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Unpaid Wages Reach 14.5 Billion Won
  • Unpaid Wages Reach 14.5 Billion Won For two months now, Mr. A in his 40s hasn't received his monthly salary. He urgently took out a loan and used it for housing and living expenses. He continuously requested his company for his salary, but eventually had to turn to the office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TERVIEW Delinquent wage reporter I had no choice but to take out a loan even for my rent. I feel like I shouldn't annoy my employer for no reason. But it's not some kind of favor, I’m asking to get my own mone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hich supports delinquent wage reporters, continues to receive counseling inquiries. Everyone is complaining about the injustice of not receiving their wages on time. As of the end of last month, the amount of delinquent wages in Jeju is 14.52 billion won.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it has surged by 48.9 percent. When looking at it by industry, construction had the highest percentage at 34.4 percent, followed by food and accommodation at 13.9 percent and service at 13.7 percent. This year, with the economy stagnating across the industry sectors, the problem of delinquent wages is particularly severe. The province is working with relevant agencies to resolve as many cases of delinquent wages as possible before Chuseok. The provincial office also plans to actively promot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such as delinquent wage livelihood loans and free legal assistance. INTERVIEW Kim Tae-wan / Representative, Province For government-contracted projects, we will make every effort to disburse advance and progress payments before Chuseok, and we will strengthen supervision to ensure that wage delinquency does not occur for projects ordered by the provincial office. As the Chuseok holiday approaches, the plight of workers who haven't received their delayed wages is becoming even more pronounced. 못 받은 돈 145억 원…체불임금 '급증' 두 달째 밀린 월급을 받지 못한 40대 A씨. 급한 대로 대출을 받아 집값과 생활비로 사용했습니다. 회사에 지속적으로 월급 지급을 요청했지만 결국 노동청에 올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 체불 임금 신고자> 월세도 어쩔 수 없이 대출 받아서 내고 제가 제 돈을 받으려고 얘기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저는 그 사람(고용주)한테 괜히 굽신거려야 하고 돈 주세요, 제가 무슨 거지도 아닌데... 체불 임금 신고자들을 지원하는 노동청에는 계속해서 상담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제때 임금을 받지 못해 억울함을 호소합니다. 지난달 말 기준 제주지역 체불 금액은 145억2천9백만 원. 지난해 같은 기간 97억 원과 비교하면 48.9%나 급증했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이 34.4%로 가장 많았고 음식숙박업 13.9% 서비스업 13.7% 순이었습니다. 올해는 특정 분야할 것 없이 전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유독 체불 임금 사태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도는 추석 전까지 가능한 많은 체불 임금 사례가 해소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 체불 임금 생계비 융자 제도와 무료 법률 지원 같은 정부 지원 제도를 적극 홍보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 김태완 /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일자리과장> 관급공사에 대해서는 선급금과 기성금 등 추석전에 최대한 집행하고 도가 발주한 관급 공사만큼은 임금 체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 점검을 강화하겠습니다. 추석 명절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의 시름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 2023.09.18(mon)  |  이현
  • 116 Kindergarten and Elementary Teachers Selected
  •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recruit 116 teachers for public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special-education schools in the 2024 academic year. This includes 11 kindergarten teachers, 8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8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with 1 kindergarten teacher, 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selected through a recruitment proces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online for 5 days starting next month, and the first round of exams is scheduled for November 11th. 도교육청, 유치원·초등교사 등 116명 선발 제주도교육청이 2024학년도 공립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교 교사 116명을 선발합니다. 선발 인원은 유치원 교사 11명, 초등학교 교사 87명, 특수학교 교사 18명입니다. 이 가운데 유치원 교사 1명과 초등학교 교사 7명, 특수학교 교사 2명은 장애인 구분 모집으로 선발합니다. 응시원서는 다음달 2일부터 닷새동안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오는 11월 11일 1차 시험이 실시됩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Jeju Boosts African Swine Fever Defense
