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Moth Invasion Damages Crops in Jeju
  • Moth Invasion Damages Crops in Jeju Turnip moths that damage crops, such as corns and millets are flowing into Jeju for the first time and arel causing damage to farms on the island. According to the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dult turnip moths were found in Samdal-ri, Seongsan-eup and Suwon-ri, Hallim-eup. Turnip moths come to Korea on the westerlies in Spring. They nibble away crops such as corn and millet. In particular, as super sweet corn will be harvested in the beginning of next month, serious damage by the insect is expected, stressing the need for strict monitoring and prompt pest control. '열대거세미나방' 첫 발견…각종 작물 피해 우려 옥수수나 기장 등 각종 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열대거세미나방'이 올들어 처음 제주에 유입돼 농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최근 성산읍 삼달리와 한림읍 수원리 일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이 잇따라 발견됐습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봄철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돼 옥수수나 기장 등의 작물을 갉아먹으며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달 상순 수확기를 앞둔 초당옥수수의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어 철저한 예찰과 신속한 방제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Jeju with Highest Growth of Consumer Prices
  • Jeju with Highest Growth of Consumer Prices Jeju’s consumer prices show the highest growth rate in the nation during the first quarter. According to the reports releas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growth rate of nationwide consumer prices records 3.8%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s of petroleum and eating out. This figure is the highest growth following the fourth quarter in 2011 when the growth rate reaches 4%. By region, Jeju recorded the highest increase rate with 4.7%. On the other hand, Seoul’s consumer prices increased by 3.3%, the lowest growth rate in the nation. Jeju's consumer price growth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petroleum price by 24.6%. 올해 1분기 제주 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올해 1분기 제주지역의 물가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와 외식 가격 상승으로 인해 3.8%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전국 물가상승률은 지난 2011년 4분기 당시 4% 이후 10여년만에 가장 높은 것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서울은 3.3%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 제주의 경우 석유류 상승률이 24.6%에 이르며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Translation Services offer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 Translation Services offer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Translation services of school newslet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elementary school student children will be run on a test basis. Jeju Multicultural Family Center said that school newsletters translated in mother languages of school par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offered to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구좌 중앙) Kujwa Jungang Elementary School, (무릉) Murung Elementary School, (원랑) Wollang Elementary School and (한라) Halla Elementary School from this month. The service will be expanded to all elementary schools from the second semester after considering recommendations made from the pilot period. Parents who wish to receive translation service can receive the service after making applications. 다문화가정 가정통신문 번역 서비스 시범운영 초등학생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을 위해 가정통신문 번역 서비스가 시범 운영됩니다. 제주국제교육원 제주다문화교육센터는 이달부터 구좌중앙초등학교와 무릉초, 월랑초, 한라초 등 4개 학교에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다문화가정 부모의 모국어로 번역된 가정통신문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시범 운영결과 건의사항 등을 반영해 2학기에는 전체 초등학교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학부모가 문자 수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 신청을 통해 번역된 가정통신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Number of Police Reports Increases by 9.2%
  • Number of Police Reports Increases by 9.2% After lifting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e number of reports made to the police has increased in Jeju.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fter April 18th when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were lifted, the total number of reports made to the police has increased by 9.2%. The number of reports related to crimes and traffic issues also showed an increase by 4.6% and 6.6%,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reports made between 2 a.m. to 4 a.m. increased by 77% compared to the period before social distancing measures were lifted. The police will dispatch police squads to five crime-prone areas determined by data analysis. The police squads will focus on patrol and sobriety tests. 거리두기 해제 이후 112신고 9.2%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제주지역 112신고 건수가 증가했습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거리두기가 해제된 지난달 18일 이후 전체 112신고 건수는 전보다 9.2%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범죄 관련 신고는 4.6%, 교통 관련 신고는 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새벽 2시에서 4시 사이 112신고 건수는 거리두기 해제 전보다 77% 가량 대폭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경찰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정한 5개 범죄 취약 지역에 경찰관기동대를 투입하고 순찰과 음주단속을 집중 실시할 계획입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Applications 4·3 Compensation Begins June 1
