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Tamna Sullyeokdo’ Used in Promotions
  • ‘Tamna Sullyeokdo’ Used in Promotions Jeju Island launches a promotion of products for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with the national treasure, ‘Tamna Sullyeokdo’. The province will complete the production of a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tentatively named 'Sullyeokdo’, by next month. Items will include honey, Goso-ri wine, and sow sets. Distribution of the produced Sullyeokdo to airports and ports, Jeju Tourism Organization, Tourism Association, and public institutions outside and outside the province will be utilized for promotion of products from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탐라순력도 활용 사회적경제기업 상품 홍보물 제작 제주도가 국가 보물인 탐라순력도를 활용해 사회적경제기업 상품 홍보에 나섭니다. 제주도는 벌꿀과 고소리술, 암퇘지 세트 등 도내 사회적경제기업상품을 탐라순력도에 수록하는 가칭 사회적경제기업 순력도를 내달까지 제작합니다. 제작된 순력도는 공항과 항만, 제주관광공사와 관광협회, 도내외 공공기관 등에 배포돼 사회적 경제기업 상품 홍보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2 Mil Won Disaster Relief Fund Offered
  • 2 Mil Won Disaster Relief Fund Offered Disaster relief funds of 2 million won per person will be provided to atypical workers and freelancers. From the 1st to the 14th, the province received applications for the 7th Jeju-style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 for atypical workers and freelancers. As a result, a total of 614 people applied. 2 million won per person will be provided from next month after reviewing the qualifications, annual income, decrease in income, and overlapping supply of applicants. In total, Jeju Island provided 7.518 billion won in Disaster Relief funds to 11,000 atypical workers and freelancers between last year and the first half of this year. 특고·프리랜서 재난지원금 1인당 200만 원 지급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프리랜서에게 1인당 200만 원의 재난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제주도가 지난 1일부터 14일까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제주형 7차 민생경제회복 재난긴급생활지원금 신청을 받은 결과 모두 614명이 접수했습니다. 제주도는 신청자들의 자격요건과 연소득, 소득감소액, 중복수급 여부를 심사한 뒤 다음달부터 1인당 200만 원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프리랜서 1만 1천여 명에게 75억 1천 800만 원의 재난지원급을 지급했습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Positive’ of National Training Program
  • ‘Positive’ of National Training Program Naeil National Learning Card System, which supports vocational training, is supporting job seekers. In accordance with Jeju Island, about 1,600 people, or 47% of the 3,400 people who completed vocational training with the program last year, were employed. The number of card issuance also increased from 6,700 in 2020 to 9,200 last year. Besides, this system allows vocational trainees to participate in training by providing a certain amount of expenses and provides 3 to 5 million won for five years. 직업훈련 지원 국민내일배움카드제 '호응' 직업훈련을 지원하는 국민내일배움카드제가 취업 희망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직업 훈련을 수료한 3천 4백여 명 가운데 47%인 1천 6백여 명이 취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카드 발급 건수도 지난 2020년 6천 7백여 건에서 지난해에는 9천 2백여 건으로 늘었습니다. 한편, 국민내일배움카드제는 직업 훈련생에게 일정 금액의 훈련비를 지원해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5년동안 300에서 500만 원이 지원됩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Benefits for Stores that Accept Local Currency
  • Benefits for Stores that Accept Local Currency From next month, benefits will increase for ‘Tamnanunjeon’. Jeju Island announced that it will increase the discount from 5% to 10% from the 1st of next month to stores with annual sales of less than 500 million and accept ‘Tamnanunjeon’. The individual limit of use will also be expanded from 30,000 won per time and 100,000 won per month to 50,000 won per time and up to 150,000 won per month. Meanwhile, since August, Jeju Island has been offering a discount of 5-10% of the amount of money used when paying with ‘Tamnajeon’ at all franchises with annual sales of 1 billion won or less. 탐나는전 가맹점 할인혜택 내달부터 확대 다음달부터 탐나는전 할인 혜택이 확대됩니다. 제주도는 다음달 1일부터 연매출 5억 원 이하의 탐나는점 가맹점에서 당초 5%였던 현장할인 혜택을 1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별 이용한도 역시 종전 1회 3만 원, 월 10만원에서 1회 5만 원, 월 15만 원으로 확대합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8월부터 연 매출액 10억 원 이하의 탐나는전 가맹점에서 탐나는전 카드로 결제할 경우 이용 금액의 5~10%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Free Flu Vaccination for Infants Begins
  • Free Flu Vaccination for Infants Begins With the recent surge in flu patients, Jeju Island begins to provide free flu vaccinations. Free inoculation is available to 258,000 people, including children between 6 months to 13 years old, pregnant women, those aged 60 or older, workers at vulnerable facilities, and the immunocompromised. Shots can be administered at 536 hospitals and clinics entrusted as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s. Meanwhile, as there is a high chance of the flu and COVID-19 spreading nationwide together, people are urge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mmediately seek medical treatment if any suspicious symptoms appear. 영유아·어린이 등 독감 무료 예방접종 시작 최근 독감 환자가 급증하면서 제주도가 독감 무료 예방 접종을 실시합니다. 무료 접종 대상은 생후 6개월에서 만 13살 미만 어린이와 임신부, 만 60살 이상 어르신, 감염취약시설 종사자와 면역저하자 등 25만 8천명 입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위탁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도내 536개 병의원과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방역당국은 전국적으로 독감과 코로나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예방 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JNU Holds Korean Contest for Foreigners
  • JNU Holds Korean Contest for Foreigners Jeju National University (JNU) organizes a Korean speech contest for foreigners on the 8th of next month in celebration of Hangul Proclamation Day. Foreigners or migrants residing in Jeju Island, and can apply to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by the 29th. However, Korean Chinese or previous winners will not be eligible to participate. The competition will be divided into the general category and university category, and awardees will receive a president’s award and prize money. 제주대, 내달 8일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제주대학교가 한글날을 기념해 다음달 8일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마련합니다. 참가 자격은 제주도내 거주하는 외국인 또는 이주민으로 오는 29일까지 국어문화원에 신청하면 됩니다. 다만 조선족이나 지난 대회에서 대상과 금상 수상경력이 있는 사람은 참가가 제한됩니다. 대회는 일반부와 대학생부로 나눠 진행되며 수상장에는 총장상과 부상이 주어집니다.
