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soon Flooding·Inundation Alert
This is a reservoir constructed in (대정읍) Daejeong-eup, Seogwipo.
Despite the absence of rainfall, the reservoir is filled with water.
The inadequate drainage function is causing the incoming water to not be able to drain properly.
Residents are complaining about the foul odor and pest damage caused by the stagnant water.
Area residents demand actions from the local authorities every year, but their demand has been ignored.
As the summer approaches, concerns and anxieties only grow.
Recording
Ji Seok-man / Area resident
We're feeling fearful about possible water overflowing. The water stagnation during summer leads to an abundance of mosquitoes. It’s frustrating that despite raising complaints multiple times, the issue keeps getting postponed without a clear resolution.
The reservoir in question was designed to hold up to 7 million liters of water.
It appears that the sediment inflow has blocked the key points where the water should be draining, and the inadequate drainage system is preventing the reservoir from fulfilling its intended purpose.
As a result, the flood control function has been compromised, increasing the risk of flooding and overflow during heavy rainfall or typhoon events.
The nearby reservoir is also filled with water and covered with various aquatic plants and mud.
During the rainy season or heavy rainfall even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looding, which can cause damage to the surrounding houses and roads.
Out of the 160 reservoirs identified as targets for detailed analysis and maintenanc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39 of them, which account for 23 percent, have a high risk of flooding.
However, the maintenance work, such as sedimentation works and improvements to inflow and outflow facilities, have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until now.
Recording
Lee Seung-cheol / Representative, Province
We’ve developed a four-year project plan considering the urgency of the situation. The projects include improvements to inflow structures, expansion of the reservoir, addressing sedimentation issues, enhancing outflow facilities, strengthening safety measures, and improving drainage systems.
It is concerning that out of the 300 reservoirs in the region, 70 percent lack design documentation, and even operational and management manuals are not available.
It is urgent to execute the necessary maintenance and improvement actions promptly, especially with the approaching rainy season.
장마 코 앞인데…저류지 '범람·침수' 위험
서귀포시 대정읍에 조성된 저류지입니다.
비가 내리지 않았는데도 저류지에는 물이 가득 차 있습니다.
배수 기능이 취약해져 들어온 물이 제때 빠져나가지 못하는 겁니다.
주민들은 오히려 부유물로 인한
악취와 해충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매년 조치를 취해 달라고 지자체에 요구했지만 소용 없었고
여름철만 되면 걱정과 불안이 커집니다.
<싱크:지석만/마을 주민>
첫째는 물이 넘칠까 봐 겁이 나고 두 번째는 저류지 기능이 없고 완전히 물이 갇혀 있으니까 물이 썩으면서 여름에 모기가 너무 많고 저희가 몇 번 민원을 제기해도 서로 미루는 거 같아요. 어디에서 나오는지도 모르겠고...
해당 저류지는 700만 리터의 물을 가둘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물이 빠져나가는 숨골이 토사 유입으로 막혔고
배수구 역시 부족해 저류지 역할을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집중호우나 태풍 같은 재해 발생시 방재 기능이 떨어져
침수나 범람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근에 있는 저류지도
물이 차 있고 각종 수초와 진흙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장마나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주변 주택과 도로가 범람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비가 필요한
정밀 분석 대상 저류지 160여 곳 가운데
23%인 39 곳이
범람에 의한 침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토사 준설 작업이나
유입 방류 시설 개선 같은 정비 사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씽크:이승철/제주도 친환경하천팀장>
유입구 개선, 저류부 증설, 물고임 개선, 방류부 개선, 안전시설 확충, 배수로 개선 등의 사업들이 있습니다. 시급성을 고려해서 연차별 사업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총 4개년에 걸쳐서 사업계획을 수립했고요.
특히 도내 전체 저류지 3백 곳 가운데
70%는 설계 자료가 없고
운영 관리 매뉴얼 조차 준비 되지 않아
관리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마를 앞두고 필수 재해예방시설인 저류지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정비 대책이 시급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