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ware of Jellyfish Stingers
고주연   |  
|  2022.06.03 09:44
Beware of Jellyfish Stingers

A long jellyfish is being lifted with a wooden stick.
The transparent animal has reddish stinging filaments along with its rope-shaped body.


These are siphonophores and were caught by divers near Jeju Port and at (차귀도) Chagwido Island on May 26th.


The venomous underwater species can reach lengths of up to 40 or 50 meters and are thought to be the longest animal on the planet.


A species which normally inhabits subtropical regions, it was first spotted in 2014 and because of rising ocean temperatures is now often found in Korean waters.


In 2020, a large number of these string jellyfish were found at mainland beaches in (울진) Uljin and (경포) Gyeongpo on the East Sea, and many beachgoers ended up being stung.


Most often the jellyfish stings result in sudden pain and skin irritation. Some may even experience paralysis and in rare cases, death.


As the string jellyfish look different from ordinary jellyfish, they can be mistaken for seaweed. This increases the danger to beachgoers.

INTERVIEW
Yun Seok-hyeon /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The sting causes allergic reactions if the venom is exposed to skin, and in severe cases, some experience life-threatening symptoms such as shortness of breath. Make sure you don't touch them and avoid being stung.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has advised anyone who is stung by the string jellyfish to rinse the affected area with seawater or a saline solution and then seek immediate medical attention at a hospital.





맹독성 관해파리 출현…쏘임 사고 '주의'


나무 막대로 들어 올린 길다란 해파리.

투명한 몸체에 붉은 촉수가 눈에 띕니다.


지난 26일,
제주항과 차귀도 해상에서
다이버들에 의해 발견된 관해파리입니다.


맹독성인 관해파리는 길이가 40에서 50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해파리는 주로 아열대 해상에 서식하지만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지난 2014 첫 발견 이후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해역에서도 종종 발견되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에는
동해 인근 울진과 경포 해수욕장에서
대거 출현하며
쏘임사고가 잇따르기도 했습니다.


관해파리는 맹독성이기 때문에
쏘였을 때
바로 통증이 나타나며
수포가 올라올 수 있고
심각할 경우 마비나 생명에 위험까지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일반적인 해파리 형태가 아닌
긴 띠 모양으로 생긴만큼
해조류로 착각하기 쉬워
쏘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터뷰 : 윤석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관해파리가 출현할 경우 독성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노출되면 알레르기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호흡곤란과 같은 위험한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쏘임 사고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합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해파리에 쏘였을 경우
즉시 물 밖으로 나와 해수나 식염수로
쏘인 부위를 씻고 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