  • 2022.09.22(thur)  |  고주연
  • Drop in Cucumber Production
  • Drop in Cucumber Production These creeping vines are loaded with crisp cucumbers. The fruit has been growing from seedlings over the course of a month and are now being harvested. Cucumber stems grow very fast, so they can be harvested every day for about two months. The fruit is cultivated twice a year at this farm. The crop is quite profitable. However, cucumbers are not that easy to grow as the plant requires a lot of careful attention. Unfortunately, this year’s production has plunged due to cloudy conditions and disease. INTERVIEW Gang Seung-ho / Cucumber grower The quantity has decreased a lot because of low sunlight from the recent heavy rain and virus infection. A box of 10 kilograms of cucumbers sells for 49,000 won at the wholesale market. With fewer cucumbers to sell, prices have nearly doubled. But even though prices have risen, problems with production have inevitably led to losses for farmers. INTERVIEW Og Sang-seok / Jeju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There are thrips in the soil due to years of cucumber farming, and they will appear at some point. The most important thing right now is to desiccate the bug and its larvae.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is advising cucumber farmers to take steps to eradicate pests like thrips in the soil and on the plant’s leaves, especially now when hot weather and rainy conditions have yet to ease up. 시설 오이 수확 한창…생산량 '뚝' 덩굴사이로 주렁주렁 달린 오이를 수확합니다. 지난달 정식한 이후 한달 사이 출하가 가능할만큼 훌쩍 자랐습니다. 계속해서 줄기를 타고 올라오는 오이는 생육속도가 매우 빨라서 약 두달간 매일 수확이 가능합니다. 1년에 두번 오이 재배에 나서는 이 농가는 연중재배로 높은 소득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리가 까다로워 재배하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최근에는 부족한 일조량과 바이러스 확산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어 걱정입니다. <인터뷰 : 강승호/오이 농가> 비가 많이 와서 일조량이 없으니까 오이가 착과가 안돼서 수량이 많이 줄었어요. 또 오이에 바이러스가 많이 걸려서…. 최근 오이 경매 가격은 10kg 한박스에 4만 9천 원. 줄어든 생산량에 가격은 2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가격은 올랐지만 크게 떨어진 생산량으로 농가에 손해가 이어질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 오상석/제주농업기술센터 근교농업팀> 연작을 많이 해서 지금 토양 속에 총채벌레가 있다가 어느 시기에 발현됩니다. 그래서 지금 최대 관건이 총채벌레를 잘 예방하는 게 (중요합니다.) 농업기술원은 기온이 높고 비가 길게 이어지는 요즘같은 날씨에 총채벌레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꼼꼼하고 지속적인 방제를 당부했습니다.
  • 2022.09.19(mon)  |  고주연
  • Media Art at 500 Generals Gallery
  • Media Art Displayed at 500 Gallery An individual exhibition of (민병훈) Min Byung-hoon, a media artist turned movie director, is displaying his work at the 500 General Gallery located in Jeju Stone Culture Park. Artist (민병훈) Min Byung-hoon will present seven pieces that reinterpret Jeju's sea, forests, and winds captured on camera in video form. This will be the third individual exhibition held at the Jeju Stone Park this year and will be displayed for two months until November 13. 미디어 아티스트 민병훈 개인전 돌문화공원서 열려 영화감독에서 미디어 아티스트로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는 민병훈 작가의 개인전이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민병훈 작가는 제주의 바다와 숲, 바람 등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해 카메라로 담아낸 7편의 영상작품을 선보입니다. 민병훈 작가의 개인전은 제주돌문화공원관리소가 올해 세번째 기획공모전으로 개최하는 것으로 오는 11월 13일까지 두달간 이어집니다.
  • 2022.09.19(mon)  |  고주연
  • Natural Disaster Risk Reduction Districts Selected
  • Natural Disaster Risk Reduction Districts Selected Jeju City will sponsor feasibility studies at (교래리) Gyorae-ri of (조천읍) Jocheon-eup as 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zone, where flooding occurs habitually due to torrential rains. The feasibility study will be completed next month, and a briefing session will be held for residents of Gyorae-ri this month. With the designation as 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zone, 50% of the project cost will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o promote project maintenance. 제주시, 교래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 추진 제주시가 집중호우로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조천읍 교래리 저지대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하기 위한 타당성 용역을 추진합니다. 타당성 조사는 다음달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며 이달 중 교래리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가 마련됩니다.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되면 사업비의 50%를 국비로 지원받아 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 2022.09.19(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