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ots Used for Clearing Reservoirs
This is a water reservoir capable of storing up to 330,000 tons of water.
It supplies agricultural water to 120 hectares of farmland in the surrounding area in (용수리) Yongsu-ri.
However, the damage from algal blooms is increasing due to the inflow of various nutrients from upstream sources.
During the summer, the reservoir turns green with algae.
This poses a significant problem for farmers as they frequently face situations where they are unable to access water when they need it the most.
Recording
Vegetable grower
Even a depth of 10cm was not visible. I had to resort to extracting groundwater to water crops.
To remove the algal blooms, a private company deployed a boat and a vessel on the reservoir to spray chemicals.
The chemicals help to disperse the floating algae on the water surface, which then sinks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fter a few days, the algae solidifies into sludge and floats up to the surface.
Afterward, a robot moves around the reservoir, similar to a vacuum cleaner, and suctions up the algal sludge.
This algal bloom removal project, combining advanced equipment and cutting-edge technology, has been implemented in the water reservoir area.
Recording
Im Gi-hyeon / Representative, Robot maker
When the chemicals are sprayed on the reservoir, it causes the algae to become paralyzed and sink to the bottom. The algae that was on the reservoir floor then aggregates and resurfaces. The robot is used to collect the resurfaced sludge.
The pilot project conducted last yea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water quality, with the values of algal blooms, suspended solids, nitrogen, and phosphorus falling below the acceptable maximum limits.
Recording
Song Won-hyo / Jeju offic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It's a wise approach to proactively manage algal blooms in order to address secondary issues such as crop damage or sprinkler clogging. We’re taking more stringent measure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reservoirs.
In Jeju, there are a total of nine reservoirs,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as alternative water sources to groundwater in farming.
By effectively managing water quality and addressing pollution sources, the reservoirs are anticipated to fulfill their intended function of supplying dependable water resources for farming operations.
'녹조 라떼' 저수지…'청소 로봇' 투입
최대 33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수저수지입니다.
용수리 일대 농지 120ha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류에서 각종 영양 염류가 유입되면서
녹조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 여름이면 저수지가 초록색으로 변합니다.
농가에서는 정작 필요할 때 물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씽크:채소 농가>
아예 수심 10cm도 안 보여요. 물이 필요한데 못 써서 그냥 지하수 열심히 뽑아 썼죠.
녹조 제거를 위해 민간 업체에서
저수지에 보트와 배를 띄어 약제를 뿌립니다.
수면 위에 떠 있는 녹조를 가라 앉힌 뒤
며칠 뒤에는
슬러지 형태로 응고돼 떠오릅니다.
이후 방제 로봇이 곳곳을 이동하면서
청소기처럼 녹조 슬러지들을 빨아들입니다.
첨단 장비와 신기술을 접목한 녹조 제거 사업이
용수저수지 일대에서 진행됐습니다.
<씽크:임기현/방제 로봇 제조업체 실장>
저수지 위에 살포하면 조류가 마비되고 가라앉게 됩니다. 저수지 바닥에 있던 조류들이 응집한 다음 다시 부상하게 되고 살포 작업이 끝나면 로봇을 통해서 부상한 슬러지들을 다 회수하는 (작업입니다.)
지난해 시범 사업 결과
녹조와 부유물질, 질소, 인 같은 영양염류 수치 모두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등
수질 개선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씽크:송원효/한국농어촌공사 제주본부 기반사업부 차장>
밭농사는 녹조를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작물이나 스프링클러 막힘 같은 2차 문제를 대비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저희 농어촌공사 제주본부에서는 육지부에 있는 저수지 대비 수질 관리를 좀 더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제주에 있는 저수지는 모두 9곳으로
밭농사 위주의 제주에서는
지하수의 대체 수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질과 오염원 관리로
농가에 안정적인 농업 용수 공급원으로 제 기능을 할 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