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April 3rd Inciden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April 3rd Inciden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is a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next year. The parts dealing with the April 3rd Incident are noticed. Starting next year, som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ill cover the April 3rd Incident.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made in 2020, the incident became includ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s. From next year, the tragic event will be included in some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However, it doesn’t appear to be enough. Out of the 11 textbook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nly four deal with the April 3rd Incident. They include only a half-page to one-page-long description because the incident is not includ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s. It is also pointed out that a textbook uses the term "communist forces", which could attempt to justify the massacre by state violence. Experts say that the volume that deals with the incident should be expand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truth of it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emphasize that the incid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s. INTERVIEW Mun Hui-hyeon / Jeju offic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The April 3rd Incident is one of the important ev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The event should be covered in all social studies textbooks. Then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ill be able to properly learn the truth of the incident. As April 3rd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memorial day and the approach to the tragic incid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model of reconciliation and co-prosperity, learning about the history at schools is being treated with greater value. 내년 초등 교과서에 '제주 4·3' 실린다 내년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검정교과서입니다. 책장을 넘기자 제주 4.3사건을 다룬 부분들이 눈에 띕니다. 내년부터 일부 초등학교 검정교과서에 제주 4.3사건에 대한 내용이 실립니다. 지난 2020년 교육과정이 개편되면서 현재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만 4.3이 다뤄지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일부 사회 교과서에도 실리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여전합니다. 현재 개발된 내년 검정 교과서 전시본 11개 가운데 제주 4.3이 서술된 건 단 4개. 이 조차도 반 페이지에서 한 페이지 분량에 그치고 있습니다. 초등 사회과 국가수준교육과정에 제주 4.3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특정 교과서에는 '공산주의 세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국가폭력에 의한 제주도민의 학살을 정당화할 여지를 준다는 지적도 일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관점에서 4.3의 진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술 분량을 확대하고, 초등 사회과 국가수준교육과정에 제주 4.3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 문희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장> 4.3을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로 다루는 교육과정으로 공부를 해야 우리 대한민국 역사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그런 (교육이) 될 것 같고요. 그렇게 되면 전국의 학생들이 제주 4.3을, 그 진실을 제대로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월 3일이 국가추념일로 지정돼 있는데다 근현대사의 비극 가운데 화해와 상생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학교에서의 내실 있는 교육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 2022.09.29(thur)  |  고주연
  • Murung Middle School Wins Youth Science Fair
  • Murung Middle School Wins Youth Science Fair (무릉) Murung Middle School won the grand prize at the national competition of Youth Science Fair hos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competition was hosted to encourage youth to explore science and exchange ideas. More than 500 students from across the country gathered to compete in 4 categories this year. (무릉) Murung Middle School won the honorary grand prize when second grader (이현민) Lee Hyun-min produced a variety of works focusing on facilitating wind energy while practicing carbon neutrality. 무릉중, 청소년 과학페어 전국대회 '대상' 무릉중학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청소년 과학페어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전국의 청소년들이 모여 과학을 탐구하고 교류 소통하는 자리로 이번 대회의 경우 4개 부문 경연에 전국에서 5백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무릉중은 융합과학 분야에서 2학년 이현민 학생이 탄소중립을 실천하면서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구조물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제작해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Caught Illegally Exporting Dolphins