  • Applications 4·3 Compensation Begins June 1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accept applications for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of the April 3rd Incident from June 1st. The applications have six phases, beginning with the surviving victims of the incident. A total of 2,100 victims, including 105 surviving victims, who were determined as the victims of April 3rd Incident on November 20th, 2002 and March 21st, 2003 will be the candidates for the applications this year. Surviving victims are requir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themselves. In the case where the victim has passed away or is missing, heirs of the victims based on civil law may submit their application. 90 million won will be compensated for dead and missing victims. For victims suffering from disabilities or from serving a sentence, their compensation amount will be determined by a committee with the maximum amount of 90 million won. 내달 1일부터 4·3 희생자 보상금 지급 신청 제주특별자치도가 다음달 1일부터 4.3 희생자 보상금 지급에 따른 신청을 받습니다. 신청은 생존 희생자를 우선으로 하고 나머지는 희생자 결정 순서에 따라 6차례로 나눠 진행됩니다. 올해의 경우 생존희생자 105명과 함께 지난 2002년 11월 20일, 2003년 3월 21일 결정된 희생자로 전체 2천 100명입니다. 생존 희생자의 경우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희생자가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된 경우 유족 결정 여부와는 상관없이 현행 민법상 상속권자가 신청 대상입니다. 보상금액은 사망과 행방불명 희생자의 경우 9천만원, 후유장애 희생자나 수형인의 경우 9천만원 범위에서 위원회가 결정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Costs Curb Restaurants’ Recovery
  • Costs Curb Restaurants’ Recovery This pig’s feet restaurant is busy preparing for today’s business. The restaurant is open today as always, but the owner is deeply concerned about soaring food costs. The price of pig’s feet has doubled to 4,000 won per kilogram, which until a few months ago cost about half that. INTERVIEW Pig’s feet restaurant owner I am taking a loss of 2,000 won per pig’s foot due to taxes and rising ingredient costs. I just have to endure this as I believe that things will get better soon. High wages also make running a small business more complicated. INTERVIEW Pig’s feet restaurant owner Even though I can extend my work hours, part timers are still needed to serve customers. I spend between 12 million and 13 million won on labor costs. A nearby snack bar has also found itself in difficulty. Restaurant owners are seeing a sharp rise in the price of cooking oil and flour. Cooking oil has doubled in price, while flour has risen by 30 percent. In this situation, owners say they cannot make ends meet if they hire a part-timer. INTERVIEW Snack bar owner I welcome more students thanks to the spring semester, but profits are rather negative due to the rise in ingredient costs. Small restaurants like mine face a worsened situation. Local businesses have struggled over the last two yea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Now they are facing yet another challenge, this time of soaring food and labor costs. 일상은 회복했지만…재료값·인건비에 허덕 영업 준비에 한창인 대학로의 한 족발 가게. 오늘도 어김없이 가게문은 열었지만 사장님의 시름은 깊습니다. 최근 큰폭으로 오른 재료값 때문입니다. 몇달전까진 1킬로그램에 2천원 대였던 족발 가격은 최근 4천원으로 2배나 올랐습니다. <인터뷰 : 족발 가게 운영> "세금내고 식재료비 오르고 하니까 (족발)개당 2천원 씩 적자 보더라고요. 안할수 없는 거니까...견디면 된다, 된다, 하는데..." 여기에 시간당 1만원 가량 되는 인건비도 감당하기 버거운 부분 입니다. <인터뷰 : 족발 가게 운영> "제가 시간을 더 늘릴 수는 있는데 아르바이트생들이 고정으로 있어야 돼요. 손님이 언제 들어올지도 모르기 때문에. 한달에 1천 2백만 원에서 1천 3백만 원 (인건비로 지출해요.)" 인근 분식집에서도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상인들은 식용유와 밀가루 값 급등을 고스란히 체감하고 있습니다. 식용유 가격은 50%, 밀가루 역시 30% 가량 올랐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르바이트생을 구하는 건 언감생심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 분식집 운영> "학생들이 개학하면 경기가 풀려야 하는데 풀린 것 같지만 재료비 상승으로 인해서 이익은 오히려 마이너스가 아닌가 할 정도로... 이런 작은 가게는 점점 더 안되는 것 같고..." 코로나 쇼크로 지난 2년 동안 힘겨운 사투를 벌여온 골목상권 상인들. 이제는 청전부지로 치솟은 재료값과 인건비에 또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2022.05.23(mon)  |  고주연
  • Motorcyclist Killed by Drunk Driver
