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pected Housing Price Inflation
This rental apartment in Jeju City is slated for conversion to privately-owned units.
Based on a floor area of 84 square meters, the price for this apartment jumped from 500 million won in May to 620 million won in June.
That’s a whopping 120 million won increase in just one month.
Some speculate that transactions were made at higher prices than usual in anticipation of a conversion of rental apartments into privately owned uni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re have been cases of reporting high-value transactions in order to artificially increase market prices and then canceling the contracts.
INTERVIEW
Real estate agent
The typical market price for quickly selling properties was in the low 500 million won range. General transactions were in the mid-500 million won range, even until this year. So, it's somewhat suspicious that it has suddenly jumped to over 600 million won.
There are concerns that high-interest rates, which are expected to continue, could lead to a decline in home sales as buyers are priced out of the market.
INTERVIEW
Apartment resident
If market manipulation turns out to be true, it would be a huge problem. For people like us, it's already challenging with rising interest rates and difficulty in obtaining loans.
Jeju City plans to conduct investigations into suspected illegal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also inspect real estate agencies.
If someone falsely reports the amount of a transaction, they will be fined 5% of the purchase price.
INTERVIEW
Kim Sung-hee / Jeju City's Real Estate Management Team
We investigated to help protect citizens. We'll continue to investigate suspected illegal real estate transactions to keep the market healthy and transparent.
If evidence of price manipulation is confirmed, people who have dreamed of owning a home are bound to face further challenges and disappointments.
한 달 새 1억 껑충…집값 띄우기 의심 정황
분양전환을 앞둔 제주시내 한 아파트입니다.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이 아파트의 거래금액은
지난 5월 5억원에서
지난 6월 6억 2천만원으로 뛰었습니다.
한 달여 만에 실거래가가 1억 2천만원 급등한 겁니다.
이로 인해 분양을 앞두고
고분양가 책정을 위해
평소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습니다.
아울러 시세 조작을 목적으로 고가에 거래를 신고한 후
계약을 해제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공인중개사>
보통 급매물로 거래됐던 시세는 5억에서 5억 원 초반 정도에서 거래됐었고 일반적인 거래는 5억 원 중반 정도에 거래됐었어요 올해까지도.
6억 원 이상으로 거래가 갑자기 뛰었다는 것은 조금 의심스럽긴 합니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자칫 고분양가로 내 집 마련이 물거품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인터뷰 : 아파트 입주민>
시세 조작이 만일 사실이면 엄청난 큰일이죠. 저희 같이 서민들 입장에서는 금리도 많이 오르고 대출받기도 힘든데…
제주시는
부동산 불법 의심 거래에 대한 조사와 함께
중개업소 지도 점검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실거래가를 거짓으로 신고할 경우에는
부동산 취득가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인터뷰 : 김성희 / 제주시 부동산관리팀장>
제보가 있어서 이로 인한 시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게 됐습니다. 건전하고 투명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 의심 거래를 지속적으로 조사해 나가겠습니다.
집값 띄우기 정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내 집 마련을 꿈꿔온
무주택 서민층의 허탈감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