  • Caught Illegally Exporting Dolphins The Jeju Maritime Police sent two people to the prosecutor on a charges of unauthorized shipment of endangered sea dolphins to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police, two people including the general manager of the Pacific Resom Jeju were filed of charges for shipping two dolphins to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without prior permission from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last April. 타지역으로 돌고래 무단 반출 혐의 2명 송치 제주해양경찰서는 멸종위기 해양생물인 돌고래를 무단으로 반출한 혐의를 받고 있는 2명을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퍼시픽 리솜 총지배인 등 2명은 지난 4월 해양수산부 장관의 허가없이 퍼시픽 리솜(Pacific Resom JEJU)에 있던 돌고래 2마리를 다른 지역으로 무단 반출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Poisonous Octopus at Gimnyeong
  • Poisonous Octopus at Gimnyeong Around 2:40 in the afternoon on the 21st, a greater blue-ringed octopus was found in the waters near the camping site of Gimnyeong Beach in Jeju city. The octopus was 4 centimeters in width and 6 centimeters in length. The Jeju Maritime Police handled the octopus per guidelines provided by the Jeju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Greater blue-ringed octopuses are 10 times more poisonous than potassium cyanide. Bites or stings can cause physical paralysis and respiratory difficulty. 김녕해수욕장서 맹독성 파란고리문어 발견 21일 오후 2시 40분쯤 제주시 김녕해수욕장 캠핑장 앞 바다에서 물에 떠 있는 파란고리문어가 발견됐습니다. 발견된 파란고리문어는 가로 4cm, 세로 6cm로 해경이 제주수산연구원에 문의해 자체 폐기했습니다. 파란고리문어는 청산가리보다 10배 이상의 강한 독성을 지녀 물리거나 쏘일 경우 신체 마비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Youth Environment Forum in October
  • Youth Environment Forum in October The 2022 International Youth Cyber Environment Forum will be held from October 18th until the 30th. The forum will be hosted by the Province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under the theme ‘Enhancing the resilience of earth and society’ and will be held at the official website of the International Youth Cyber Environment Forum. Anyone who wishes to participate in the forum can submit their proposals regarding the theme by October 15th. Discussions will be held based on comments submitted and certificates of merit including the Minister of Environment Award and prize will be awarded to outstanding participants. 국제청소년 사이버환경포럼 내달 18~30일 열려 국제청소년 사이버환경포럼이 다음달 18일부터 30일까지 열립니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환경부와 세계자연보전연맹 한국위원회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은 지구와 사회의 회복력 강화를 주제로 국제청소년 사이버환경포럼 누리집을 통해 진행됩니다. 참가를 희망하는 청소년은 포럼 주제에 대한 제안서를 작성해 다음달 15일까지 제출하면 됩니다. 포럼은 팀별 제안서와 발표 동영상에 대해 댓글 토론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수 참가자에게는 환경부장관상 등 상장과 상금이 주어집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Provincial Staff Restructuring in Works
  • Provincial Staff Restructuring in Works The Provincical Support Center, which was first established since the launch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be merg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a report on the restructuring of the Support Center which was submitted to lawmaker (김한규) Kim Han-kyu,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the Support Center in Jeju and Sejong are to be merged. The two centers will be reducing its number of staff from 29 to 23. The restructuring will include personnel of the Support Committee in the province. Such movement is part of the government’s decision announced on the 7th to eliminate or integrate similar orgzanizations among the 600 government committees. Meanwhulie, the Provincial Council had passed a resolution at its 409th session held on the 16th that opposes integration of provincial committees. 제주특별자치도지원단 통합…조직 대폭 축소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후 제주와 정부의 연결 역할을 맡아오던 제주특별자치도 지원단이 세종시와 통합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이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특별자치시도지원단 조직개편 현황에 따르면 제주도지원단과 세종시지원단을 통합하며 당초 29명 이었던 인력을 6명 줄어든 23명으로 감축했습니다. 이와함께 제주지원단의 상위조직인 지원위원회도 통폐합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정부가 지난 7일 6백여개 정부 위원회 가운데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위원회를 폐지 또는 통합하기로 한데 따른 겁니다. 한편, 제주도의회는 지난 16일 열린 제409회 제1차 정례회에서 제주지원위원회 통합 반대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Fatal Accident at JNU Demolition Site
  • Fatal Accident at JNU Demolition Site The director and manager of a demolition were sent to prosecution for violat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These charges were in relation to an accidental death at a construction site at JNU. According to the Gwangju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Administration under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t was the first local case violating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The representative was charged for neglecting safety reporting regulations, and the on-site manager and safety and health supervisor were prosecuted on charges of violating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police reported that 4 people including the site manager who was in his 60’s were sent to prosecution for charges of negligence. Currently two local cases involving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are under investigation. 