  • The Province is ramping up efforts to prevent African Swine Fever ahead of the Chuseok holiday. Jeju island is implementing measures such as banning the import of foreign livestock products, strengthening the health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and requesting ongoing airport inspections from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dditionally, those involved in the livestock sector are advised to avoid traveling to countries with African Swine Fever outbreaks, and if they must visit, they will be closely monitored for farm access for at least 5 days upon their return. 추석 앞두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방역 강화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석 명절에 대비해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대한 차단방역을 강화합니다. 해외 축산물의 반입금지와 외국인 근로자의 방역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농림축산검역본부에 공항에서의 검역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입니다. 또 축산관계자의 경우 중국이나 베트남 등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는 국가로의 여행 자제와 함께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귀국 후 최소 5일 동안 농장 출입 자제를 지도 감독합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Drunk Driving Reward Program Gaining Results
  • Jeju's Drunk Driving Reporting Reward Program has received an average of 10 daily reports since it's launch on the 11th.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reports around 30 cases of drunk driving reported since the program began on the 11th, similar to pre-launch levels. Eligibility for rewards will be determined following an assessment. The program allows up to five reports per person annually, with a maximum reward of 50,000 KRW. 음주운전 신고포상제 하루 평균 10건 신고 지난 11일부터 음주운전 신고포상제가 시행된 가운데 하루 평균 10건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지난 11일부터 13일 오전까지 음주운전 신고 건수는 30여 건으로 도입 이전 수준과 비슷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은 심사 이후 포상금 지급 대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음주운전 신고 포상금은 최대 5만원으로 1인당 연간 다섯 차례만 신고가 가능합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Voluntary Pet Registration Accepted Until the 30th
  • Jeju City announced a voluntary pet registration self-reporting period until the 30th to promote responsible pet ownership and prevent strays. Dogs aged 2 months or older kept as pets require registration, and owners must report changes in ownership, address, or for any lost or deceased pets. Registering within the voluntary self-reporting period exempts owners from fines. Jeju City will begin rigorous inspections the month after the self- reporting period concludes. 반려동물 등록 자진신고 오는 30일까지 운영 제주시가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과 유기 예방을 위해 오는 30일까지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등록 대상은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로 소유자가 변경됐거나 주소지를 옮겼을 경우, 동물이 죽거나 잃어버린 경우도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기존에 등록을 하지 않았거나 변경신고를 않았더라도 자진신고 기간 내에 등록하면 과태료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제주시는 자진신고 기간이 끝나는 다음달부터 집중 단속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2,000 More Jobs, Lower Employment Rate
  • Last month,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Jeju continued to increase, while the employment rate showed a decline. According to the Jeju branch of Statistics Korea, employment rose by 2,000 last month to 406,000 compared to a year ago. Employment in electricity, transport, communications, and finance rose by 8,000, while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fishing sectors saw a 14,000-person drop. Despite the increase in employment, the employment rate fell slightly to 70.1%, a 0.2 percentage point drop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제주 취업자 2천명 증가…고용률은 하락세 지난달 제주지역 취업자수가 증가세를 이어간 반면 고용률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취업자 수는 40만 6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천명 늘었습니다. 산업별 취업자는 전기, 운수, 통신, 금융업에서 가장 많은 8천명 증가했으며 농림어업에서는 1만 4천명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취업자 증가에도 고용률은 70.1%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0.2%포인트 떨어지며 소폭의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Scaling Up on Meat Supply for Chuseok
  • Jeju City is increasing meat supply volumes until the 27th to secure enough supplies for the upcoming Chuseok holiday. Cattle slaughter will increase to around 34 head per day based on the Jeju Livestock Breeding Cooperative Joint Market, and approximately 1,860 pigs will be slaughtered during this period. This marks a 21% and 7.5% growth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Jeju City plans to conduct hygiene inspections on livestock production and sales establishments as part of its efforts to prevent any potential risks. 추석 앞두고 축산물 수급안정 추진…도축물량 확대 제주시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축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오는 27일까지 도축물량을 확대합니다. 도축물량은 소의 경우 제주축협 축산물공판장 기준으로 하루 34마리 수준으로 확대하고 돼지도 1천860마리 규모로 도축할 계획입니다. 이는 지난해 추석 시기와 비교해 각각 21%, 7.5% 증가한 규모입니다. 제주시는 이와함께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축산물 제조, 판매 업소를 대상으로 위생 점검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Suspected Housing Price Inflation
