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aring Won-Dollar Rate
This is a local company that imports seeds from seven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and processes and distributes them.
Vegetable seeds such as white radish, broccoli, and onion are bought for about 4 million dollars every year.
Profits, of course, are closely tied to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 recent surging exchange rate is causing difficulties, as payment dates for invoices are fast approaching.
With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passing the 1,400 won mark for the first time in 13 and a half years, the seed importer is considering raising seed prices.
INTERVIEW
Yang Gwang-ryeol / Representative, Local seed company
The soaring exchange rate is a big pressure for the seed industry to increase prices. Individual companies can defend their prices for the time being, but if the dollar keeps strong against won for long, the industry will have no choice but to determine to increase prices.
Losses have already been seen.
Prices of grains such as corn, the main ingredient in pig feed, jumped 40 percent from a year ago in the fallout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the Ukraine.
Feed makers buy grain at the exchange rate they agree on in advance, and then settle the fluctuations in the exchange rate later.
Now they have to pay hundreds of millions of won more every month due to the soaring exchange rate.
Recording
Ko Gwang-rip / Representative, Local feed factory
As the exchange rate is soaring, we have to endure exchange losses every month. We paid about 200 million won more last month, and a similar size of exchange loss is expected this month. As the future seems dim, we are in trouble.
The duty-free industry is also suffering.
Duty-free shops are losing price competitiveness as the soaring won-dollar exchange rate is applied to goods.
Despite discount promotions, customers are few and far between.
Recording
Yun Nam-ho / Representative, Lotte Duty Free, Jeju branch
The exchange rate, which was around 1,200 won early this year, has recently surpassed 1,400 won. We’re trying to overcome this unfavorable situation with various promotions, such as exchange rate compensation programs, offering prepaid cards to purchasers, and discount events.
Many local industries are reeling from high interest rates, an unstable geopolitical situation, and eye-watering exchange rates.
"1천 4백원 넘었다"…치솟는 환율 '어쩌나'
뉴질랜드 등
7개 나라로부터 종자를 수입해
가공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농업 법인입니다.
무와 브로콜리, 양파 같은 채소 종자를
매년 약 4백만 달러를 주고 사들여옵니다.
환율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최근 요동치는 원 달러 환율에
다가오는 대금 결제일이 부담입니다.
13년 6개월 만에 원 달러 환율이
1천 4백원을 돌파하면서 종자 가격을
올리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양광렬/농업법인 경영관리본부 상무>
"환율 영향을 받아서 종자업계의 큰 압박으로 작용하고 개별 기업에서 방어할 수 있는 부분은 단기적으로 감당할 수 있겠지만 장기화되고 환율 상승 폭이 커진다면 기업으로서는 가격 상승 요인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겠습니다. "
환율 상승으로 인한 피해도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양돈 사료의 주원재료인 옥수수 등 곡물류는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1년 전보다 가격이 40% 급등했습니다.
사전에 약정한 환율로 먼저 곡물을 사고
나중에 환율 변동 폭을 다시 정산하는데
치솟는 환율에 매달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환차손만 수억 원입니다.
<씽크:고광립/제주양돈농협 청정배합사료공장장>
1천4백 원대가 되면서 매달 환차손이 발생하고 있는데 지난달에만 환차손으로 2억 원 정도 발생했고 이번 달에도 그 정도 발생할 것 같습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아서 공장을 운영하면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면세업계도 직접적인 환율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환율 상승 여파로
인상된 구매 단가가
그대로 판매가에 반영되면서
면세 효과는 사라졌습니다.
할인 프로모션 같은
자구책에도 손님 모객은 쉽지 않습니다.
<씽크:윤남호 롯데면세점 제주점 부점장>
연초에 1천2백 원대 하던 환율이 1천4백 원을 넘다 보니까 실제 백화점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다 보니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토산품에 대해서 환율 보상 프로그램 및 구매 금액별 선불 카드 증정이나 할인 행사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준비해서 이겨내고 있습니다.
고금리와 불안한 국제정세,
여기다 환율 상승까지 지속되면서
제주에서도 연관 산업들이
휘청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