs in the privately operated facility. They were rescued after being abandoned or lost. Most abandoned dogs are older or ill. And many prospective pet owners choose younger animals, often overlooking older and less healthy ones. Recording Hong Nan-yeong / Animal welfare organization Some dogs were rescued by volunteers, and others were abandoned at the entrance of the shelter. We have between 40 and 50 dogs now. Some owners don’t take their dogs back from dog daycare or overnight boarding. Recording Owner, Pet hotel Some clients even change their phone number after leaving their pets at the hotel. In 2016, about 2,800 abandoned animals were rescued, but that number doubled the following year, and about 6,000 have been captured annually in recent years. However, these numbers don’t include dogs in privately operated shelters.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would be much higher if dogs at private shelters are included. Abandoned dogs wander around fields, becoming feral and causing problems like damage to livestock farms. Animal welfare organizations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those who have dogs, along wi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animal spaying or neutering, for example. Recording Hong Nan-yeong / Animal welfare organization I think animal spaying or neutering of stray dogs is urgently needed. Dog owners should consider their pets a part of the family which cannot be abandoned. There are about 95,000 registered dogs in Jeju. The revised Animal Protection Act has tightened up punishment for pet abandonment. However, further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pet abandonment, including improved public awareness and encouraging prospective pet owners to adopt abandoned dogs. 해마다 늘어나는 유기견 …일부는 들개화 서귀포시의 한 주택가. 강아지를 안은 한 여성이 걸어오더니 돌담 안 마당에 강아지를 버려두고 유유히 떠납니다. 강아지는 주인을 찾는 듯 한참을 돌담에 매달려 밖을 쳐다봅니다. 이렇게 키우던 반려견을 버리는 사례는 비일비재 합니다. 한림읍 중산간에 위치한 유기견 보호소. 우리마다 개들이 가득 차있습니다. 민간인이 운영하는 보호소인데, 이곳에만 150마리 가량의 유기견이 있습니다. 주인에게 버림 받았거나 혹은 잃어버려 길거리를 떠돌던 유기견 입니다. 이렇게 버려진 개들은 대부분 늙거나 병든 경우가 많아 입양도 어렵습니다. <싱크 : 홍난영/ 00동물보호단체 대표> "봉사자들이 구조하는 경우도 있고 쉼터 앞에 애들(반려견)을 버려서 여기들어오는 경우도 있어요. 지금 합해서 140,150정도 돼요." 반려견 호텔이나 유치원에 맡겨두고 찾으러 오지 않는 사례도 있습니다. <싱크 : 00반려동물 호텔 운영> "(반려견을) 맡겨두고서 휴대전화 번호도 다 바꾸고 이런 분도 있어요." 지난 2016년, 2천 8백여 마리였던 유기동물은 이듬해 갑절로 늘더니 최근 몇년동안 해마다 6천 마리 가량 포획되고 있습니다. 민간 시설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기견을 더하면 그 마리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버려진 개들은 산과 들을 떠돌며 야생화 돼 축산농가 피해 등 사회적인 문제까지 일으키고 있습니다. 동물단체는 마당개 중성화 사업 등 행정적인 지원과 함께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들의 책임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 홍난영/ 00동물보호단체 대표 "시골개 중성화 시키는 게 시급할 것 같고요. (반려견이) 내 가족이라는 생각,내가 들였으면 버리지 않겠다는 인식이 필요하겠습니다." 제주지역에 등록된 반려견 수는 9만 5천여 마리. 동물보호법이 개정으로 반려동물 유기 행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됐지만 이와함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이나 입양 문화 확대 등 유기견 발생 방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2.05.16(mon)  |  고주연
  • Food Waste Disposers Accept Credit Cards
  • Food Waste Disposers Accept Credit Cards The Jeju City Municipal Office allows payment by credit cards for discarding food waste. The city government added the functions of accepting credit cards at 1,500 food waste disposers. Jeju City will also replace 600 disposers which accept credit cards.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inconvenience of purchasing and charging transportation cards to discard food waste will be relieved. The city government will also install 60 food waste disposers with cooling systems on a test basi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o reduce odor and insects.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신용카드 결제기능 추가 제주시가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1천500여 대에 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내년에도 600여대를 교체할 계획입니다. 이에따라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교통카드를 구입해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전망입니다. 제주시는 하반기에는 악취와 벌레꼬임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냉장형 감량기 60여대를 시범적으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 2022.05.16(mon)  |  고주연
  • Support for Low Income Youths to be Expanded
  • Support for Low Income Youths to be Expanded The provincial office will expand the asset building support project for working youths in low income households. The current five projects will be incorporated into three projects. In particular, one of the projects will be expanded by allowing applications from people in households with lower than the median income from July. Currently, people in households with lower than 50% of the median income can apply for the project. The asset building support project helps low-income workers by subsidizing 300,000 won when they deposit 100,000 to 500,000 won to their own accounts. 일하는 저소득 청년 '자산형성지원' 사업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일하는 저소득 청년을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희망키움과 내일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등 기존 5개 사업을 3개로 통합합니다. 특히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지금까지 중위소득 50% 이하에 한해 지원됐지만 오는 7월부터 100% 이하까지로 확대합니다.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저소득층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월 10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저축하면 정부에서 30만원까지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 2022.05.16(mon)  |  고주연
  • Jeju City to Inspect Sites Handling pets
  • Jeju City to Inspect Sites Handling pets The Jeju City Municipal Office will inspect businesses handling pets to prevent animal abuse. The inspection will focus on animal abandonment and abuse, feeding environment, sanitation and disinfection to prevent the diseases. In the case where violations are detected, judicial management or administrative measures will be taken based on related laws. 제주시, 반려동물 영업장 운영실태 점검 제주시가 동물학대 방지를 위해 반려동물 영업장의 운영 실태를 점검합니다. 이번 점검은 영업장의 동물 유기와 학대, 동물의 사육환경 등을 확인하고 전염병 예방을 위한 위생, 소독 관리 현황을 점검할 예정입니다. 점검 결과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 관련 법령에 의거해 사법처리 또는 행정처분할 계획입니다.
  • 2022.05.16(mon)  |  고주연
  • Using Natural Enemies as Pests Control
  • Using Natural Enemies as Pests Control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will promote a demonstration project of developing a pest control technique by using natural enemies in place of agricultural pesticide. The institution began the project in which natural enemies were released in greenhouses of 25 strawberry farms to reduce pests. Main natural enemies of two-spotted spider mites, plant lice and thrips, which are main pests of greenhouse strawberries, are being released. The aim is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rops and reduce the amount of chemicals used.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will not only distribute natural enemies to farms, but also offer education to farmers. '해충 천적' 곤충 활용 방제 시범사업 추진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농약이 아닌 천적을 활용한 해충 방제 기술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이에따라 올해 딸기 재배 농가 25곳을 대상으로 주요 해충별 천적을 시설 하우스에 방사해 해충 밀도를 줄이는 시범사업에 착수했습니다. 시설 딸기의 주요 해충인 응애나 진딧물, 총채벌레를 잡아먹는 천적 곤충을 방사해 농작물에는 피해를 줄이고 농약 사용량을 줄인다는 방침입니다. 농업기술원은 단순히 천적을 보급하는 데 그치지 않고 농업인이 적정 시기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교육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 2022.05.16(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