  • Motorcyclist Killed by Drunk Driver At dawn, a motorcycle runs toward the intersection. The moment it enters the intersection, a black sedan appears, and crashes into the motorcycle. At about 2:20 am on the 16th, a car driven by a driver in his twenties hit two motorcycles one after another at an intersection in (연동) Yeon-dong, Jeju City. A 24-year-old motorcyclist died in the crash, and a 35-year-old motorcyclist is being treated at a hospital for a serious injury to his leg. INTERVIEW Kim Jeom-sun / Witness I heard a bang. I thought a building collapsed. I came to the place where the sound came from. It was serious, really serious. The motorcycle just got smashed, and the motorcyclist curled up here. The vehicle hit a motorcycl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crossed the center line and hit another motorcycle coming from the opposite lane. Both motorcyclists were delivering food. According to a police investigation, the driver of the car was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his blood alcohol level exceeded the amount for license suspens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there was reportedly a passenger in the vehicle beside the driver. The police are investigating the exact circumstances of the accident, including whether it was speeding, based on video footage recorded by nearby CCTVs. At the same time the police are reviewing booking the passenger on charges of aiding and abetting drunk driving. 또 음주 교통사고…2명 사상 새벽 시간, 오토바이 한 대가 교차로를 향해 주행합니다. 교차로에 진입한 그 순간, 까만 승용차 한 대가 빠른 속도로 달려오더니 순식간에 오토바이와 충돌합니다. 16일 새벽 2시 20분쯤. 제주시 연동의 한 교차로에서 20대 운전자가 몰던 승용차가 주행하던 오토바이 두 대를 잇따라 들이받았습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인 24살 A씨가 숨졌고, 또 다른 오토바이 운전자인 35살 B씨가 다리 등을 크게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점순 / 사고 목격자> "쾅 하는 소리가 나서 어디 건물이 무너진 줄 알고 쫓아 나와 보니까 여기가 난리가 났더라고 오토바이가. 막 사람이 여기 가운데 쓰러졌는지 (몸을) 웅크린 상태로 있고. 심각했어요 진짜 심각했어. 오토바이가 그냥 박살 나고 저기 뭐…." 해당 차량은 교차로에 진입하던 오토바이를 친 뒤 중앙선을 침범해 맞은 편에서 오던 또다른 오토바이를 연이어 들이받았습니다. 두 오토바이 운전자 모두 음식을 배달하던 중이였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승용차 운전자는 술을 마신 상태로 당시 혈중알코올 농도가 면허 정지 수치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당시 차량 안에는 운전자 외에 1명이 더 탑승해 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주변 CCTV 등을 토대로 과속 여부 등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차량 동승자에 대해서도 사실 관계를 확인해 음주 운전 방조 혐의로의 입건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JTO Partners to Promote Workaction Opportunities
  • JTO Partners to Promote Workaction Opportunities The Jeju Tourism Organization has generated the demand for workation that refers to taking a break from usual workplaces, but not from the work. JTO said that the company has made a partnership agreement with Seoul Business Agency. The agreement aims to activate both workation for employees of small businesses and village tourism. The Seoul Business Agency plans to recruit 750 participants of workaction program among its member companies in Seoul. JTO plans to design the workaction program with new travel contents, such as a village tour and wellness tourism programs. 제주관광공사-서울산업진흥원 워케이션 활성화 협약 제주관광공사가 일과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 여행 수요 창출에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제주관광공사는 최근 서울산업진흥원과 서울 중소기업 근로자 제주지역 워케이션과 제주 마을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제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산업진흥원은 수도권 기업과 회원사를 대상으로 최대 750명을 목표로 워케이션 참가자를 모집할 계획입니다. 제주관광공사는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카름스테이와 웰니스 등 새로운 여행콘텐츠를 여가 활동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 Jeju Biennale Opens on November 16th
  • Jeju Biennale Opens on November 16th The Jeju Biennale will open at the Jeju Museum of Art after five years of delay. The Jeju Museum of Art will hold the Jeju Biennale under the theme of Flowing Moon, Embracing Land from November 16th through February 12th, 2023. Exhibition manager Park Nam-hee will direct the biennale. 60 artists from 16 countries will participate in the event with the various programs, including exhibition, performance and experience programs at the Jeju Museum of Art,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International Peace Center Jeju. The Jeju Biennale was held in 2017 for the first time and it has been delayed due to COVID-19 and lawsuits. Last year, an art festival replaced the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 11월 16일 개막 제주 비엔날레가 5년만에 제주도립미술관을 주 무대로 열립니다. 제주도립미술관은 제3회 제주비엔날레가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을 주제로 11월 16일부터 내년 2월 12일까지 열린다고 밝혔습니다. 예술감독으로는 전시기획자 박남희씨가 선정됐으며 16개국 60여 팀의 작가가 참여한 가운데 도림미술관과 현대미술관, 국제평화센터 등에서 전시와 퍼포먼스, 체험프로그램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제주비엔날레는 2017년 첫 행사를 개최한 이후 코로나19와 각종 소송 문제 등으로 연기되어 오다 지난해는 대체 미술제로 진행된 바 있습니다.
  • 2022.05.18(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