  • Suspected Housing Price Inflation This rental apartment in Jeju City is slated for conversion to privately-owned units. Based on a floor area of 84 square meters, the price for this apartment jumped from 500 million won in May to 620 million won in June. That’s a whopping 120 million won increase in just one month. Some speculate that transactions were made at higher prices than usual in anticipation of a conversion of rental apartments into privately owned uni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re have been cases of reporting high-value transactions in order to artificially increase market prices and then canceling the contracts. INTERVIEW Real estate agent The typical market price for quickly selling properties was in the low 500 million won range. General transactions were in the mid-500 million won range, even until this year. So, it's somewhat suspicious that it has suddenly jumped to over 600 million won. There are concerns that high-interest rates, which are expected to continue, could lead to a decline in home sales as buyers are priced out of the market. INTERVIEW Apartment resident If market manipulation turns out to be true, it would be a huge problem. For people like us, it's already challenging with rising interest rates and difficulty in obtaining loans. Jeju City plans to conduct investigations into suspected illegal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also inspect real estate agencies. If someone falsely reports the amount of a transaction, they will be fined 5% of the purchase price. INTERVIEW Kim Sung-hee / Jeju City's Real Estate Management Team We investigated to help protect citizens. We'll continue to investigate suspected illegal real estate transactions to keep the market healthy and transparent. If evidence of price manipulation is confirmed, people who have dreamed of owning a home are bound to face further challenges and disappointments. 한 달 새 1억 껑충…집값 띄우기 의심 정황 분양전환을 앞둔 제주시내 한 아파트입니다.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이 아파트의 거래금액은 지난 5월 5억원에서 지난 6월 6억 2천만원으로 뛰었습니다. 한 달여 만에 실거래가가 1억 2천만원 급등한 겁니다. 이로 인해 분양을 앞두고 고분양가 책정을 위해 평소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습니다. 아울러 시세 조작을 목적으로 고가에 거래를 신고한 후 계약을 해제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공인중개사> 보통 급매물로 거래됐던 시세는 5억에서 5억 원 초반 정도에서 거래됐었고 일반적인 거래는 5억 원 중반 정도에 거래됐었어요 올해까지도. 6억 원 이상으로 거래가 갑자기 뛰었다는 것은 조금 의심스럽긴 합니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자칫 고분양가로 내 집 마련이 물거품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인터뷰 : 아파트 입주민> 시세 조작이 만일 사실이면 엄청난 큰일이죠. 저희 같이 서민들 입장에서는 금리도 많이 오르고 대출받기도 힘든데… 제주시는 부동산 불법 의심 거래에 대한 조사와 함께 중개업소 지도 점검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실거래가를 거짓으로 신고할 경우에는 부동산 취득가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인터뷰 : 김성희 / 제주시 부동산관리팀장> 제보가 있어서 이로 인한 시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게 됐습니다. 건전하고 투명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 의심 거래를 지속적으로 조사해 나가겠습니다. 집값 띄우기 정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내 집 마련을 꿈꿔온 무주택 서민층의 허탈감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 2023.09.14(thur)  |  이현
  • Jeju City Expands on Open Kindergartens
  • Jeju City has decided to expand open kindergartens and will accept applications until the 22nd. Open kindergartens, where kindergarten facilities are accessible and encourage parental involvement, will add 20 new locations this year and re-evaluate the existing 59 operational ones. Designation as an open kindergarten provides several advantages such as gaining extra points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public-type kindergartens are given priority for re-delegation of national public kindergartens and support for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 expenses. 제주시, 열린어린이집 확대…22일까지 접수 제주시가 열린 어린이집을 확대하기로 하고 오는 22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열린 어린이집은 어린이집 공간을 개방하고 부모의 참여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으로 올해 신규 20개소를 추가 지정하고 기존에 지정돼 운영중인 59개소에 대해서는 재선정을 추진합니다. 열린어린이집으로 선정되면 공공형 어린이집 신규 선정이나 국공립 어린이집 재위탁 심사에서 가점이 부여되고 교재 교구비 우선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 2023.09.11(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