제주대 기숙사 철거 사망사고 중대재해처벌법 첫 적용 지난 2월 제주대학교 기숙사 철거 공사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해 현장 소장과 관리자 등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고용노동부 광주지방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제주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 첫 번째 사례로 해당 공사를 맡은 업체의 대표는 안전보고 관리체계 등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나머지 현장 책임자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도 산업안전 보건법 위반 혐의로 추가 송치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찰은 60대 현장소장 등 4명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습니다. 제주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건은 모두 2건입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Soaring Won-Dollar Rate
  • Soaring Won-Dollar Rate This is a local company that imports seeds from seven countries, including New Zealand, and processes and distributes them. Vegetable seeds such as white radish, broccoli, and onion are bought for about 4 million dollars every year. Profits, of course, are closely tied to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 recent surging exchange rate is causing difficulties, as payment dates for invoices are fast approaching. With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passing the 1,400 won mark for the first time in 13 and a half years, the seed importer is considering raising seed prices. INTERVIEW Yang Gwang-ryeol / Representative, Local seed company The soaring exchange rate is a big pressure for the seed industry to increase prices. Individual companies can defend their prices for the time being, but if the dollar keeps strong against won for long, the industry will have no choice but to determine to increase prices. Losses have already been seen. Prices of grains such as corn, the main ingredient in pig feed, jumped 40 percent from a year ago in the fallout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the Ukraine. Feed makers buy grain at the exchange rate they agree on in advance, and then settle the fluctuations in the exchange rate later. Now they have to pay hundreds of millions of won more every month due to the soaring exchange rate. Recording Ko Gwang-rip / Representative, Local feed factory As the exchange rate is soaring, we have to endure exchange losses every month. We paid about 200 million won more last month, and a similar size of exchange loss is expected this month. As the future seems dim, we are in trouble. The duty-free industry is also suffering. Duty-free shops are losing price competitiveness as the soaring won-dollar exchange rate is applied to goods. Despite discount promotions, customers are few and far between. Recording Yun Nam-ho / Representative, Lotte Duty Free, Jeju branch The exchange rate, which was around 1,200 won early this year, has recently surpassed 1,400 won. We’re trying to overcome this unfavorable situation with various promotions, such as exchange rate compensation programs, offering prepaid cards to purchasers, and discount events. Many local industries are reeling from high interest rates, an unstable geopolitical situation, and eye-watering exchange rates. "1천 4백원 넘었다"…치솟는 환율 '어쩌나' 뉴질랜드 등 7개 나라로부터 종자를 수입해 가공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농업 법인입니다. 무와 브로콜리, 양파 같은 채소 종자를 매년 약 4백만 달러를 주고 사들여옵니다. 환율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최근 요동치는 원 달러 환율에 다가오는 대금 결제일이 부담입니다. 13년 6개월 만에 원 달러 환율이 1천 4백원을 돌파하면서 종자 가격을 올리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양광렬/농업법인 경영관리본부 상무> "환율 영향을 받아서 종자업계의 큰 압박으로 작용하고 개별 기업에서 방어할 수 있는 부분은 단기적으로 감당할 수 있겠지만 장기화되고 환율 상승 폭이 커진다면 기업으로서는 가격 상승 요인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겠습니다. " 환율 상승으로 인한 피해도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양돈 사료의 주원재료인 옥수수 등 곡물류는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1년 전보다 가격이 40% 급등했습니다. 사전에 약정한 환율로 먼저 곡물을 사고 나중에 환율 변동 폭을 다시 정산하는데 치솟는 환율에 매달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환차손만 수억 원입니다. <씽크:고광립/제주양돈농협 청정배합사료공장장> 1천4백 원대가 되면서 매달 환차손이 발생하고 있는데 지난달에만 환차손으로 2억 원 정도 발생했고 이번 달에도 그 정도 발생할 것 같습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아서 공장을 운영하면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면세업계도 직접적인 환율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환율 상승 여파로 인상된 구매 단가가 그대로 판매가에 반영되면서 면세 효과는 사라졌습니다. 할인 프로모션 같은 자구책에도 손님 모객은 쉽지 않습니다. <씽크:윤남호 롯데면세점 제주점 부점장> 연초에 1천2백 원대 하던 환율이 1천4백 원을 넘다 보니까 실제 백화점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다 보니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토산품에 대해서 환율 보상 프로그램 및 구매 금액별 선불 카드 증정이나 할인 행사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준비해서 이겨내고 있습니다. 고금리와 불안한 국제정세, 여기다 환율 상승까지 지속되면서 제주에서도 연관 산업들이 휘청이고 있습니다.
  • 2022.09.26(mon)  |  고주연
  • Stalking Constantly Reported in Jeju
  • Stalking Constantly Reported in Jeju A man in a jacket got out of a van and was taken by police. His name is (전주환) Jeon Ju-hwan, the 31-year-old suspect in the stalking murder at (신당) Sindang Station in Seoul. His unlawful acts include illegal filming, threats, bombarding the victim with more than 300 text messages and stalking the victim for almost three years. Police decided to reveal his personal information as he allegedly pre-planned the crime before murdering the victim. In Jeju, stalking is constantly reported. A male stalker constantly called his ex-fiancee who broke off their engagement, and visited her house in violation of the restraining order, and has finally been imprisoned. A man in his twenties was arrested last month. He sent over 100 text messages to his ex-wife and knocked on the door of her house. 312 cases of stalking and harassment have been reported in Jeju since the anti-stalking act was put in place in October last year. The police arrest rate for the crime in Jeju is at 60 percent, which is the highest in the nation. However, the number of reported stalking cases in Jeju is 46 per 100,000 people. That's the third highest in the nation following Seoul and (인천) Incheon. Police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crime based on the anti-stalking act, but investigations cannot be made for all the cases. Because police or prosecutors cannot investigate or punish suspects against the victim's will according to the act. INTERVIEW Mun Gi-cheol / Representative, Jeju Police Agency We're making efforts to let people know about stalking which is definitely a crime. But many people still don't perceive it as a crime. If a victim doesn't want a stalker, usually an ex-boyfriend or ex-girlfriend, to be punished, we can't proceed with the investigation anymore. As stalking is likely to lead to serious crimes, there are growing calls for strengthening protections for victims. INTERVIEW Lee Soo-jung / Professor of forensic psychology, Kyonggi University Victims have to accept inconveniences in their daily life in the name of the protection. But I believe that we need to establish a system to monitor the perpetrators and stalkers. Stalking can evolve into a felony. It seem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anti-stalking act to prevent the crime from repeating. 전처에 '문자 폭탄' … 스토킹 신고 전국 세 번째 승합차에서 내린 점퍼 차림의 한 남성이 경찰들에게 연행됩니다. 신당역 스토킹 살인 사건 피의자인 31살 전주환입니다. 전 씨는 피해자를 불법 촬영해 협박하고 300건이 넘는 문자를 보내는 등 3년 가까이 스토킹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스토킹은 물론 범행을 사전에 계획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신상공개가 결정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제주에서도 스토킹 범죄가 여전합니다. 파혼통보를 한 여자친구에게 끊임없이 전화하고 접근금지 명령을 어긴 채 집에 찾아가 유치장 신세를 지는가 하면, 지난달에는 전 아내에게 100차례 이상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집에 찾아가 현관문을 두드린 20대 남성이 구속되기도 했습니다.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된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제주에서 112로 신고된 스토킹 신고는 모두 312건. 신고 사건에 대한 검거율은 60%에 이르러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하지만 인구 10만 명당 제주 지역 스토킹 신고 건수는 46건으로, 서울과 인천에 이어 전국에서 3번 째로 많습니다.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되며 경찰이 적극 대응하고 있지만 수사는 쉽지 않습니다. 현행 법에 따르면 스토킹은 '반의사불벌죄'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강제로 수사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문기철 / 제주경찰청 여성보호계장> 홍보를 나름대로 하지만 아직까지 전반적으로 (스토킹이 범죄라는걸) 잘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피해자분들이 예전 남자친구고 여자친구이고 한데 처벌을 불원하면 저희가 수사를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그런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특히 스토킹은 강력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피해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이수정 /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지금까지는 피해자 보호라는 이유로 사실 피해자의 생활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유발됐는데 그럴 게 아니고 가해자, 스토커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강력범죄로 이어지고 있는 스토킹 범죄. 또다른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스토킹 범죄에 대한 실효성 있는 법 제도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